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치염색 분야 게임체인저인 모다모다가 탈모시장에 진출한다. 모다모다(대표 배형진)는 4일 ‘블루비오틴 스칼프’ 라인을 다이소에 출시한다. 블루비오틴 스칼프 라인은 두피를 스킨케어처럼 관리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제품을 두피 세정·진정·영양 등 기능별로 세분화했다. 두피 세정용 제품부터 집중 영양케어템까지 다양하게 개발했다. 탈모관리 제품을 단계별로 구성해 맞춤형 토털 솔루션을 제공한다. 특히 고순도 비오틴과 판테놀 B5를 배합한 ‘블루비오틴’을 통해 품질을 끌어올렸다. 모다모다의 리포좀 포뮬러를 바탕으로 차별화한 탈모케어 시스템을 완성했다. 블루비오틴 스칼프 라인은 △ 두피가글 스케일러 △ 샴푸 △ 캡슐 트리트먼트 △ 버블 마스크 △ 2000샷 스칼프 앰플(PDRN‧마데카‧블루비오틴) 등 7종으로 나왔다. ‘블루비오틴 스칼프 두피가글 스케일러’는 ‘두피도 양치한다’를 콘셉트로 삼았다. 실리콘 브러시와 가글 거품이 두피 각질‧피지 등을 제거한다. AHA·PHA 성분이 모공 속 노폐물까지 딥클렌징한다. 특허받은 복합 성분이 △ 비듬 완화 △ 정수리 관리 △ 지루성 두피균 99.9% 항균 효과를 담당한다. ‘블루비오틴 스칼프 샴푸’는 탈락 모발 수를 개선하고 두피
‘2025 서울뷰티위크’가 막을 올렸다. 오늘(28일)부터 30일(토)까지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 일대에서 펼쳐진다. 2025 서울뷰티위크에는 뷰티기업 296개사와 국내외 바이어 250여명이 참여한다. 뷰티기업은 부스를 열고 참관객을 대상으로 다양한 이벤트를 열었다. 올해 행사는 국내외 바이어·투자사·인플루언서 참여율을 확대했다. 수출 상담과 투자 유치, 시민 체험 프로그램이 어우러진 뷰티 축제로 기획했다. 서울시는 수출·투자·유통을 연계한 행사를 통해 글로벌 뷰티 허브로 도약할 전략이다. 올해는 △ 비즈 프리뷰 △ 서울뷰티위크 온라인 기획전 △ 인플루언서 품평회 등을 강화했다. 오늘 오전 열린 ‘비즈 프리뷰’에선 바이어·투자사를 대상으로 전시기업을 집중 소개했다. ‘서울뷰티위크 온라인 기획전’은 참여기업 제품을 NS홈쇼핑 온라인몰에서 판매하는 행사다. ‘인플루언서 품평회’에선 참여기업 제품을 콘텐츠로 제작한다. 레페리 소속 인플루언서들이 브랜드 품평회 후 콘텐츠를 만든다. ‘뷰티 트레이드쇼’는 중소 뷰티기업의 해외 판로 개척을 위해 열린다. 수출기업 220개사와 44개국 133개사 바이어를 매칭한다. 중국의 리콴그룹(LIQUN GROUP), 폴란드
‘건강하게 오래살기’ 열풍이 장수뷰티로 이어지고 있다. 장수뷰티는 안티에이징을 넘어 노화의 근본 원인을 해결하고 피부수명을 연장하는 미래지향적 뷰티 패러다임이다. NAD+(니코틴아마이드 아데닌 디뉴클레오티드)가 장수뷰티 핵심 성분으로 글로벌 시장에서 주목받고 있다. NAD+는 살아 있는 세포에 존재하는 보조효소(coenzyme)다. 피부세포 회복·재생부터 신진대사 촉진, 노화방지 기능 등을 담당한다. NAD+ 수치는 나이가 들면서 자연적으로 감소한다. 40세까지 50% 줄다 점점 감소 속도가 빨라진다. 피부는 탄력을 잃고 주름이 생기기 쉽다. 