홀리스틱 뷰티를 추구하는 글로벌 럭셔리 뷰티 브랜드 설화수가 ‘피부 장수를 위한 인삼의 힘’(Skin Longevity Powered by Ginseng)을 주제로 자음생크림 글로벌 캠페인을 펼친다. 설화수는 60년 인삼 과학 연구를 통해 건강하고 아름다운 피부를 오래도록 유지할 수 있는 설화수 만의 독자 바이오 컨버전 기술을 발전시켜왔다. 브랜드 측은 “이번 캠페인에서는 피부 본연의 자생력을 통한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브랜드의 철학을 이야기하려고 한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설화수는 내달부터 중국을 시작으로 한국과 태국, 미국 등 주요 글로벌 시장에서 해당 테마 프로모션을 고객과 미디어 대상으로 시작한다. 각국에서 진행되는 다양한 이벤트에서는 설화수의 인삼 과학과 자음생크림의 효능을 체험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마련, 참여자들에게 설화수 만의 스토리를 깊이 있게 전달한다는 구상이다. 설화수의 대표 럭셔리 안티에이징 크림 ‘자음생크림’은 피부 자생력을 깨우는 인삼 연구의 결정체라고 할 수 있다. 설화수가 60년에 걸쳐 연구한 독자 인삼 성분과 피부 과학을 결합한 자음생크림은 피부의 건강과 아름다움을 오래도록 지켜내고자 하는 설화수의 핵심 가치를 담고 있다. 인체
록시땅이 사회공헌 활동인 ‘아이 러브 록시땅 2025’를 진행한다. 아이 러브 록시땅(EYE LOVE L'OCCITANE)은 2016년 시작해 10주년을 맞았다. 올해는 캄보디아 아동‧주민 실명 예방을 위해 5,200만원을 기부했다. 록시땅코리아는 22일 서울 신세계백화점 강남점에서 기부금 전달식을 열었다. 김승빈 록시땅코리아 지사장과 오지철 하트하트재단 회장이 참석했다. 기부금은 캄보디아 바탐방(Battambang) 지역 주민의 안질환 검진과 치료에 사용할 예정이다. 안과 검진과 시력 검사를 시행해 캄보디아인들이 건강한 시력을 유지하도록 도울 방침이다. 록시땅코리아는 2017년부터 2024년까지 캄보디아‧말라위‧탄자니아‧방글라데시 6개 지역을 지원했다. 후원금 5억8천만원을 들여 57만명에게 눈 건강을 선물했다. 김승빈 록시땅코리아 지사장은 “아이 러브 록시땅 캠페인을 통해 의료 시스템이 취약한 지역을 돕고 있다. 도움이 필요한 지역사회와 이웃에게 지속가능한 방식의 나눔을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아모레퍼시픽재단이 아모레퍼시픽 그룹과 함께 오는 28일 막을 올리는 ‘2025 서울뷰티위크’에 참여한다.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서 열리는 이번 행사는 다채로운 체험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글로벌 관광객을 대상으로 K-뷰티 가치를 소개할 예정이다. 서울시가 주최하는 서울뷰티위크는 글로벌 관광객과 시민을 대상으로 K-뷰티 트렌드를 공유하고 산업 생태계 저변을 확대하는 뷰티 문화 박람회로서의 가치를 표방한다. 아모레퍼시픽재단은 단독 부스를 마련해 △ K-뷰티 클래스 △ 메이크업 쇼 △ AI 기술 기반 체험 존 등 K-뷰티를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계획이다. 아모레퍼시픽그룹 브랜드 헤라·에스쁘아·아모스프로페셔널의 아티스트가 직접 참여, 메이크업 시연과 함께 뷰티 룩을 따라 해보는 참여형 워크숍 K-뷰티 클래스도 진행한다. 영어 통역을 제공해 외국인 참여자도 쉽게 따라 할 수 있도록 배려했다. 뷰티 디바이스와 지속가능성을 주제로 한 체험 콘텐츠를 선보인다. △ 마이크로 LED 기술 기반의 피부 진단 디바이스 ‘AI 뷰티 스크린’ △ 폐기용 화장품을 재활용한 물감으로 나만의 메이크업 룩을 그려보는 드로잉 체험 △ 디지털 경대 △ AI 포토부스(애니모먼트)까지
