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이피알이 ‘메디큐브 에이지알 부스터 진동 클렌저’를 선보였다. 이 제품은 스킨케어 디바이스인 ‘부스터 프로 미니 플러스’와 ‘부스터 진동 클렌저 헤드’를 결합했다. 하루 3분으로 △ 세안 △ 얼굴 선 관리 △ 스킨케어를 한 번에 경험할 수 있다. 8중 실리콘 미세모가 피부 결에 맞춘 클렌징을 실시한다. 3분 동안 미세진동이 약 3만9000회(5단계 기준) 발생해 강력한 세정 효과를 제공한다. 인체적용시험을 실시해 1회 사용 시 메이크업 세정력이 손 세안에 비해 133% 우수하다는 점을 확인했다. 아울러 부스터 진동 클렌저는 중주파 EMS 기술을 탑재했다. 기기 상단부에 장착된 EMS 전극 단자가 피부 미세근육을 자극한다. 이를 통해 얼굴 붓기와 탄력 등을 개선한다. 클렌징 오일과 함께 사용하면 깊은 EMS 자극을 체험할 수 있다. 안전성도 강화했다. ‘스마트 3D 입체 진동’ 기술을 적용해 클렌징 과정에서 피부장벽 손상을 줄였다. 생활방수 기능을 갖춰 편리하게 사용 가능하다. 피부 상태나 클렌징 제품의 제형에 맞춰 3가지의 클렌징 모드를 지원한다. 이는 모바일 앱 ‘에이지알’과 연동돼 맞춤형 피부 관리를 돕는다. 클렌징 후 ‘부스터 프로 미니 플러스’를 분
이마트 전용 브랜드 ‘글로우:업 바이 비욘드’(GLOW:UP BY BEYOND)가 여름 철 뜨거워진 피부를 위한 수분·진정 케어 신제품 ‘히알루론 판테놀 수분 진정 라인’(4종)을 내놨다. 글로우:업 바이 비욘드는 LG생활건강의 클린뷰티 브랜드 비욘드에서 지난 4월 론칭한 이마트 전용 브랜드. 피부 고민별 슬로우-에이징(Slow-aging·저속노화) 트렌드를 반영, 탄력·광채&수분·진정 등 고효능 화장품을 합리성을 갖춘 가격에 구매할 수 있는 것이 특징. 론칭과 함께 선보였던 콜라겐과 바쿠치올을 핵심 성분으로 한 탄력·광채 라인은 출시 2개월여 만에 4만개 이상 판매가 이뤄져 가성비 높은 슬로우-에이징 제품으로 인기몰이를 하고 있다. 글로우:업 바이 비욘드는 여름 시즌 개막을 맞아 수분·진정 라인 신제품 4종을 새롭게 출시했다. 이들 제품은 초저분자부터 고분자까지 다양한 사이즈로 촘촘한 수분 케어를 돕는 7종 히알루론산과 피부 진정 효능이 있는 판테놀을 함유했다. △ 세안 후 피부결 정돈을 도와주는 토너 △ 피부 속까지 수분을 채워 속당김을 개선해주는 세럼 △ 사용 직후 피부 온도를 6.5℃ 낮춰주는 크림 등을 기초 케어 제품으로 선보인다. 특히 세럼
국내에서 열리는 화장품 원료·소재 관련 전문 전시회에서 매년 새로운 형식의 클라이언트 초청 이벤트로 화제의 중심에 서는 (주)수이케이가 올해에도 어김없이 고객사 담당자들의 호평을 받으며 진가를 발휘했다. 꽤나 분주하고 복잡한 전시회장을 잠시 벗어나 염두에 뒀던 원료·소재를 테스트하고 충분한 설명을 받으며 식사와 함께 네트워킹까지 가능하도록 배려한 (주)수이케이의 VIP 전시회(7월 2일~3일·노야 코엑스점)다. ‘전시회 내의 또 하나의 전시회’로 자리매김 (주)수이케이 측은 “다년간 국내외 전시회에 참가하면서 전시회 기간 중 적절한 점심식사 장소를 찾는 것이 매우 힘들다는 점에 착안, 수년전부터 점심식사와 원료전시공간을 함께 만들고 편안하게 식사를 기다리면서 원료를 살펴 볼 수 있는 ‘또 하나의 전시회’로 기획했다”고 설명한다. 매년 새로운 식사 메뉴와 함께 원료·소재 전시를 진행하면서 고객사 담당자들의 참석이 늘어나는 현상이 어어지고 있다. 특히 매년 고객의 소리(Voice of Customer)를 적극 반영, 업그레이드한 원료·소재 큐레이팅이 고객사의 매출과 직결하는 성과를 올려 (주)수이케이와 고객사가 윈-윈할 수 있는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로서의 가치도