민텔코리아가 오늘(28일) 서울뷰티위크 세미나에서 ‘2025 글로벌 뷰티 성분 트렌드 : NAD+를 주목하라’를 발표했다. 발표에 나선 정광희 민텔코리아 차장은 “세계 뷰티시장에서 NAD+가 장수과학을 이끌 유망 성분으로 떠올랐다. NAD+ 수치를 높이고 노화 징후를 예방하는 NAD+ 전구체에 관심을 가질 시점이다”고 말했다. 페이셜 스킨케어 제품을 넘어 NAD+를 담은 보디케어·선케어 제품이 경쟁력 있다고 강조했다. 민텔 조사에 따르면 중국 여성의 31%가 NAD+가 △ 노화 방지 △ 미백 △ 수분 공급 △ 피부 회복
‘멀티밤 신화’의 주인공 가히가 망원동에 화장품 매장을 냈다. 코리아테크(대표 이동열)는 8월 30일 서울 망원시장에 뷰티매장 ‘와이레스’(YLESS)를 열었다. 와이레스 망원점은 매장 입구에서 “가히가 만든 글로벌 화장품 장터”라고 안내했다. “싼 걸 싸게 팔면 쓰나? 좋은 걸 싸게 팔아야지”라는 문구로 호기심을 자극하고 있다. 이는 7월 망원시장에 개점한 화장품 아웃렛 '오프뷰티'를 저격하는 메시지로 읽히는 상황이다. 와이레스와 오프뷰티 매장은 220m 떨어져있다. 한달 간격으로 약 3분 거리에 화장품 매장이 나란히 문을 연 셈이다. 이들 매장이 유동인구가 집중된 위치에서 고객몰이에 나서며 ‘와이레스 VS 오프뷰티’ 구도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두 매장 모두 ‘단독 브랜드’ ‘50% 이상 높은 할인율’을 내세운 것이 특징이다. 재래시장 상권에 기업형 화장품 할인매장이 나란히 오픈하면서 뷰티유통에 작은 변화가 감지되고 있다. ‘화장품전문점→브랜드숍→올리브영’의 뒤를 잇는 틈새형 뷰티매장이 등장하며 오프라인 뷰티시장에 지각변동을 몰고올지 시선이 쏠린다. 와이레스 망원점에는 코리아테크 PB 20여종이 입점했다. △ 블루콰티카(Bluquatica) △ 나튀에상
디자인플래닛(프리몰드닷넷)이 제이코어시스템(원하고닷컴)을 상대로 제기한 손해배상 청구소송 항소심이 기각됐다. 2022년 4월부터 3년 넘게 이어져온 소송이 7월 10일 최종 일단락됐다. 서울고등법원(제5-1민사부)는 원고 디자인플래닛(대표 신남철)이 피고 제이코어시스템(대표 김형호)을 대상으로 진행한 손해배상(사건번호 2024나2051340) 소송에서 원고의 청구를 모두 기각했다. 디자인플래닛은 2004년 12월 화장품 부자재 플랫폼 프리몰드닷넷(www.freemold.net)을 열었다. 제이코어시스템은 2019년 5월 화장품·패키징 O2O 플랫폼 원하고닷컴(www.onehago.com)을 오픈했다. 디자인플래닛은 원하고닷컴이 프리몰드닷넷의 데이터베이스(화장품기업의 상호명·연락처·대표자·사업자등록번호 등을 포함한 고객사 정보)를 무단 복제·사용했다는 이유로 손해배상금 5천만원을 청구했다. 서울고등법원은 부정경쟁행위 금지청구에 대한 판단에서 원고의 데이터베이스가 부정경쟁방지법 제2호 제1호 (차)목의 ‘아이디어 정보’ 또는 같은 호 (파)목의 ‘성과 등’에 해당한다고 보기 부족하다고 판시했다. 원고의 데이터베이스를 부정경쟁방지법 보호 대상으로 볼 수 없다고 밝
