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트라 로스앤젤레스무역관 리포트 요약 지난 2022년 말 제정한 ‘화장품 규제 현대화법’(이하 MoCRA·Modernization of Cosmetics Regulation Act of 2022)의 시행과 2기 트럼프 정부 집권과 동시에 여전히 위협으로 작용하고 있는 25% 수준의 관세 부과 등 다양한 무역 장벽에도 불구하고 대 미국 수출 실적이 상승세를 그리고 있는 K-뷰티. K-뷰티가 이렇나 법·제도 관련 장애물을 넘어 성장세를 이어가기 위해서는 철저한 SWOT 분석과 함께 △ 클린뷰티 △ BIPOC(Black, Indigenous, and People of Color)를 위한 브랜드 △ 디지털 네이티브 뷰티 분야에 대한 관심과 공략을 이뤄가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코트라 로스앤젤레스 무역관은 최신 리포트를 통해 지난해 미국 수입화장품 시장에서 1위에 오른 K-뷰티에 대한 실적과 함께 단일 국가 최대 규모의 화장품 시장을 형성하고 있는 미국 시장 공략에 대한 조언을 내놨다. 주요 기업 현황 리포트에 의하면 2025년 현재 미국 화장품 시장은 △ 로레알USA(62억 달러) △ 유니레버(49억 달러) △ P&G(44억 달러) △ 에스티로더(40억 달러
최근 K-뷰티의 글로벌 확산과 함께 미국 FDA(식품의약국)의 화장품 규제가 더욱 엄격해지고 있다. 특히 지난 6월 FDA가 발표한 새로운 미생물 오염 관련 수입경보는 한국 화장품 업계에 상당한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그렇다면 FDA 경고장을 받은 후 어떤 일들이 벌어지는지, 그리고 화장품 업체들은 어떻게 대비해야 하는지 상·하 편으로 나눠 자세히 살펴본다. ■ 경고장, 그 이후의 이야기 FDA 경고장(Warning Letter)은 단순한 ‘주의’가 아니다. 이는 해당 제품이 연방법을 위반했음을 공식 통보하는 ‘마지막 통첩’이다. 경고장에는 발견된 위반 내역과 관련 법 조항을 명시한다. 업체는 30일 내에 시정계획을 서면으로 제출해야 한다. 만약 이 단계에서 적절한 대응을 하지 않으면 어떻게 될까? FDA는 단계적으로 더욱 강력한 제재 조치를 취한다. 이는 마치 도미노가 쓰러지듯 연쇄적으로 이어지며 결국 해당 업체의 미국 시장 진출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다. ▲ 1단계: Import Alert-자동 억류의 시작 경고장 후에도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FDA는 해당 업체나 제품을 ‘수입경보 목록’(Import Alert)에 등재한다. 이는 사실상 미국 입국 금지
자연주의와 과학을 결합한 고기능성 클린뷰티 브랜드 케이클리(CAYCLLY) 가 중동 최대 뷰티 커머스 플랫폼 ‘부티카’(Boutiqaat)에 공식 입점, 중동 시장 공략을 위한 가속 페달을 밞기 시작했다. 이탈리아 V-Label 인증을 획득한 케이클리는 비건&클린 뷰티 기반 슬로우에이징 솔루션을 제안, 글로벌 소비자의 주목을 받고 있다. 고기능성 자연주의 콘셉트 표방 케이클리는 ‘자연주의 클린 뷰티’에 과학 기반 효능을 더한 하이브리드 화장품 브랜드를 표방한다. 피부 안전성 임상시험을 완료했고 흡수 특허(프레솜™ 공법) 기술을 적용, 유효 성분의 피부 흡수를 셀링 포인트로 내세우고 있다. 특히 주력 라인 ‘레드베리어’(RedBarrier·7종)는 케이클리의 독자 처방 성분 ‘노블베리+아스타잔틴+판테놀+5겹 세라마이드’를 통해 보습·피부장벽 강화·슬로우에이징 솔루션을 구현한다. 부티카, 케이클리와 손잡다 부티카는 쿠웨이트에 본사를 둔 중동 최대 뷰티·패션 이커머스 플랫폼이다. 1천 명 이상의 셀럽과 인플루언서가 큐레이팅한 제품을 소비자에게 직접 추천하는 방식으로 브랜드와 소비자 간 신뢰를 높이는 구조를 갖췄다. 현재 △ 700여 개 글로벌 브랜드 입점