사실 국내 화장품 업계에서 어느 정도의 업력을 가진, 특히 해외(미국) 시장 개척이나 수출 업무를 진행해 왔던 사람이라면 샬럿 조 대표와 소코글램은 꽤나 익숙한 이름이자 회사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2012년 ‘K-뷰티’라는 단어가 태동조차도 하기 전이었던 시기에 ‘대한민국에도 이렇게 좋은 화장품이 있다’며 존재를 알리고 적게는 서너 가지, 많게는 무려 10가지에 이르는 스킨케어 루틴을 소개하는 등 ‘제 1세대 K-뷰티 전도사’라고 불리는 샬럿 조 소코글램 대표가 코로나19 팬데믹 사태 이후 처음으로 한국을 찾았다. 인-코스메틱스 코리아(7월 2일~4일) 콘퍼런스를 통해 현 시점 미국 화장품 시장에서 자리매김하고 있는 K-뷰티의 위상과 미래 전망을 공유하기 위해서다. 자사 브랜드 ‘Then I met you’에 대한 비즈니스 미팅 역시 예정돼 있기도 하다. “현재 주요 매체와 소셜 미디어를 통해 알려지고 있는 미국에서의 K-뷰티 인기는 결코 과장이거나 국수주의에 기반한 자아도취 수준이 아닙니다. 무역 관련 통계에서도 확인할 수 있고 시장에서의 반응도 ‘리얼’입니다. 지난 2016년에 1차 붐이라고 할 수 있을 정도의 인기와 관심이 있었다면 지난해부터는 2차
친환경‧지속가능성이 뷰티산업 화두로 떠올랐다. ‘깨끗하고’ ‘윤리적인’ 화장품은 원료에서 출발한다. 재생가능 자원과 녹색화학을 기반으로 한 바이오 원료가 주목받고 있다. 인삼‧녹두‧죽순‧포도순 등 지역 자생식물을 활용한 원료나 미생물 발효공법을 적용한 바이오 원료가 차세대 뷰티시장을 이끌 핵심요소로 떠올랐다. 바이오 펩타이드부터 비건 뮤신까지 등장하며 동물성 원료를 대체하는 움직임이 커지고 있다. 초저분자 고활성 액티브 성분이 증가하며 기능성 스킨케어 시장도 활성화되는 모습이다. 글로벌 화장품 원료동향을 제시하는 ‘인-코스메틱스 코리아’가 2일부터 4일까지 서울 삼성동 코엑스 2~3층에서 열렸다. 이번 행사에선 국내외 화장품 원료기업 275개사가 참여해 부스를 열었다. 65개 신규 참여업체와 이너뷰티 원료사는 2층 별도 공간에 부스를 꾸렸다. 참가사들은 스킨케어‧메이크업‧헤어‧보디‧향수‧웰니스 분야별 최신 원료와 혁신기술을 소개했다. 올해는 이너뷰티 성분 존을 새롭게 선보였다. 바이오솔루션‧잰슨리 등 참가사들은 콜라겐‧히알루론산‧비타민 등 이너뷰티 원료와 뷰티 솔루션을 제시했다. 혁신존에선 지난 8개월 동안 출시된 원료를 기능성과 활성성분 두 부문으로 나눠