콜마홀딩스가 윤동한 회장이 제안한 신규 이사 10명 선임 주주제안을 수용하고 임시 주주총회를 소집하기로 결정했다. 콜마홀딩스 측은 관련해 “이사회 제도 취지를 훼손 시킬 수 있는 주주제안이라는 점에 우려가 높지만 상법이 정한 원칙에 따라 주주제안을 수용, 직접 주주들의 판단을 받겠다는 의지를 밝힌 것”이라고 설명했다. 콜마홀딩스는 오늘(27일) 개최한 이사회에서 오는 10월 29일 임시주주총회 소집을 결의했다고 밝혔다. 이번 임시주총에서는 윤동한 회장이 주주제안으로 제출한 사내이사 8명과 사외이사 2명 등 모두 10명 선임 안건을 다룰 예정이다. 임시추종을 위한 주주명부 기준일은 오는 9월 17일로 확정했다. 콜마홀딩스 측은 해당 사안에 대해 “이번 주주제안은 특정 주주가 한꺼번에 10명의 이사를 추천한다는 점에서 이사회와 제도 자체를 훼손할 수 있다는 우려가 높다”고 전제하고 “이사회는 회사의 전략적 의사결정을 내리는 독립성과 전문성을 갖춘 기구로서의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하지만 특정 주주가 대규모로 사내이사를 추천함으로써 이사회의 독립성과 다양성을 해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라고 근거를 밝혔다. 이와 함께 “이처럼 우려가 있는 주주제안이지만 콜마홀딩스는
올리브영이 29일(금)부터 9월 4일까지 올영세일을 진행한다. 올영세일은 올리브영 전국 매장과 공식 온라인몰에서 실시한다. 이번 행사에선 프리미엄 브랜드 할인전을 신설하고 쿠폰을 확대했다. 쿨링화장품‧데오도란트부터 가을 메이크업 제품까지 2만여종을 특가에 선보인다. 가나디‧산리오‧짱구 캐릭터 상품과 대용량‧기획 세트도 마련했다. 프리미엄 브랜드 50종 30% 할인 ‘Luxe Edit 스페셜 위크’는 올리브영이 새롭게 도입한 프리미엄 브랜드 기획전이다. △ 로레알프로페셔널 △ 모로칸오일 △ 시미헤이즈뷰티 △ 어반디케이 △ 케라스타즈 △ 크리니크 △키엘 △ 프리메라 △ 헤라 등 11개 브랜드의 상품 100여종을 최대 30% 할인한다. 매일 특정 브랜드 상품을 할인하는 △ 브랜드 데이 특가 △ 깜짝 특가도 진행한다. K-뷰티 대표 상품을 7일 동안 할인하는 △ 스테디셀러 특가 △ 신상 특가도 준비했다. ‘브랜드 데이 특가’ 혜택도 풍성하다. 매일 1~3개 브랜드를 선정해 인기 상품을 추가 할인한다. 대표 상품 1종은 하루 동안 ‘깜짝 특가’에 판매한다. 참여 브랜드는 △ 어뮤즈 △ 투쿨포스쿨 △ 클리오 △ 아누아 △ 라로슈포제 △ 바이오더마 △ 달바 등이다. ‘스
지난해 하반기부터 올해 상반기까지 최근 1년 간 처리한 화장품 행정처분 가운데 표시·광고 위반 사례가 76%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체 행정처분 427건 가운데 324건에 해당하는 수치다.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 www.mfds.go.kr )는 “최근 1년 동안 있었던 화장품 영업자 행정처분 결과를 분석한 결과 표시·광고(76%) 위반이 가장 많은 것으로 확인했다”고 밝히고 “ 이에 따라 소비자는 허위·과대 광고에 현혹되지 않고 화장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구매 시 주의할 필요가 있다”고 경고했다. 