대전대학교(총장 남상호)와 한국뷰티무역산업협회(회장 김성수·이하 KOBITA)가 우리나라 화장품·뷰티 산업 지속가능성을 높이고 산업 발전을 이끌 핵심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진행한 ‘화장품·뷰티 산업 차세대 경영자 과정’이 두 번째 수료생을 배출했다. 지난 12일 DDP 패션몰(3층) 서울뷰티허브에서 가진 2기 수료식에는 △ 과정 이수자 16명 △ 교수진(임미혜·신윤창·김승중·김수미·함서영) △ 1기 선배와 업계 관계자 등 29명이 참석해 축하의 자리를 함께 가졌다. 2기 과정은 지난 4월 19일부터 매주 토요일 14회에 걸쳐 이뤄졌다. △ 권성일·황윤성 씨는 모범상을 △ 최소정·정원희·이주홍 씨는 개근상(전 강의 출석)을 받았다. 특히 이번 수료식에서는 한정수 서울화장품 대표가 특강을 진행, 가업 승계와 관련한 자신의 경험을 직접 전달함으로써 참석자들에게 공감을 불러 일으킨 동시에 차세대 경영자로서의 역할과 의지를 다지질 수 있는 모티브를 주었다. 한 대표는 우리나라 화장품 산업의 시대별 이슈와 회사(서울화장품)의 성장 과정을 연계한 콘텐츠를 통해 차세대 경영자가 갖춰야 할 소양과 실천 의지 등을 강조했다. 그는 “차세대 리더로서의 전문성과 함께 창업자와 믿
화장품 안전성 평가 제도 도입과 관련, △ 화장품·뷰티 업계의 비용 부담이 커질 수 있다는 취지의 보도 △ 특히 중소 규모의 책임판매업자에 대한 ‘일종의 규제·진입 장벽 강화’ 작용 우려 등에 대해 식약처가 적극 해명에 나섰다. 이는 최근 강선우 의원(더불어민주당)의 대표 발의로 화장품법 일부개정법률(안)을 제출하면서 화장품 안전성 평가 제도의 도입 법제화와 이에 따른 관련 규정이 공개되자 화장품 업계에서 우려를 제기하고 있는 이슈들에 대해 선제 대응하는 차원으로 해석할 수 있다. <관련 기사 코스모닝닷컴 2025년 7월 8일자 ‘화장품판매업자 안전성 평가자료 보관 의무화 추진 https://www.cosmorning.com/news/article.html?no=50831 기사 참조> 기업 자율 안전관리 책임 강화에 초점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 www.mfds.go.kr ) 화장품정책과는 ‘화장품 안전성 평가 제도 도입으로 K-뷰티 업계의 비용 부담이 커질 수 있다는 취지의 보도’(헤럴드 경제·2025년 7월 11일자)와 관련 보도설명을 통해 “화장품 안전성 평가 제도는 화장품의 안전성을 △ 영업자가 판매전에 확인하고 △ 문서로 작성해 근거
글로벌 화장품 OGM(글로벌 규격 생산) 전문기업 코스메카코리아(대표 조임래)가 ‘경기스타트업 브릿지’ 사업의 뷰티 분야 파트너로 참여, 뷰티 스타트업 성장 지원을 위해 전면에 나선다. 경기스타트업 브릿지는 판교 제2테크노밸리 G2블록 E동(총면적 5,787㎡)에 조성한 민관협력 창업 보육 공간. 예비창업자부터 창업 7년 이내(신산업 분야 10년 이내) 스타트업까지 모두 200곳을 선정해 임대료·사무공간·회의실·교육장 등 인프라를 제공한다. 선정 기업은 내달(8월)부터 전용 공간에서 활동을 시작할 수 있다. 코스메카코리아는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입주한 뷰티·화장품 스타트업에게 △ 임대료 전액 지원 △ 개방형·독립형 사무공간 △ 뷰티 산업 멘토링·네트워킹 등을 지원한다. 조임래 회장은 “글로벌 규격 생산 기업으로서 25년간 축적해온 기술력과 네트워크를 스타트업과 아낌없이 공유할 것”이라며 “우수한 뷰티 솔루션을 보유한 예비 유니콘들이 대한민국 뷰티 산업의 미래를 함께 그려나가기를 기대한다”고 격려했다. 경기스타트업 브릿지와 관련된 상세 내용 확인·입주 신청은 오는 29일(화) 오후 5시까지 경기스타트업플랫폼( www.gsp.or.kr )에서 온라인으로 접수 가
