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콜마가 화장품 원료·소재 부문에서도 글로벌 최고 수준의 개발력을 인정받았다. 유럽의 화장품 원료 시상식 ‘BSB 이노베이션 어워드’에서 2관왕에 오르는 성과를 거둔 것. 한국콜마는 제 23회 BSB 이노베이션 어워드 2025(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서 △ 화장품·기능성 원료(Cosmetics-raw materials) 부문 은상 △ 천연 제품·기능성 원료(Natural products/raw materials) 부문 동상을 수상했다고 밝혔다. BSB 이노베이션 어워드는 글로벌 화장품 컨설팅 기업 BSB사가 독자 기준으로 선별한 화장품 원료와 화장품을 대상으로 심사, 시상하는 제도다. 전 세계 화장품 업계의 발전과 지식 확산을 목적으로 지난 2003년에 제정, 현재까지 이어오고 있다. 한국콜마는 이번 시상식에서 독자 기술로 개발한 ‘플로라겐’(Flollagen)으로 화장품 기능성 원료 부문에서 은상을 수상했다. ‘몰로락’(Mololock)은 천연 제품 기능성 원료 부문에서 동상을 받았다. 플로라겐은 한국콜마가 특허받은 효소처리 공법을 통해 개발한 식물성 콜라겐 부스팅 성분. 식물의 세포벽을 분해해 피부 탄력과 보습에 도움을 주는 단백질 성분 ‘익스텐신’(Ex
피부 미백 효능이 뛰어난 ‘제주 바위수국’ 소재를 활용한 화장품 개발에 가속도가 붙는다. 제주테크노파크(원장 지영흔· www.jejutp.or.kr ·이하 제주TP)는 ‘바위수국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용 조성물(등록번호: 10-2510149)’ 특허를 (주)엔스타에 기술이전했다고 밝혔다. 기술이전 소재 바위수국(학명:Schizophragma hydrangeoides Siebold & Zucc.)은 해발 800m 이하 한라산과 제주 도내 중산간 일대에 분포하는 낙엽성 덩굴식물.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제주도와 울릉도에만 자생한다. 바위수국은 식품공전에 식품 원료로도 등재돼 이미 안전성을 확보한 소재다. 제주TP 청정바이오사업본부 생물종다양성연구소는 제주에서 자생하는 바위수국 추출물과 구성 성분에서 피부 미백 효능을 규명해 특허를 받았다. 특히 피부 미백 효능에 대한 기전 연구와 성분 분석 수행 결과는 한국자원식물학회지에 논문게재를 마치는 등 과학성에 기반한 효능을 인정받은 상황이다. 기술이전을 받은 (주)엔스타는 화장품 원료·소재 전문기업. 프랑스·미국·중국 등의 다국적 기업과 파트너십을 맺고 있다. (주)엔스타는 이전 기술을 바탕으로 엘에스화장품(메디
제주 토착 미생물로 발효시킨 풋귤 발효물에서 뛰어난 면역과 체내 흡수 효능이 확인됐다. 제주테크노파크(원장 지영흔· www.jejutp.or.kr ·제주TP)는 최근 제주 휘닉스 아일랜드에서 열린 2025년 한국대사체학회 정기학술대회에서 ‘바실러스, 락토바실러스를 이용한 풋귤 발효물의 대사체 변화와 면역증진 효능 연구’ 발표를 통해 우수 포스터상을 수상했다. 제주TP 청정바이오사업본부 생물종다양성연구소 연구진과 제주대학교 의과대학 부혜진 교수팀은 RIS 지역혁신자율과제로 공동 진행한 ‘제주 농생명자원 활용 기능성 원료 산업화 기반 구축’ 연구를 통해 그동안 제주 토착 미생물로 만든 풋귤 발효물에 대한 우수 효능을 입증하는 데 주력해왔다. 제주TP와 제주대 연구진은 제주 전통식품에서 분리한 미생물 ‘바실러스’와 ‘락토바실러스’를 복합 발효한 풋귤의 면역증진 효과와 발효 후 1차-2차 대사체 변화를 연구 분석했다. 그 결과 발효 전의 풋귤 추출물에서는 면역증진 효과가 관찰되지 않았으나 풋귤 발효물에서는 면역증진과 관련된 여러 가지 생체 지표들이 증가한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풋귤 발효물에서 필수 아미노산 BCAA(류신·이소류신·발린)가 미 발효 풋귤에