산업통상자원부의 상반기 화장품 수출 실적이 사상 최대치를 경신(55억1천만 달러)했다는 발표와 함께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 www.mfds.go.kr )가 한국무역통계진흥원·한국무역협회의 수출 실적 자료를 인용, 국가·유형별 수출 실적(잠정)에 대한 분석을 발표했다. <대한화장품협회와 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이 집계 발표하는 국가·유형별 화장품 수출 실적은 관세청 자료를 기준으로 우리나라 화장품 분류기준을 적용하며 이에 따라 해당 월의 익월 15일 경 집계 발표한다.> <코스모닝닷컴 7월 1일자 ‘상반기 화장품 수출액 55억1000만$…전년 대비 14.8% 증가’ https://www.cosmorning.com/news/article.html?no=50781 기사 참조> 미·일 포함, 유럽·중동·남미 등 고른 증가 식약처 발표 자료에 따르면 올 상반기 화장품의 수출액이 가장 컸던 국가는 여전히 중국으로 10억8천만 달러였다. 전체 수출액의 19.6%를 점유했다.(이하 괄호 안은 점유율) 뒤를 이어 미국 10억2천만 달러(18.5%), 일본 5억5천만 달러(10.0%) 순이었다. 국가별 수출 실적에서 가장 눈에 띄는 국가는 폴란드다. 지
닥터지가 이달 5일부터 10월까지 진에어에서 성수기 프로모션을 진행한다. 닥터지는 진에어 지니 홈배송을 통해 △ 블랙 콜라겐300 마스크팩 △ 리바이탈 인헨서 세트 △ 로얄 블랙 스네일 앰플 마스크 세트 △ 로얄 블랙 스네일 크림 세트 △ 블랙 스네일 세트 △ 더모이스처 배리어D 로션 세트 △ 로얄 블랙 스네일 앰플 △ 레드 블레미쉬 포 맨 탄력 올인원 등을 선보인다. ‘블랙 콜라겐300 마스크팩’은 지난해 6월부터 올해 5월까지 진에어 기내 홈쇼핑 화장품 부문에서 판매 1위를 기록했다. 피부에 영양과 광채감을 선사하는 블랙 프로폴리스와 저분자 콜라겐을 함유했다. 마스크팩 한 장으로 보습‧탄력‧광채를 하번에 관리할 수 있다. ‘리바이탈 인헨서 세트’는 EGF를 함유한 앰플과 크림으로 구성했다. 피부에 깊은 보습과 영양을 선사한다. ‘블랙 스네일 세트’는 크림‧앰플‧마스크팩 3종을 담았다. 피부 속부터 차오르는 광채 탄력 솔루션을 제공한다.
라엘(Rael)이 6월 9일부터 13일까지 5일 동안 미국 인플루언서 14명을 초청해 ‘2025 로밍 위드 라엘’을 진행했다. 올해 2회를 맞은 ‘로밍 위드 라엘’(Roaming with Rael)은 브랜드 체험 프로그램이다. 라엘의 브랜드 철학과 K-뷰티의 정수를 글로벌 인플루언서에게 알리기 위해 기획했다. 참가자들은 5일 동안 서울에 머무르며 K-뷰티와 웰니스 문화를 경험했다. 미국 인플루언서단은 올리브영 강남타운을 방문해 한국 화장품과 웰니스 제품을 둘러봤다. 마이크로 인플루언서 콘테스트 우승자인 엘리자베스 팍(Elizabeth Pak)은 “다양한 제품을 한자리에서 만날 수 있는 올리브영 쇼핑이 인상적이었다”고 전했다. 틱톡 팔로워 390만명을 보유한 메이 메이(Mei Mei)는 “올리브영에서 쇼핑한 건 정말 색다른 경험이었다”고 말했다. 백양희 라엘 대표는 라엘의 브랜드 특징을 소개했다. 여성의 생애주기와 호르몬 변화에 맞춘 웰니스 솔루션을 설명했다. 또 참가자들과 라엘 생산공장을 방문해 품질관리 과정을 공유했다. 틱톡 팔로워 1040만명을 보유한 렉시 헨슬러(Lexi Hensler)는 “라엘을 창립한 세 여성들의 이야기를 생생히 들었다. 브랜드를 이
FDA화장품인증원(대표 정연광)이 사무실을 이전, 오픈했다. 새 주소는 서울 성동구 왕십리로10길 6, 1112호(성수동1가, 서울숲비즈포레). 연락처, 메일, 홈페이지 주소 등은 변동없다.