표시·광고 위반이 최다…준수사항 위반·등록 변경 위반 순 427건의 행정처분 가운데 △ 표시·광고 위반(324건·76%)이 가장 많았고 △ 영업자 준수사항 미준수(품질관리기준 미준수· 제조관리기준서와 제품표준서 미작성·미보관 등)(79건·18%) △ 업 등록·변경 위반(20건·5%) △ 사용 제한이 필요한 원료 사용(4건·1%) 등의 순이었다. 관련해 식약처는 “화장품은 의약품이 아니라는 점을 인식하고 의학·의약품 수준의 과도한 개선 효과를 내세우는 광고는 일단 의심하고 현혹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이와 함께 “화장품은 인체를 청결
글로벌 화장품 ODM(연구·개발·생산) 전문기업 코스맥스가 미백 기능성 고시원료를 적용한 신규 파우더 제형을 개발하고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허가를 취득했다고 밝혔다. 이번에 개발한 제형은 미백 기능성 고시원료 ‘유용성 감초추출물’을 함유해 블러셔와 하이라이터 등 색조 메이크업 제품에 적용 가능하다. 코스맥스 측은 파우더 제형에 스킨케어 효능을 접목한 제형 개발로 메이크업과 스킨케어를 아우르는 하이브리드 뷰티 제품으로의 확장을 본격화하는 기반을 마련했다. 관련해 코스맥스는 “최근 글로벌 뷰티 시장에서 메이크업의 연출 효과를 넘어 피부 개선 효능을 함께 제공하는 복합 기능성 제품에 대한 수요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고 전제하고 “이러한 트렌드에 발맞춰 무수(無水) 제형인 파우더 제형 내 유효성분을 전달하는 기술 과제를 해결했다. 유상(油相)에 녹는 성질을 가진 유용성 감초추출물을 활용해 파우더 제형 내에서도 실질적인 미백 효능을 구현한 것”이라고 기술 개발의 의미를 밝혔다. 특히 “이번 기능성 파우더 제형 개발을 통해 색조 제품군에 새로운 가치를 더할 수 있게 됐다”며 “앞으로 미백뿐 아니라 보습과 주름 개선 등 다양한 유효 성분을 적용해 혁신성에 기반한 하이브
스킨1004가 마다가스카르 패드 2종을 선보였다. 수분과 다크스팟 관리에 초점을 맞춘 앰플 패드다. ‘마다가스카르 센텔라 히알루-시카 젤리핏 앰플 패드’는 피부에 깊은 보습감을 전한다. 수분 겔 원단을 사용해 시간이 지나도 패드가 쉽게 마르지 않는다. 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의 장점을 적용해 피부에 유효 성분을 효율적으로 제공한다. 캡슐 공법을 적용한 8종 히알루론산과 엑토인, 세라마이드 등을 담았다. 보습 특화 성분이 피부 속 20층까지 수분을 선사한다. 이 제품은 쿨링 진정 성분을 담아 피부 온도를 최대 5.5도 낮춘다. 외부 자극으로 손상된 피부를 다독여 건강하게 가꿔준다. PHA·나이아신아마이드가 각질을 개선하고 피부 결을 정돈한다. 피부를 윤기있게 하고 메이크업의 밀착력을 높인다. ‘마다가스카르 센텔라 톤 브라이트닝 다크 스팟 앰플 패드’는 피부를 맑고 화사하게 한다. 4주 사용 후 피부 밝기와 윤기 개선 효과를 경험할 수 있다. 나이아신아마이드를 5% 함유해 칙칙한 피부 톤을 관리한다. 순수 비타민C와 비타민C 유도체가 생기 있는 피부로 되돌린다. 수분 제형이 피부에 산뜻하게 스며들어 에너지를 부여한다. 브라이트닝 특허 성분인 ‘마데화이트™’와 코직애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