메이크업 아티스트 정샘물이 투어스와 손잡고 스킨케어 분야로 보폭을 넓히고 있다. 정샘물은 스킨케어 브랜드 ‘비긴스 바이 정샘물’의 모델로 보이그룹 TWS(투어스)를 선정했다고 밝혔다. TWS는 2024년 ‘첫 만남은 계획대로 되지 않아’로 데뷔했다. 지난해 음원 플랫폼 멜론에서 연간차트 1위를 기록했다. 5월 정샘물 브랜드 모델로 뽑힌 데 이어 스킨케어 브랜드 알리기에도 나선다. 정샘물은 TWS의 당차고 생기 넘치는 이미지가 나다움을 추구하는 비긴스 바이 정샘물의 콘셉트와 상통한다고 판단했다. TWS와 ‘잘 아는 세럼, 잘 하는 세럼’ 캠페인을 전개하며 브랜드 철학을 알릴 예정이다. 정샘물은 TWS와 ‘핑크 구아바 글루타치온 흔적 세럼’ 화보를 촬영했다. 이 제품을 2주 사용하면 잡티와 트러블을 관리한다. 제주산 핑크 구아바 추출물과 글루타치온, 알부틴, 나이아신아마이드, 비타민나무수가 피부를 맑고 깨끗하게 가꾼다. 정샘물 관계자는 “내 피부에 대해 알고, 내게 맞는 성분을 아는 것이 중요하다. 나를 아는 것에서 아름다움이 시작된다, TWS와 비긴스 바이 정샘물을 국내외 소비자들에게 알려 나가겠다”고 전했다.
한성USA(대표 최재호)가 넘버즈인·VT코스매틱·아렌시아·엑시스와이를 미국 타겟(Target) 1900곳에 선보였다. 타겟은 미국 전역에 매장 1980곳을 운영한다. 2024년 뷰티 부문 매출 약 34조원(약 241억 달러)를 기록했다. 올해 1분기에도 뷰티 매출은 7% 성장했다. 얼타뷰티와 세포라에 이어 K-뷰티 입점을 늘리고 있다. 한성USA는 글로벌 시장에 K-뷰티를 유통하는 기업이다. 미국 얼타뷰티·코스트코 등을 중심으로 국내 브랜드를 성공적으로 안착시키는 데 집중한다. 해외 온라인을 통해 성장해온 K-뷰티 브랜드를 오프라인 시장에 소개하며 매출 성장을 이끌고 있다. 넘버즈인은 피부 고민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하는 스킨케어 브랜드다. 영국 부츠(Boots)에 진출해 인지도를 확대했다. 이번 타겟 매장 입점을 통해 글로벌 오프라인 유통을 본격화했다. 아렌시아는 ‘모찌 클렌저’로 급성장하고 있는 브랜드다. 엑시스와이는 ‘다크스팟 세럼’으로 이름을 알렸다. ‘리들샷’으로 유명한 VT코스매틱은 얼타뷰티·코스트코에 이어 타겟까지 진출했다. 이정미 한성USA 부사장은 “타겟의 브랜드 성장 프로그램과 마케팅 지원을 활용해 K-뷰티의 성장발판을 마련할 계획이다. 타겟
글로벌 스킨케어 브랜드로 도약하고 있는 네시픽이 ‘라이스 펩타 클렌징 밤’으로 국내에서 화해 클렌징밤 카테고리 1위에 오른데 이어 미국 아마존에서도 ‘HOT NEW REALEASE’ 1위를 차지하며 글로벌 무대를 평정을 위한 잰걸음을 옮기고 있다. 네시픽은 이같은 성과를 발판으로 리브랜딩을 단행,국내시장 공략을 한층 강화하는 동시에 글로벌 무대에서의 입지를 확장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새 브랜드 슬로건 ‘당신의 피부를 이해하는 스킨케어’ 이를 위해 네시픽은 새로운 브랜드 슬로건을 내걸었다. ‘당신의 피부를 이해하는 스킨케어’(Skincare That Understands)를 통해 기존 자연주의 콘셉트를 넘어 ‘나의 피부 고민’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그에 맞는 솔루션을 제안하겠다는 브랜드 철학을 담았다. 이번 리브랜딩은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재정립하고 효능 중심의 확실한 제품력을 통해 K-뷰티 대표 브랜드로 도약하기 위한 전략적 행보로 해석할 수 있다. 네시픽 라이스 펩타 라인은 쌀 추출물과 펩타이드 성분을 함유, 피부를 맑고 깨끗하게 가꿔 주며 탄력 케어까지 가능하다. 대표 제품 ‘라이스 펩타 콜라겐 샤베트 클렌징밤’은 튜브 타입의 위생성과 샤베트 제형의 부드러운
