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은 편안한 하루 속에 깃든다." 최고의 럭셔리는 안정적인 일상이다. 자연스러운 하루하루가 모여 인생이 된다. 2026년, 소비자는 자연에서 조화와 안정을 찾는다. 과학적인 뷰티 제품과 아시아 브랜드가 핵심 소비 축으로 부상한다.
이는 유로모니터인터내셔널이 발표한 ‘2026년 글로벌 소비자 트렌드’에서 확인했다.
내년 소비시장을 이끌 4대 트렌드는 △ 나만의 안식처(Comfort Zone) △ 있는 그대로(Fiercely Unfiltered) △ 웰니스는 과학(Rewired Wellness) △ 아시안 웨이브(Next Asian Wave) 등이 꼽혔다.
전 세계적으로 생활비 안정에 대한 바람이 커지면서 진정성과 웰빙이 소비에 영향을 미친다. 소비자들은 편안함‧단순함을 중시하는 동시에 과학적으로 효능이 입증된 제품과 서비스를 선택하는 움직임이 커진다.
‘아시안 웨이브’는 아시아 문화에 대한 인기를 나타낸다. 고기능‧가성비 아시아 제품이 목적 지향적 소비와 부합해 하나의 산업으로 자리잡았다는 분석이다.
나만의 안식처(Comfort Zone)

불확실성이 장기화되며 일상에서 안정과 단순함을 중시하는 소비자가 늘고 있다. 유로모니터 조사에 따르면 소비자의 58%가 매일 극심한 스트레스에 시달린다. 이들은 자연 유래 성분 성분과 건강한 제품에서 심리적 안정감을 찾는다.
소비자들은 시간·돈·에너지를 어떻게 쓸지 다시 점검하기 시작했다. 삶을 단순화할 방법을 찾으면서, 자신이 통제할 수 있는 것에 집중한다. 일상의 균형을 회복하기 위해 양보다 질을 선택한다. 단순하고 실용적인 것이 대세다.
브랜드는 이같은 안정 지향형 소비자를 위해 △ 일상을 편안하게 하는 △ 스트레스를 풀어주는 △ 정신 건강을 개선하는 △ 삶을 단순화하는 △ 심리적 휴식을 주는 △ 삶의 균형을 되찾아주는 제품과 서비스를 개발해야 한다.
앨리슨 앵거스(Alison Angus) 유로모니터 이노베이션 부문 총괄은 “불확실성 속에 놓인 소비자는 편안함, 자기 표현, 웰니스를 열망한다. 브랜드는 혁신적인 제품으로 소비자와 교감하며 성장을 꾀할 시점이다”고 말했다.
있는 그대로(Fiercely Unfiltered)
'있는 그대로의 솔직함'이 새로운 소비 기준으로 떠올랐다. 소비자들은 솔직한 자기표현과 꾸밈없는 진실을 받아들인다. 정해진 틀에 맞추지 않고 스스로의 방식대로 삶을 만들어간다. 개성을 대담하게 드러내고, 의견을 있는 그대로 표현한다.
유로모니터 설문조사에서 소비자의 50%는 자신의 취향과 특징이 반영된 맞춤형 제품이나 서비스를 선호한다고 답했다. 또 65%는 사회가 자신의 진짜 모습을 받아들이고 있다고 느낀다.
이처럼 자신을 우선시하고 자기다움을 중시하는 태도가 소비시장을 움직이고 있다. 소비자들은 마음에 와닿고 자신에게 의미 있는 것을 선택한다. 자신의 경험과 관점을 존중하는 목소리를 신뢰한다.
자기다움을 추구하는 소비자는 진정성에 가치를 부여한다. 소비자의 절반 이상은 완전히 신뢰할 수 있는 브랜드를 구매한다고 말했다. 진정성은 불확실한 시대에 신뢰를 보증하는 사회적 가치로 자리 잡았다.
브랜드는 진정성(authenticity)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 기업은 소비자 프로필을 세분화해 각 특성에 맞는 페르소나를 구축해야 한다. 다양한 고객층이 가진 구체적인 니즈와 어려움을 해결하며 진정성있게 소통하는 것이 중요하다.
웰니스는 과학(Rewired Wellness)

과학과 셀프케어의 융합이 확산된다.
소비자들은 일상 속 셀프케어 솔루션으로 의료 수준의 첨단 기술을 찾고 있다. 일상적인 제품에서도 의약품이나 전문 서비스와 견줄만한 빠르고 높은 효과를 기대한다.
더마 코스메틱 화장품 판매는 2020년부터 2024년까지 글로벌 전 지역에서 연평균 두 자릿수 성장률(CAGR)을 기록했다.
소비자는 웰니스 제품이 첨단기술과 과학적 근거에 기반했다고 인지한다. 올해 체중 감량을 시도한 소비자 10명 중 1명(9%)이 GLP-1 계열 의약품을 복용한 것으로 조사됐다.
아울러 소비자의 49%는 과학적 효능이 입증된 프리미엄 뷰티 제품에 최대 10% 이상 추가 비용을 지불할 의향을 보였다.
기업은 전문가 치료 수준의 효과를 제공하면서 일상에 자연스럽게 녹아드는 초개인화 건강 솔루션을 개발해야 한다. 웰니스는 빠르고 가시적인 효과를 추구하는 과학적이고 민첩한 여정으로 변화하고 있다.
브랜드는 데이터 기반 스토리텔링을 통해 제품‧서비스의 효과와 가치를 입증하고 알려야 한다.
아시안 웨이브(Next Asian Wave)
K-뷰티와 K-팝을 비롯한 한류가 전세계를 휩쓸고 있다. 한국을 비롯한 아시안 문화가 대세다. 글로벌 소비자는 아시아를 좋아하는 데서 나아가 동양적 색채가 담긴 제품을 사들이기 시작했다. 아시안 문화는 단순한 팬덤을 넘어 실질적인 소비를 창출하는 동력이다.
중국 브랜드는 합리적인 가격, 혁신성, 사용자 친화적 디지털 경험을 무기 삼아 글로벌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다. 2026년 중국산 제품‧서비스의 수출 규모는 4조 달러에 이를 전망이다. 중국 기업들은 신시장 진출을 가속화하고 나섰다. 합리적 가격에 세련된 제품을 앞세워 점차 프리미엄 시장으로 영향력을 넓히는 모습이다.
국가가 곧 브랜드가 되는 시대다. 브랜드 신뢰도, 심층적인 시장 통찰력, 우수한 공급망을 갖춰야 경쟁력을 가질 수 있다.
문경선 유로모니터 한국리서치 총괄은 “글로벌 소비자는 미디어를 통해 아시안 브랜드를 다양하게 접한다. 아시아에 대한 호기심이 브랜드와 제품에 대한 관심으로 펴져나가고 있다”고 전했다.
이어 “K-브랜드는 이 기회를 활용해 해외 진출에 공들여야 한다. 일본‧중국‧홍콩 등 동남아 브랜드와 경쟁구도 속에서 K-브랜드만의 가치를 창출하는 것이 관건이다”고 조언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