화장품 원료·소재 개발 전문기업 (주)바이오스펙트럼(대표 박덕훈)이 ‘고소리’(Gosori) 논문을 SCI급 학술지 국제 화장품 과학 저널(International Journal of Cosmetic Science)에 게재했다. 논문명은 ‘Anti-skin aging effects of Gosori liquor lees extract by regulating interactions between senescent fibroblasts and adipose-derived stem cells’. 이 논문은 업사이클링 클린뷰티 원료 ‘고소리’의 항노화‧안티에이징 효능을 규명했다. 고소리는 소줏고리의 제주도 방언이다. 좁쌀과 쌀을 발효해 고소리로 증류한 제주 전통주를 고소리 술이라고 부른다. 바이오스펙트럼은 고소리 술지게미에서 추출한 클린뷰티 원료 고소리를 개발하는데 성공했다. 양조부산물로 버려지는 고소리를 업사이클해 항노화 효능을 발견한 것. 세포 재생력이 저하되면 피부 노화가 시작된다. 노화된 세포는 SASP(노화연관 분비형 표현형)를 통해 주변 세포에 부정적인 신호를 전달한다. 이는 피부 탄력‧밀도를 감소시키고 주름‧처짐 등을 유발한다. 연구진은 고소리의 in
글로벌 화장품 ODM(연구·개발·생산) 전문기업 코스맥스가 탈모와 지루성 피부염을 동시에 개선할 수 있는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신규 소재 개발에 성공했다. 마이크로바이옴 연구 영역을 피부에서 모낭으로 확대해 얻은 성과로 글로벌 학계에서는 두피 고민을 해결할 차세대 소재로 주목하고 있다는 소식이다. 코스맥스가 모낭 주변 미생물군 채취와 분석을 통해 신규 활성 소재 ‘댄드리옴’(Dandriome™)을 개발했다고 공식 발표했다. 소재명은 비듬을 뜻하는 영단어 ‘dandruff’와 마이크로바이옴(microbiome)에서 따와서 이름 지었다. 코스맥스 연구진은 탈모와 지루성 피부염의 병변이 함께 나타나는 경향성에 주목해 두 가지 증상을 함께 개선하는 솔루션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했다. 여성·남성형 탈모 환자군과 건강한 두피를 가진 대조군을 각각 비교해 미생물 분포·다양성·기능·대사 경로 등을 분석한 것. 연구 결과 탈모 증상이 있는 환자군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미생물의 다양성과 산성화에 관여하는 마이크로바이옴이 감소한 것을 확인했다. 동시에 지질 대사 경로가 억제되고 있었다. 연구진은 건강한 두피를 가진 사람들에게 더 많이 분포하는 미생물군을 기반으로 댄드리옴을 개
바이오스펙트럼(대표 박덕훈)이 ‘고소리’(Gosori) 논문을 SCI급 학술지 ‘국제 화장품 과학 저널’(International Journal of Cosmetic Science)에 실었다. 논문명은 ‘Anti-skin aging effects of Gosori liquor lees extract by regulating interactions between senescent fibroblasts and adipose-derived stem cells’이다. 이 논문은 업사이클링 클린뷰티 원료 ‘고소리’의 항노화‧안티에이징 효능을 규명했다. 고소리는 소줏고리의 제주도 방언이다. 좁쌀과 쌀을 발효해 고소리로 증류한 제주 전통주를 고소리술이라고 부른다. 바이오스펙트럼은 고소리술 지게미에서 추출한 클린뷰티 원료 ‘고소리’를 개발했다. 양조부산물로 버려지는 고소리를 업사이클해 항노화 효능을 발견했다. 세포 재생력이 저하되면 피부 노화가 시작된다. 노화된 세포는 SASP(노화연관 분비형 표현형)를 통해 주변 세포에 부정적인 신호를 전달한다. 이는 피부 탄력‧밀도를 감소시키고 주름‧처짐 등을 유발한다. 천연화장품 원료기업 바이오스펙트럼 연구진은 Gosori의 In-v
