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년 동안, 오로지 중국 NMPA 인증에만 집중” 마리스그룹의 캐치프레이즈다. 2008년 중국 베이징에 설립된 마리스그룹은 2015년 한국지사를 세웠다. 매리스그룹코리아다. 이 회사는 4월 10주년을 맞아 사명을 ‘마리스그룹코리아’로 바꾸고 새 도약을 선언했다. 기업 정체성과 글로벌 통일성을 살려 새로운 10년을 준비한다는 각오다. 이를 위해 왕양(王阳) 마리스그룹 회장과 이용준 마리스그룹코리아 대표가 머리를 맞댔다. 중국 NMPA(국가약품감독관리국) 인증에서 한발 나아가 전과정 컨설팅과 리스크 대응을 담당한다는 목표다. 왕양 회장 마리스그룹은 17년 경력의 중국 인허가 전문기업이다. 중국시장에 특화된 인허가 서비스를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한다. 중국시장을 위한 전략 수립부터 마케팅‧유통까지 전과정을 체계적으로 지원한다. 특히 제품 사전기획 단계부터 중국 법규에 맞는지 검토한다. 한국어‧중국어‧영어 3개국의 문서 전문팀이 상주한다. 기능성 시험기관, 안전성 평가사, 임상기관과 연계 시스템도 갖췄다. ◇ 마리스그룹 프로그램 - Pre-Check Program : 기획 초기부터 제품 등록 가능성 사전 점검 - Fast-Trac
화장품법 제정과 기능성화장품 제도 시행으로 인체적용시험기관의 중요성과 필요성이 가장 먼저 부각됐다면 오는 2028년부터 단계별 시행에 들어가는 ‘화장품 안전성 평가 제도’는 그 존재 가치를 ‘필수불가결’하게 만들 또 하나의 이정표가 되리라는 전망이다. 지난 2019년 9곳의 회원사로 출범, 올해에는 회원사가 30곳까지 늘어나 그 활동 반경과 영향력이 커지고 있는 한국인체적용시험기관협의회(이하 협의회)에 대한 눈길이 쏠리는 것은 당연한 수순이라고 봐야 한다. 올해 제 3대 협의회장으로 취임, 협의회를 이끌어갈 하재현 회장을 만나 협의회가 당면하고 풀어나가야 할 현안과 과제, 그리고 앞으로 계획하고 있는 협의회 차원의 활동과 지향점에 대해 들었다. “제가 생각하는 리더십의 핵심은 ‘의견 수렴과 조율’에 있다고 봅니다. 협의회는 고객사와 관련 업계·정부·학계 등 여러 채널을 통해 다양한 의견 수렴하고 이를 현실에 반영하는 활동을 꾸준히 전개하고 있습니다. 회원사가 30곳으로 늘어나면서 협의회는 외형 성장을 이뤄가고 있고 이에 따라 협의회의 위상 강화와 역할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는 시점이라고 생각합니다. △ 협의회 정책과 운영 기조의 연속성 유지 △ 회원사에게
슬록이 ‘클린뷰티 브랜드 창업 전주기 지원사업’을 시작한다. 클린뷰티 전문기업 슬록(대표 김기현)은 예비·초기 창업 브랜드를 대상으로 교육을 진행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17개 멘토기업을 선정해 협약을 맺었다. 화장품 창업 전주기를 지원할 멘토기업들과 지원사업을 공동 진행한다. 창업기업이 겪는 실질적인 어려움을 해결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무료 교육·상담 등을 포함한 원스톱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클린뷰티 창업 지원 분야는 △ 원료 △ 용기·패키지 △ OEM·ODM △ 인증 △ 수출·유통 △ 디자인 △ 마케팅·홍보 △ 특허·행정·세무·관세 등이다. 클린뷰티 브랜드 창업 준비부터 제품 개발·생산·마케팅까지 창업 전과정을 아우른다. 프리몰드닷넷(대표 신남철)은 슬록과 함께 창업 지원사업 전반을 운영한다. 멘토기업은 △ 뷰포리아(브랜드 전략·개발) △ 스키나(글로벌 진출) △ 리본코리아(클린뷰티 창업) △ 소윌로(원료개발과 향기 전략) △ 센트위키(향 브랜드 전략·운영) △ 와이생활랩(OEM·ODM) △ 상자연구소(지류패키지 생산) △ 베이닐라(용기·패키지 디자인) △ 퀀텀(디자인·창업경영) △ 하우스부띠끄(수출인허가·비건인증) △ 하나루프(탄소경영솔루
이투바이오(대표 김수진)가 8일 서울 대현동 이화여자 산학협력관 강당에서 중국 국무원 산하 공식 미디어 ‘중국망’과 업무협약을 맺었다. 이날 협약식에는 중국망의 주중펑(朱忠鹏, ZHU ZHONGPENG) 부총재가 대표 자격으로 참석해 서명했다. 중국망의 유통 협력사인 하이난에이르미업유한회사(海南艾怡靓业有限公司)의 박창용 총경리를 비롯한 관계자들도 참여했다. 이투바이오는 하이난에이르미업유한회사의 유통망을 활용해 에이르코스메틱을 중국 면세점과 오프라인 매장 등에 소개할 계획이다. 중국 주요 도시에 화장품·건강기능식품을 공급하며 시장 점유율을 넓힌다는 각오다. 프랜차이즈 스파&에스테틱 매장도 단계적으로 열며 시너지를 높일 전략이다. 중국망은 중국 공식 대외홍보 매체다. 국무원 신문판공실 산하 외문국(中国外文局)이 운영한다. 중국의 정책·산업·문화 정보를 해외에 전달하고 있다. 직원 1만명을 보유한 대규모 조직을 바탕으로 언론 기능을 넘어 온·오프라인 유통까지 담당한다. 김수진 이투바이오 대표는 “중국 현지 유통망을 활용해 브랜드를 소개하며 경쟁력을 높이겠다”고 말했다. 주중펑 중국망 부총재는 “이투바이오와의 협력해 한국 뷰티&헬스 제품을 중국에 소개
동아제약 파티온이 ‘트러블 최강 순찰대전 캠페인’을 진행한다. △ 홍익대(14~16일) △ 고려대(20~22일) △ 연세대(29~30일) 축제에서다. 파티온은 대학 캠퍼스에 부스를 열고 ‘방심하기 쉬운 트러블을 매일 순찰하며 케어하자’는 메시지를 전할 계획이다. 다양한 이벤트도 마련했다. 캠퍼스 곳곳에 숨겨놓은 ‘트러블 스티커’를 학생들이 찾는 ‘트러블 수색 미션’과 부스에서 트러블 판넬을 맞춰 쓰러뜨리는 ‘트러블 포착 미션’ 등이다. 파티온은 미션 참가자들에게 화장품 샘플과 에어팟4 등을 증정한다. 세 학교 가운데 최고 점수를 기록한 학생에게 아이패드 프로를 선물한다. 파티온 관계자는 “중간고사가 끝난 대학가는 축제와 MT 열기가 뜨겁다. 대학생들이 피부관리를 소홀히하는 시기기도 하다. 대학교를 방문해 피부문제 해결에 특화된 제품을 소개할 예정이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