닥터지는 오늘(22일)부터 9월 18일까지 신라면세점 인천공항점 T2에서 팝업매장을 운영한다. 매장은 ‘여행의 시작과 끝, 피부에 휴식을’을 주제로 구몄다. 여행으로 지친 피부에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한다는 의미다. 다양한 닥터지 제품을 체험 후 구매할 수 있다. 닥터지는 팝업스토어 오픈을 기념해 기획세트를 선보인다. 면세점 베스트셀러를 모아 합리적인 가격에 판매한다. △ 레드 블레미쉬 △ 블랙 스네일 △ 리바이탈 인헨서 △ 선케어 제품을 실속가에 구매할 수 있다. 아울러 팝업스토어를 방문객에게 ‘브라이트닝 업 선 플러스(2ml)’를 제공한다. 제품 구매 시 △ 브라이트닝 업 선 플러스 △ 블랙 스네일 레티놀 링클 마스크 △ 레드 블레미쉬 클리어 수딩 크림 등을 선물한다. 임송이 고운세상코스메틱 듀티프리팀 팀장은 “국내외 소비자들과 소통하며 제품을 알리기 위해 팝업공간을 마련했다. 면세점 유통을 강화하며 글로벌 더모코스메틱 브랜드로 성장해 나가겠다”고 전했다.
아모레퍼시픽이 ‘2025 레드닷 디자인 어워드’(Red Dot Design Award) 브랜드&커뮤니케이션 부문에서 3개의 본상을 받았다. △ 한율 브랜드 아이덴티티 디자인 △ 라보에이치 모발강화 클리닉 △ 오딧세이 챕터 파이브가 수상의 주인공이다. 한율은 올해 5월 미국 시장 공식 진출 시점에 맞춰 브랜드 디자인 아이덴티티를 재정립했다. 국외 버전은 유자·쑥 등 원료를 직관할 수 있는 일러스트를, 국내 버전은 여백의 미를 살린 비율과 형태를 적용하는데 중점을 뒀다. 양쪽 모두 필수 정보를 명확히 담아 소비자가 선택 편의성을 고려해 디자인한 점이 눈에 띈다. 한국 문화 자산에서 영감을 받은 둥근 실루엣과 반투명한 색감, 층위 있는 톤, 한국 자연에서 착안한 수평 라인을 더해 일관성을 갖춘 디자인 언어로 감성넘치는 브랜드 경험을 제공하고자 모색했다. 라보에이치 모발강화 클리닉은 두피 케어에 특화한 브랜드 전문성을 ‘두피 기반 모발 케어’로 확장해 선보인 제품. 형상 컬러·그래픽 요소를 통해 두피부터 모발 끝까지 이어지는 회복의 흐름을 시각화했다. 실험실에서 유래한 라보에이치의 각진 조형을 부드럽게 다듬어 감성을 더했고 효능감과 영양감을 담은 컬러 조합을
글로벌 화장품 ODM(연구·개발·생산) 전문기업 코스맥스가 고려대학교와 지구온난화를 비롯해 급변하는 기후환경에 대응할 수 있는 화장품 소재 개발에 나선다. 코스맥스는 이달 초 고려대 산학협력단과 ‘기후 맞춤형 화장품’(Climate-Proof Cosmetics) 소재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코스맥스와 고려대는 △ 지구온난화로 인한 고온 △ 미세먼지를 비롯한 각종 대기오염 증가 △ 오존층 파괴에 따른 자외선 노출 확대 등으로 인해 피부 민감화·염증성 질환·조기 노화 등이 증가하는 추세에 주목했다. 양 측은 이번 협약을 기반으로 미래지향형 피부 연구 생태계를 조성하고 기술과 산업을 넘나드는 융합 시너지를 창출해 나간다는 구상이다. △ 환경 변화 대응 신소재 발굴 △ AI 기반 외부 요인-마이크로바이옴 상호작용 분석과 플랫폼 개발 △ 소재 안전성 검증과 산업화 △ 규제 정보 공유 등 다방면의 협력을 구체화했다. 이를 위해 코스맥스는 고려대 생명과학대학 김재진·이동호 교수, 인공지능학과 김동현 교수와 협력, 외부 환경 요인이 피부 마이크로바이옴과 대사체에 미치는 영향을 심층 분석할 계획이다. 머신 러닝을 통해 외부 환경 요인-피부 마이크로바이옴-