민감한 피부를 위한 저자극 비건 마스크팩 ‘녹두 수딩 젤리 마스크’는 길어지는 더위 속 여름철 피부 고민을 케어할 수 있는 제품으로 기획, 출시했다. 국내산 녹두를 자연 발효·효소 처리한 후 최적 온도에서 추출한 코리아나화장품의 특허 성분(특허번호 10-1344826)을 함유하고 있다. 녹두 고유의 진정과 보습 효능을 극대화한 것이 특징. 여기에 알로에베라잎수·녹차추출물·콩발효추출물·참마뿌리추출물·티트리잎추출물·병풀 유래 시카성분 등 보습과 진정 케어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자연 유래 성분도 함께 담았다. 시트는 비건 인증을 받은 워터겔 젤리 시트. 탱글한 워터 젤리 타입으로 투명 밀착 원단이 피부에 편안하게 밀착함으로써 부담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제형은 끈적임 없고 산뜻한 에센스 제형. 여름철 지친 피부에 수분과 진정을 선사해 일상 속 쿨링 케어용 마스크팩으로 적합하다. 특히 냉장 보관 후 사용하면 시원한 수딩 효과가 한층 더 배가하는 효과를 만끽할 수 있다. 회사 관계자는 “이번 신제품은 단순한 마스크팩이 아니라 37년 이상 축적된 코리아나의 피부 과학 기술력을 담은 결과물”이라며 “기후 변화로 길어지는 여름, 지친 피부를 간편히 케어할 수 있는 자연 유
화장품 ODM·OEM 전문기업 (주)유씨엘(대표 이지원)이 OTC 선크림을 포함한 고기능성 화장품 라인업을 통해 글로벌 시장 영향력 확대를 위한 잰걸음을 옮기고 있다. 특히 유씨엘은 OTC(Over-The-Counter) 선크림을 전면에 내세워 기술 차별성을 강조한다. OTC 품목은 미국에서는 일반의약품으로 분류, FDA 기준에 부합하는 엄격하고 까다로운 품질 심사 절차 통과가 판매의 전제조건이다. 결국 이는 유씨엘의 품질관리 능력과 신뢰도를 입증하는 중요한 요소라고 해도 무방하다. 유씨엘이 보유한 핵심 기술력을 집약한 고기능성 에센스 라인업도 경쟁력 요소다. ‘세라 펄 에센스’(Cera Pearl Essence)는 펄 제형 세라마이드를 적용한 투명한 텍스처와 깊은 보습 효과를 동시에 제공하는 제품으로 ‘속은 촉촉하고 겉은 반짝이는’ 광채보습 하이브리드 제형을 구현했다. 메이크업 없이도 자연스럽게 빛나는 피부를 연출해주는 이 제품은 유씨엘 만의 세라 펄 테크놀러지™를 통해 펄 감의 지속력을 강화하고 하루 종일 은은하고 고급스러운 광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설계했다. 세라마이드·콜레스테롤·지방산을 피부 구조와 유사하게 배합해 피부 장벽을 더욱 튼튼하게 채워주는
화장품 원료·소재 전문기업 (주)엑티브온(대표이사 조윤기)이 2025년 European Biomass Conference&Exhibition(EUBCE·6월 9일~12일·스페인 발렌시아)에 참가, 포스터 논문(이준학 연구원) 발표를 진행했다. EUBCE는 세계 최대 규모의 바이오매스(Biomass) 콘퍼런스·전시회로 매년 바이오매스 분야 연구 가속화와 시장 확대를 목표로 80여 국가에서 1천500명 이상의 전문가들이 모인다. 혁신성 넘치는 아이디어와 기술, 응용 솔루션을 공유해 바이오매스 분야의 최신 동향을 한눈에 가늠할 수 있는 자리다. (주)엑티브온은 ‘Production of Biomass-Derived 1,3-BDO and Its Potential as a Cosmetic Ingredient’라는 제목으로 △ 발효 1,3-butyleneglycol의 생산 △ 1,3-butylenglycol 시제품의 안정·안전성 △ 1,3-butyleneglycol 시제품의 피부자극·보습·항균 효능 등의 내용을 발표했다. 이 연구는 보건복지부 재원과 한국보건산업진흥원 보건의료기술연구개발사업 지원(과제 고유번호: HP23C0130)을 통해 수행한 결과다. 이준학