한국콜마가 우리나라 자생식물 ‘꼬리조팝나무’에서 업계 최초로 항노화(Anti-aging) 효과를 확인·입증하고 연구 논문을 국제 SCI급 학술지를 통해 발표, 관심을 모으고 있다. 이를 계기로한국 고유의 자생식물 소재를 활용한 화장품 개발을 통해 K-뷰티의 글로벌 시장 영향력 확대를 위한 활동에도 박차를 가한다. 한국콜마는 “꼬리조팝나무(Spiraea Salicifolia) 추출물을 활용해 소재를 개발하고 항노화 효과를 입증한 연구논문을 최근 국제 SCI급 학술 저널 내추럴 프로덕트 커뮤니케이션(Natural Product Communications)에 게재했다”고 밝혔다. 한국콜마 연구진은 지난 2년간 고려대학교 약학대학 이기용 교수팀과 공동으로 연구를 진행한 결과 꼬리조팝나무에서 추출한 원료가 피부 노화를 억제하는 효능이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꼬리조팝나무는 조팝나무속 장미과 식물로 우리나라 자생식물이다. 관절염이나 타박상을 치료하는 목적으로 쓰인 전통 약재 식물로 그동안 피부 효능에 대한 연구는 이뤄지지 않은 상태였다. 연구진은 꼬리조팝나무 추출물이 항산화·항염증·주름개선 등 다양한 피부 효능을 갖고 있다는 것을 입증했다. 꼬리조팝나무에 함유된 하이페
(주)한국화장품제조(대표이사 이용준) 기술개발연구원이 동백꽃에서 분리한 유산균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 유래 엑소좀의 피부 개선 효과를 입증한 연구 결과를 SCIE급 국제 학술지에 발표하고 관련 기술에 대한 특허를 등록했다고 밝혔다. (주)한국화장품제조 연구진은 피부 과학·화장품 소재 연구를 지속 진행, 다년간 다양한 천연 유래 성분을 활용한 화장품 원료 개발에 주력해 왔다. 특히 이번 연구는 동백꽃에서 분리한 유산균의 엑소좀을 활용해 피부 미백·항염 효과를 과학성에 기반해 검증한 성과로 주목받고 있다. 연구에 따르면 해당 엑소좀은 멜라닌 생성 억제뿐만 아니라 피부 염증을 완화하는 데에도 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확인했다. 해당 특허 기술은 피부 유사 지질 성분과 결합해 보습·항염·피부 장벽 강화 효과를 갖는 동백꽃 유산균 유래 엑소좀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이다. (주)한국화장품제조는 이번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해당 엑소좀을 활용한 다양한 화장품 제품에 적용, 신제품을 개발·출시할 계획이다. 특히 미백 기능성 화장품과 피부 장벽 강화를 위한 제품군 개발에 적용함으로써 소비자에게 혁신성 강한 스킨케어 솔루션을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주)엑티브온(대표이사 조윤기)이 중국 광저우에서 열린 PCHi 2025(Personal Care and Homecare Ingredients·2월 19일~21일) 전시회에 부스를 열고 참가, 혁신 신규 원료를 선보이며 큰 주목을 받았다. 이번 전시회에는 전 세계 790곳의 화장품·퍼스널 케어 원료·소재 전문기업(해외 252곳· 중국 538곳)과 3만7천여 명의 참관객이 몰려 성황을 이뤘던 것으로 확인했다. 엑티브온은 △ A-SoothingUp RB △ Acxosome-series, Activonol-6N 등 신제품을 처음으로 공개, 글로벌 시장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강력한 자극 완화 효과 ‘A-SoothingUp RB’ (주)엑티브온이 새롭게 출시한 A-SoothingUp RB는 레티놀을 포함한 다양한 자극원으로 인한 피부 자극 완화 효과를 임상을 통해 증명한 원료다. A-SoothingUp RB를 포함한 세럼을 도포한 뒤 5분 이내에 즉각 자극 완화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현장에서 큰 관심을 받았다. 자극받은 피부를 빠르게 진정시켜주는 혁신 효과로 글로벌 화장품 기업들로부터 높은 평가를 받은 것. 특허받은 엑소좀 기술 적용한 ‘Acxosome-series’
