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데 싫어”, “웃프다”, “네니오”. 기분을 나타내는 말이다. ‘느좋’은 ‘느낌 좋은’을, ‘기분상해죄’는 기분을 상하게 한 죄를 가리킨다. 기분이란 건 알다가도 모르겠고, 좋다가도 좋지 않다. 기분이 뭐길래. “기분이 돈이 된다.” 신간 ‘트렌드코리아 2026’은 기분경제 ‘필코노미’를 10대 트렌드 중 하나로 뽑았다. 필코노미(Feelconomy)는 기분을 진단‧관리‧전환하기 위해 재화와 서비스를 구매하는 경제를 뜻한다. 우리는 기분 때문에 바르고, 먹고, 마신다. 기분은 제품과 기술을 움직인다. 기분경제 ‘필코노미’(Feelconomy) 아모레퍼시픽은 인간의 감정을 담은 입욕제로 ‘CES 2024’ 혁신상을 받았다. 소비자가 헤드셋을 쓰면 AI가 뇌파 데이터를 분석한다. 로봇은 분석값을 색과 향에 반영해 입욕제를 즉석에서 제조한다. 로레알은 CES 2025에서 사람의 기분을 읽는 거울을 공개했다. 무드 미러는 인간의 표정으로 감정을 파악해 메이크업과 스타일을 제안한다. 시세이도는 5월 ‘스트레스 G 하모나이저’를 선보였다. 피부에 뿌리면 스트레스 때문에 방출된 불쾌한 냄새를 제거한다. 후각과 감정을 연결해 기분을 이완하고, 심리를 진정시키는 메커니
△ 기획력 △ 속도력 △ 주도력 △ 대응력 △ 상품력 △ 덕후력. K-뷰티를 성공으로 이끈 여섯가지 키워드다. 신간 'K-뷰티 트렌드'는 이 여섯 가지 힘을 한마디로 ‘트렌드 대응력’으로 요약하면서 모든 산업이 K-뷰티의 혁신 DNA를 배워야 한다고 강조한다. K-뷰티에서 K-산업의 성공 방정식을 찾을 수 있다는 말이다. 집요하게, 그리고 동시에 새롭게-기획력 “K-뷰티의 성취는 고객 감성과 트렌드에 적합한 상품을 만들어낸 기획력의 승리다.” 이 책에선 기획력을 △ 소비자 목소리를 잘 듣고 △ 그 안에 숨은 욕망코드를 읽어 △ 상품에 매력적으로 반영해 구매를 이끌어내는 과정이라고 설명했다. 참신하고 새롭고 재밌는 상품이 끊임없이 쏟아져 나올 때 소비자는 계속 구매버튼을 누른다. K-뷰티의 기획력은 ‘집요한’ 데이터 관리에서 나온다. 데이터를 활용해 소비자 니즈를 ‘정확히’ 분석하는 것이 시작이다. 구매 후기에선 상품 기획 아이디어와 개선점을 찾을 수 있다. 역기획 전략도 눈여겨볼 부분이다. 소비자 목소리에서 출발한 역설계·역발상이 새로운 글로벌 수요를 창출했다. K-뷰티는 소비자가 화장품을 쓰는 상황과 맥락을 이해한 다음 상품의 핵심 속성을 발굴했다. ‘지루
‘트렌드 코리아 2021 전망’ “적응하거나 죽거나(Die or adapt)." 클라우스 슈밥 세계경제포럼 회장이 던진 말이다. 코로나19 시대를 살아가는 동시대인을 향해서다. 과격하지만 과녁을 적중했다. 코로나19에도 삶은 계속된다. 그리고 소비도 지속된다. 단 모든 것이 바이러스의 영향에서 자유롭지 못하다는 점에서 전과 다르다. 바이러스가 바꿔놓은, 바꾸게 될 경제를 알아야 하는 이유다. 서울대소비트렌드분석센터는 2021년 가장 중요한 것은 ‘빠른 변화’라고 말했다. 변화의 방향이 아니라 속도에 눈떠야 한다. 코로나는 미래를 앞당겼다. 변화에 가속도가 붙었다. 날뛰는 소처럼 거친 변화가 사회 곳곳에 불어닥친다. 유능한 카우보이가 필요하다. 서울대소비트렌드분석센터가 펴낸 ‘트렌드 코리아 2021’은 내년을 이끌 10대 키워드로 ‘카우보이 히어로’(COWBOY HERO)를 제시했다. 야생소를 길들이는 유능한 카우보이를 상징한다. 팬데믹 위기를 헤쳐 나가자는 의지를 담은 카우보이 히어로는 △ 브이노믹스 △ 레이어드 홈 △ 자본주의 키즈 △ 거침없이 피보팅 △ 롤코라이프 △ #오하운, 오늘하루운동 △ N차 신상 △ CX 유니버스 △ 레이블링 게임 △ 휴먼터치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