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 글로벌 규제 동향 세미나-미국 △ 클린뷰티 용어 사용 유의 △ 에코-프렌들리 제품의 강세 △ 바이오 기술 기반 성분(펩타이드·콜라겐·엑소좀 등) 중심 친환경과 효능·효과가 분명한 성분 강세. 최근 미국 화장품 시장을 이끌어가고 있는 트렌드에 대한 핵심 사안 요약이다. 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원장 조신행· www.kcii.re.kr ·이하 화산연)이 중소 K-뷰티 수출기업의 주요 수출 대상국에 대한 최신 규제 동향 정보를 공유하고 이를 통해 수출 과정에서의 애로사항 해결·실질 규제 대응력 제고 등을 위해 진행하는 ‘글로벌 화장품 규제 동향 세미나-미국 편’(4차)이 오늘(10일) 스페이스쉐어 강남역센터 주피터홀에서 열렸다. 손성민 리이치24시코리아 대표가 연자로 나선 세미나에서는 △ 미국 화장품 연방법과 수출 주의사항 △ 미국 자외선차단제(OTC) 규정과 등록: 라벨링·광고문구 가이드 등 두 가지 주제를 중심으로 내용을 다뤘다. 손 대표는 강의 시작과 동시에 “클린뷰티라는 용어의 남용으로 인해 현재 미국에서는 여러 건의 소송이 진행 중인 것으로 파악했다. 무엇보다 정의의 모호함 등으로 인해 그 피해가 소비자에 갈 수 있다는 미국의 법 정서 상
눈에 보이는 피부 변화를 선사하는 스킨케어 브랜드 아이오페가 새로운 차원의 피부 개선 솔루션 ‘XMD 라인’을 새롭게 출시하고 첫 메인 캠페인에 돌입했다. XMD라인에서 가장 먼저 선보이는 ‘XMD 스템3 클리니컬 리커버리 세럼’은 화장품 효능 만으로 특수 관리에 버금가는 피부 개선 효과를 검증한 제품. 스킨부스팅 특수관리와 일 대 일 비교 인체적용시험을 통해 그 효능을 입증한 것. 인체적용시험 결과 모두 11개 평가 항목 중 9개 항목에서 특수관리와 동등한 수준의 효능을 보였고 2개 항목(보습·안색)에서는 더 우수한 개선 효과가 나타났다. 이는 스킨케어 화장품에 기대하는 일반 효능 범위를 넘어 피부 개선 효과를 실현한 사례다. 물광 플럼핑 효과를 직접 입증했다는 의미를 갖는다. 이 제품은 아이오페의 성분 연구와 기술력을 집약한 제품이라고 할 수 있다. 아이오페 만의 독자 기술 ‘PDRN H.A.™ 복합체’를 미세입자로 쪼개 92.3%에 이르는 고함량으로 적용, 피부 표피 전 층에 침투하도록 설계했다. 그 결과 △ 수분 볼륨 20.6% 증대 △ 모공 플럼핑 39.4% 개선 △ 피부 장벽 강화·탄력 개선 등 피부 컨디션 회복과 물광 피부 구현에 뛰어난 효과를
코스맥스가 글로벌 뷰티 기업 에스티 로더 컴퍼니즈(이하 ELC)가 꼽은 올해 최고의 품질 부문 우수 파트너사에 이름을 올렸다. 회사 측은 “이번 선정은 지난 10여 년간 △ 빠르고 안정성있는 제품 공급 △ 글로벌 뷰티 시장 이해도 △ 세계 최고 수준의 차별화 기술력 △ 원활한 소통과 협업 능력 등 다방면에서 견고한 파트너십을 구축한 노력을 인정받은 결과”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지난 5월 말에 있었던 ‘2025 ELC 공급사 서밋에서 품질 부문상을 단독 수상한 코스맥스는 이로써 글로벌 넘버 원 화장품 OEM·ODM 전문기업으로서의 가치와 위상을 재확인했다. ELC 공급사 서밋은 전 세계 ELC 경영진과 브랜드·밸류체인 리더, 전략 차원의 관계를 맺고 있는 공급업체들이 한데 모이는 행사다. ELC는 수천여 곳의 협력 기업 중 코스맥스가 수상한 품질 부문 외에 △ 총 상업 가치(Total Commercial Value) △ 협력&혁신(Collaboration&Innovation) △ 서비스·민첩성&회복탄력성(Service·Agility&Resilience) △ ESG 등 4개 부문에서 직·간접 공급사 각각 한 곳씩을 선정, 모두 9곳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