글로벌 화장품 연구·개발·생산(ODM) 전문기업 코스맥스그룹이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부설 극지연구소와 ‘극지 유용 미생물 자원 발굴과 화장품 소재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MOU)를 체결하고 공동 연구에 들어간다. 양 측은 이번 협약을 통해 남극 미생물 자원을 발굴하고 이를 활용한 제품화 과정을 적극 협력할 방침이다. 코스맥스는 지난 2011년 처음 피부 마이크로바이옴 연구를 시작한 이래 업계 최고 수준의 생물 자원 활용 기술력을 향상시키는데 역점을 기울이고 있다. 2019년 세계 최초 피부 마이크로바이옴 화장품 상용화에 성공한 데 이어 최근에는 바이오 분야까지 연구 영역 확대를 진행 중이다. 국내 뿐만 아니라 해외 각국의 피부 마이크로바이옴 연구를 탐색한다. 사람 뿐만 아니라 토양을 비롯해 다양한 미생물 연구에도 손을 대고 있다. 이를 통해 현재까지 3천여 종 이상의 미생물을 확보했다. 코스맥스는 최근 들어 마이크로바이옴 연구와 관련해 외부 협력을 크게 확대하고 있다. 미국 하버드대 의과대학을 비롯해 중국 푸단대·싱가포르 국립대 등과 공동연구를 진행한다. 극지연구소는 남극세종과학기지와 북극다산과학기지, 쇄빙연구선 아라온호 등 극지연구 기반시설을 운영하는 정부 출
환경부 산하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관장 유호)이 하늘지기의 추출물을 국제화장품원료집(ICID)에 등재했다. 화장품 원료 명칭은 ‘Fimbristylis Dichotoma Extract’이다. 하늘지기는 논 주변이나 습지에서 자라는 한해살이풀이다. 높이는 15~50cm이며 꽃은 7월부터 10월 사이 핀다. 줄기는 모여나고 털이 관찰된다. 국제화장품원료집(International cosmetic ingredient dictionary, ICID)은 미국화장품협회(Personal Care Products Council, PCPC)에서 발간한다. 미국화장품협회 산하 국제화장품원료명명위원회(International Nomenclature Committee, INC)가 심사를 담당한다. 이 원료집은 화장품 원료에 대한 국제 표준 명칭과 정보를 제공한다. 이는 화장품 원료의 안전성과 품질을 보장하는 국제 표준으로 사용된다. 등재된 원료는 세계에서 통용되는 공식 명칭(INCI Name)을 부여받으며 글로벌 신뢰도를 얻는다.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연구진은 하늘지기 추출물의 항염·항산화력과 피부장벽 개선 효과를 확인했다. 이를 바탕으로 2023년 9월 특허를 출원한 바 있다. 특
바이오기업 엘파운더(대표 이자복)가 ‘개양귀비 꽃‧씨앗오일 조성물’ 특허를 취득했다고 밝혔다. 특허 명칭은 ‘개양귀비꽃 추출물 및 개양귀비 씨앗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미백‧주름개선용 조성물’(등록번호:10-2685777)이다. 엘파운더는 개양귀비꽃 추출물과 씨앗 오일을 최적 비율로 배합했다. 이 조성물이 미세먼지로 인한 피부 손상을 예방‧개선하고, 미백‧주름개선 효과를 제공하는 점을 규명했다. 초미세먼지(PM2.5)는 피부 표면을 넘어 진피층까지 침투해 염증과 주름을 유발한다. 엘파운더는 초미세먼지의 피부 유해성에 초점을 맞춰 조성물을 개발했다. 엘파운더 연구진은 개양귀비꽃 추출물 100μg/mL와 씨앗 오일 2ppm, 또는 개양귀비꽃 추출물 200μg/mL와 씨앗 오일 2ppm 배합 시 최적 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입증했다. 이 조성물은 △ AHR 증가 억제 △ PTEN 감소 억제 △ FOXO 증가 억제 등을 담당한다. 이를 통해 미세먼지로 인한 피부 염증을 효과적으로 차단한다. MMP 생성을 억제해 주름개선 효과도 나타낸다. 이자복 엘파운더 대표는 "미세먼지로 인한 피부손상이 증가하고 있다. 개양귀비를 활용해 항염‧화이트닝‧안티에이징 조성물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