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명한 OO 브랜드’, ‘OO이 쓰는 화장품’를 사는 시대는 갔다. 고객은 점점 더 젊어지고, 유행은 MZ세대로부터 온다. MZ세대는 브랜드나 제품이 아닌, 이야기에 지갑을 연다. 요즘 젊은층이 ‘좋아요’를 누르는 가장 뜨거운 이야기는 이것이다. 클린뷰티. 클린뷰티라는 ‘똑똑한’ 트렌드가 뷰티업계를 장악했다. 클린뷰티는 유행을 넘어 뷰티에 대한 애티튜트이자 문화, 미래상으로 떠올랐다. 화장품업계는 한창 전쟁 중이다. ‘더 깨끗하게, 더 무해하게’를 향해 아름다운 전쟁. 전쟁의 중심에 있는 클린뷰티 2.0 기업은 숨쉬듯 혁신하며 보폭을 확장하고 있다. K-클린뷰티는 스몰‧인디 브랜드, 스타트업 등과 연계해 발전하는 단계다. 클린뷰티업계에 ‘10+10=20’ 더하기(+)의 경영은 가고, 10˟10=100 곱하기의 경영 시대가 왔다. 정확하고 현명하게, 핏을 맞출 때 높은 시너지가 발생한다. 지금 클린뷰티업계는 핏 맞추기에 돌입했다. 슬록(김기현)이 오늘(29일) 서울창업허브 공덕에서 ‘K-뷰티 B2B 프라이빗 엑스포’를 개최했다. ‘K-뷰티 B2B 프라이빗 엑스포’에는 클린뷰티를 지향하는 기업과 산업 종사자 250여명이 모였다. 참가자들은 글로벌 클린뷰티 트렌
대한화장품협회 회원사와 비회원사와의 기회 형평성과 공정성 논란으로 국정감사장에서도 관련 사안을 놓고 지적이 이는 등 한 차례 몸살을 앓았던 중소벤처기업부의 ‘K-뷰티론’ 사업이 지원 대상 기업을 확대하는 내용을 골자로 오늘(10월 31일)재공고됐다. 지난 4월 중소벤처기업부(이하 중기부)가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과 함께 지원을 시작한 K-뷰티론 사업은 우수 화장품 브랜드에 신제품 생산비용을 지원하기 위해 기획, 진행 중이다. 선정 기업은 발주 금액 내에서 최대 1억 원씩, 연간 2회까지 정책자금을 저리(최대 5년간, 정책금리 약 2%)로 대출 받을 수 있는 조건이다. <코스모닝닷컴 2025년 4월 23일자 기사 ‘사상 첫 ‘K-뷰티론’ 정책자금 200억 풀렸다!’ https://www.cosmorning.com/news/article.html?no=50358 참조> 그렇지만 일부 기업들이 대한화장품협회 회원사와 거래하는 기업만 지원 대상으로 한정한 요건이 불합리하다는 문제가 제기되면서 관련 사안〈중앙일보 10월 1일자 경제면 보도〉이 수면 위로 떠올랐다. 이후 지난 29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중기부 종합감사에서 한성숙 중기부 장관이 “K
올리브영이 ‘APEC 2025 KOREA’를 방문한 각국 정상들에게 K-뷰티 패키지를 선물했다. K-뷰티 패키지(The Best K-Beauty Selection)는 스킨케어‧메이크업‧퍼스널케어 제품 17종으로 구성됐다.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인기를 누리는 중소·인디‧프리미엄 브랜드를 선정했다. 패키지 디자인은 경주를 상징하는 신라 금관과 전통 매듭에서 영감을 받았다. 원목 소재와 자개를 활용해 한국적 아름다움의 정수를 표현했다. 아울러 올리브영은 K-뷰티 기념품 약 8천 세트를 협찬했다. 이 세트는 정부 대표단과 고위 관리, 기자단에게 전달됐다. 올리브영 관계자는 “이번 APEC 현장에서 한국 화장품의 매력과 경쟁력을 알렸다. 중소 브랜드와 K-뷰티 산업 생태계를 확장하며 성장해 나가겠다”고 말햇다.