올리브영이 쇼핑 큐레이터 제도를 도입했다. 소비자가 올리브영 추천 제품을 SNS에 소개하는 방식이다. 공유 링크를 생성해 SNS 등에 퍼트리면 수익을 얻을 수 있다. 링크 클릭 후 24시간 내 구매 시 판매 금액의 최대 7%를 콘텐츠 수익금으로 지급한다. 링크에서 추천 제품을 바로 구매하면 7%, 링크 클릭 후 다른 제품을 사면 3% 제공한다. 올리브영은 소비자를 활용해 자연스러운 입소문 효과를 노리고 있다. 쇼핑 큐레이터를 통해 브랜드들의 인지도가 강화될 것으로 예측했다. 올리브영 쇼핑 큐레이터에 참여하려면 올리브영 앱을 접속하면 된다. ‘큐레이터 활동 시작하기’를 누르고 약관에 동의하면 누구나 활동할 수 있다. 추천 제품을 고르면 개인별 고유 URL이 발급된다. 이를 인스타그램·블로그·유튜브·틱톡 등에 게시해 수익 창출이 가능하다. 올리브영은 9월 30일까지 쇼핑 큐레이터 수익금 상위 103명을 선정해 경품을 제공한다. 1~3위에게는 ‘다이슨 에어랩 스타일러’를, 100명에게는 CJ ONE 5만 포인트를 증정한다. 쇼핑 큐레이터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올리브영 앱 이벤트 페이지에 나와있다.
슬록(대표 김기현)이 8월 28일(목)부터 30일(토)까지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서 열리는 ‘서울뷰티위크 2025’에 참가한다. 서울뷰티위크는 서울시가 주최하는 K-뷰티 산업 박람회다. 올해는 국내외 뷰티·테크 기업 296개사와 바이어 약 250명이 참가할 예정이다. 제품‧기술 전시와 세미나, 메이크업쇼, 토크콘서트, 인플루언서 품평회 등이 진행된다. 김기현 슬록 대표는 28일 오후 2시 10분 DDP 컨퍼런스홀 메인 무대에서 열리는 뷰티 트렌드 세미나에서 발표를 맡는다. ‘클린뷰티 2.0: 시장전망 및 K-뷰티 대응전략’을 제시한다. 아울러 슬록은 부스를 열고 예비‧초기 창업자를 위한 1:1 멘토링 상담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슬록 ‘화장품 창업 전주기 지원 프로그램’의 멘토 4인도 참가하다. △ 김혜은 모두모여(센트위키) 대표(제품 개발‧마케팅) △ 박규근 와이생활랩 대표(소량생산 OEM·ODM) △ 이소정 뷰포리아 대표(브랜드 전략‧개발) △ 조셉킴 뷰티플마실 부사장(글로벌 수출 전략) 등이 1:1 상담을 진행한다. 서울뷰티위크는 사전 등록을 통해 무료 관람할 수 있다. 슬록 1:1 창업 멘토링 상담은 K-서스테이너블 홈페이지와 구글폼(http
듀이트리(대표 강수정)가 남수단 재건지원단 한빛부대에 1억 1천만원 상당의 스킨케어 제품을 기부했다. 이 회사는 지난 해 3월 한빛부대와 업무 협약을 맺고 지원을 시작했다. 2024년 3월과 11월에 이어 올해 7월까지 총 세차례 제품을 전달했다. 세번째 기부물품은 파병장병 300여명을 위한 기초화장품으로 구성했다. 고온다습한 환경에서 피부 건강을 지킬 수 있는 제품을 제공했다. 한빛부대는 2013년부터 남수단에 파병한 부대로 유엔 평화유지 활동을 수행한다. 정식 명칭은 ‘대한민국 남수단 재건지원단’이다. 2025년 8월 제20진이 출국해 임무를 수행 중이다. 듀이트리 관계자는 “남수단에서 국가를 대표해 헌신하는 장병들에게 화장품을 지원했다. 외부와 단절된 곳에서 애쓰는 장병들의 복지 향상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