티엘스가 ‘레드 오렌지 피디알엔 부스트 세럼’을 선보인다. 이 제품은 수분 광채를 선사해 얼굴 중앙 하트존을 투명하게 밝힌다. 잡티 흔적과 피부 속 건조까지 동시에 해결한다. 수분을 응축한 겔이 얼굴에 빈틈없이 밀착한다. 피부 속부터 수분 볼륨을 채워 얼굴의 또렷함을 살려준다. 인체적용시험을 실시해 수분 플럼핑 효과를 확인했다. 제품 사용 2주 후 △ 수분 84.32% △ 볼륨 14.91% △ 피부 광채 32.29% △ 피부결 12.3% 등이 개선됐다. 저분자 쌀 PDRN이 피부를 맑고 투명하게 가꾼다. 리포좀 비타민 3종과 나이아신아마이드가 하트존 부위의 색소침착 흔적을 완화한다. 제품 사용 2주 후 눈 밑 색소침착은 14.64%, 볼 색소침착은 12.01% 개선됐다.
뷰티패션 플랫폼 에이블리는 콘텐츠 제작∙유통사 학산문화사가 입점했다고 밝혔다. 에이블리는 대원씨아이·서울미디어코믹스에 이어 학산문화사와 손 잡았다. 웹툰·웹소설을 강화하며 스타일 커머스(Style Commerce)에서 나아가 스타일 포털로 도약할 방침이다.
‘2025 인터참코리아’가 2일 막을 올려 4일까지 이어진다. 인터참코리아(interCAHRM KOREA)는 서울 삼성동 코엑스 1층 A홀 전관과 로비에서 열린다. 화장품 완제품부터 부자재‧OEM‧ODM기업 등을 다채롭게 소개한다. 올해 23회를 맞은 ‘2025 인터참코리아’에는 뷰티기업 387곳이 참가했다. 이들 기업은 부스에서 스킨케어‧메이크업‧헤어‧보디케어‧향수 등을 전시했다. OEM‧ODM관에는 이든팜‧일진코스메틱‧우신화장품‧해피엘앤비‧도미노코리아 등이 참여했다. 단체관에는 경상북도‧경산시‧부산광역시‧제주테크노파크 등이 부스를 구성했다. 중국 국가관에선 화장품 브랜드‧부자재 등을 선보였다. 2025 인터참코리아는 ‘해외 바이어가 직접 찾는 글로벌 전시회’를 슬로건 삼고 B2B 비즈니스 매칭을 강화했다. 해외 진성 바이어들을 초청해 K-뷰티 기업과 상담을 지원하고 나섰다. 특히 올해는 해외 유통기업 250곳의 바이어가 행사장을 방문한다. 미국‧유럽‧일본‧동남아시아 등 주요 시장의 유력 바이어가 부스를 순회하며 1:1 상담을 펼치고 있다. 올해는 ‘라이징 어워즈’를 신설했다. ‘2025 라이징 어워즈’(2025 The Rising Awards) 수상작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