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글로벌 코스메틱 포커스-영국·사우디아라비아 올해 3분기까지 1억5천800만 달러의 수출 실적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의 1억900만 달러보다 44.9%의 고성장세를 보이면서 국가별 수출 실적에서 11위까지 순위를 끌어올린 영국과 초기 중동 바람을 주도하다가 최근 들어 주춤한 양상을 보이고 있는 사우디아라비아 화장품 시장에 대한 최신 리포트가 발간됐다. 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원장 조신행· www.kcii.re.kr ·이하 화산연)이 발간한 ‘2025년 글로벌 코스메틱 포커스-영국·사우디아라비아’ 편에 따르면 이들 두 국가 모두 최근들어 화장품 관련 규정을 재정비하고 나선 것으로 파악됐다. 이는 자국의 소비자 보호를 위한 규제 강화의 일환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적절한 대처가 이뤄져야 상승세를 타고 있는 수출 전선에 큰 무리가 따르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다. ‘소비자 보호’ 내세운 화장품 규정 재정비 브렉시트 이후 유럽 연합(EU)과 다른 독립 규제 체계를 구축하며 화장품 성분 규제를 강화하고 있는 영국. 이미 올해 3월 ‘메틸살리실레이트’(Methyl Salicylate) 성분 사용을 제한하는 규정을 발표하고 9월부터는 잉글랜드·웨일스
글로벌 화장품 ODM(연구·개발·생산) 전문기업 코스맥스가 최근 화장품 시장 최고의 이슈 메이커 원료 PDRN의 합성 경로 다각화에 성공했다. 코스맥스는 “다양한 PDRN 원료를 활용해 고기능성 맞춤형 제품을 선보이며 국내와 글로벌 시장에서 기술 우위 확보에 나선다”고 밝혔다. 서울시립대 연구팀과 비건 PDRN 개발 성공 코스맥스는 서울시립대학교 최용준 교수 연구팀과 공동연구를 통해 차세대 합성 플랫폼 CFSS(Cell Free Synthetic System)를 활용, 비건 PDRN 개발에 성공했다고 30일 밝혔다. 신규 개발한 비건 PDRN은 연어 PDRN과 99.9% 이상 동일한 서열을 갖는다. 코스맥스는 스킨케어 브랜드 ‘라운드랩’(ROUND LAB)을 전개하고 있는 서린컴퍼니와 MOU(업무협약)를 체결하고 글로벌 시장 본격 공략을 시작한다. 코스맥스는 원료의 생합성·응용 연구를, 서린컴퍼니는 비건 PDRN을 활용한 제품화·시장 확대 전략을 담당한다. PDRN(Polydeoxyribonucleotide)은 진정 효과 등으로 잘 알려진 특화 원료다. 그동안은 연어의 정소에서 주로 추출해 원료 수급에 한계가 있었던 것이 사실이다. 안정성 기반 PDRN 원료
상승세를 거듭하던 대한민국 화장품 수출 상승세가 10월 들어 한걸음 쉬어가는 양상을 보였다. 올해들어 2월부터 9월까지 8개월 연속 이어가던 전년 같은 기간 대비 성장세도 멈췄다. 산업통상자원부(장관 김정관· www.motie.go.kr )이 잠정 집계, 발표한 ‘10월 수출입동향’자료에 따르면 이 기간 우리나라 화장품 수출 실적은 9억2천300만 달러를 기록, 전년 같은 기간의 10억3천300만 달러보다 1억1천만 달러·10.6%가 감소했다. 이와 함께 역대 최고 월간 실적을 보였던 지난 9월에 비해서도 2억2천600만 달러·19.7%가 줄어든 수치를 나타냈다. 이로써 10월까지 우리나라 화장품 누적 수출 실적은 94억2천200만 달러(올해 9월말까지의 최초 실적 발표에서 △ 8월 실적은 8억6천500만 달러(100만 달러 감소) △ 9월 실적은 11억4천900만 달러(2천200만 달러 감소)로 조정 반영) 지난해 같은 기간 누적 실적 83억9천800만 달러보다 10억2천400만 달러가 늘어나 12,2%의 성장률을 기록하고 있다. 이는 지난 3분기(9월)까지의 성장률 15.7%보다는 3.5%포인트 하락한 수치이기는 하지만 2년 연속 100억 달러 돌파에는
(재)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원장 조신행· www.kcii.re.kr ·이하 화산연)이 올 한 해 동안 진행한 해외 시장 동향 조사·산업 정보 사업의 결과를 결산하고 이를 공유하는 분야별 세미나를 잇달아 개최한다. △ 피부특성 정보은행 사업 결과 세미나(11월 12일(수))를 시작으로 △ 제 5차 글로벌 화장품 규제 동향 세미나(11월 20일(목)) △ 제 15회 글로벌 화장품 시장 동향 분석 세미나(11월 27일(목)) △ 화장품 안전성 평가 연구 사업 결과 세미나(11월 28일(금))까지 모두 네 차례에 걸쳐 진행할 예정이다. 피부특성 정보은행 사업의 경우 △ 올해 조사 대상 국가 튀르키예(이스탄불) 현지인의 피부특성과 화장품 이용행태 결과 △ 피부특성정보은행 소개와 연구 활용 △ 미국 온라인 소비자 선호 제품 분석 △ 피부특성 정보 플랫폼 시연 등을 주요 내용으로 다룬다. 제 5차 글로벌 화장품 규제동향 세미나에서는 △ OTC 수출 등록과 FDA 실사 절차 △ GMP 품질시스템 구축 실무 △ 자재·설비 관리·라벨링 가이드 △ 글로벌 규제 비교와 대응 전략 등을 발표할 예정이다. 마지막 주에는 2개 세미나를 이틀 연속(11월 27일·28일)으로 진행한다. 제
올리브영이 ‘2025 올리브영 임팩트 리포트’를 발간했다. 이번 보고서는 올리브영의 2024년 경영활동을 지속가능성 관점에서 분석해 작성됐다. 사업 활동이 환경과 사회에 미치는 영향, 지속가능성의 재무적 효과 등을 평가했다. 올리브영은 보고서를 국문·영문 두 가지 언어로 발행했다. 글로벌 사업 확대에 따라 이해관계자의 범위가 국내에서 해외까지 넓어져서다. 올리브영은 사업을 심층분석하고 내·외부 이해관계자들의 인터뷰를 진행했다. 이를 바탕으로 지속가능경영을 위한 세가지 사업 전략을 도출해 보고서에 담았다. △ K-뷰티 글로벌 시장 선도 △ 파트너 상생경영 △ 옴니채널 강화 등을 중점 소개했다. ‘K-뷰티 글로벌 시장 선도’에선 올리브영 글로벌몰을 통한 중소 브랜드 성장 사례를 다뤘다. 방한 관광객의 쇼핑성지로 떠오른 올리브영 매장도 실었다. ‘파트너 상생경영’에선 올리브영과 브랜드의 동반성장 사례를 다뤘다. 올리브영이 운영하는 브랜드 생애주기별 성장 지원 프로그램을 설명했다. ‘옴니채널 전략 강화’에선 전국 매장망과 온라인몰의 역할을 조명했다. 소비자들의 쇼핑 접근성을 높이는 ‘오늘드림’과 도심형 물류센터(MFC) 등도 제시했다. 올리브영은 지난 한해 진행한
프리몰드닷넷이 주최한 ‘K-뷰티 B2B 프라이빗 엑스포’가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프리몰드닷넷(대표 신남철)은 10월 29일 서울창업허브 공덕에서 뷰티업계 종사자들을 초청해 ‘K-뷰티 B2B 프라이빗 엑스포’를 열었다. 이 행사는 클린뷰티 플랫폼 슬록(대표 김기현)과 공동 개최했다. 국내외 혁신 제조기업 10개사와 뷰티업계 관계자 250여명이 참석해 정보와 기술을 공유했다. 주최측은 참여기업과 참가자 간 사전 매칭을 통해 비즈니스 효율을 높였다. 특히 이번 행사는 ‘사전 매칭’과 ‘1:1 미팅’에 중점을 뒀다. 외형보다 효율‧성과‧실질에 중점을 둔 신개념 뷰티 B2B 행사로 주목 받았다. 이는 숫자로 입증됐다. 뷰티업계 종사자 260여명이 행사 개최 전 참가 신청을 완료했다. 화장품 브랜드‧수출‧유통‧플랫폼 등 여러 분야에서 고른 참여율을 기록했다. 1:1 비즈니스 상담의 경우 380건 이상이 사전에 접수됐다. 참여 기업은 프리몰드닷넷의 주요 회원사인 △ 펌텍코리아 △ 라온커머스 △ 루치온 △ 리안코스메틱스 △ 맥본 △ 메가코스 △ 씨티케이 △ 엔글로벌 △ 피코스텍 등이다. 일본기업 EF폴리머는 해외기업으로 유일하게 세미나와 상담에 참가해 글로벌 협력 가능성
아모레퍼시픽이 영국 최대 드럭스토어 체인 부츠(Boots)와 협업, 마몽드·프리메라·일리윤 등 3개 주요 브랜드를 현지에 공식 론칭한다. 이번 파트너십은 아모레퍼시픽의 라네즈와 이니스프리 브랜드가 영국 시장에 성공적으로 안착한 가운데 부츠가 직접 큐레이션한 K-뷰티의 핵심 브랜드로 입점했다는 점에서 의미를 가진다. 부츠는 175년 이상의 역사를 지닌 영국 최대 규모의 드럭스토어. 영국 전역에 약 1천800여 개의 헬스&뷰티 매장을 보유한 대표 리테일러다. 아모레퍼시픽은 이번 협업을 통해 ‘K-뷰티 에딧 바이 부츠’라는 주제 아래 이들 3개 브랜드로만 구성한 ‘K-뷰티 존’을 구성해 제품을 선보인다. 대표 제품으로는 △ 마몽드 ‘플로라 글로우 로즈 리퀴드 마스크’ △ 프리메라 ‘마일드 앤 퍼펙트 클렌징 오일 투 폼’ △ 일리윤 ‘세라마이드 아토 집중 크림’ 등을 내세운다. 마몽드·프리메라·일리윤으로 구성한 K-뷰티 존은 런던 시내 주요 매장 6곳을 포함한 영국 전역 47개 매장에서 먼저 선보이며 향후 매장 수를 점차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동시에 부츠닷컴(Boots.com) 온라인몰과 모바일 앱 론칭을 통해 영국뿐 아니라 유럽 전역의 소비자들을 만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