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로핀즈 코스메틱 앤 퍼스널 케어 코리아(Eurofins Cosmetics & Personal Care Korea·이하 유로핀즈)가 ‘의료기기와 미용기기의 경계’를 주제로 한 글로벌 임상 전략 웨비나를 마무리하고 새로운 전략을 모색하는 자리를 가졌다. 웨비나는 글로벌 인증기관 Emergo by UL과 공동으로 기획, 업계 관계자 120여 명이 온라인으로 참석했다. △ 미용기기로 인정받기 위한 전략 △ 국가별 임상 설계 요건의 통합 대응법 △ Annex XVI 등 최신 유럽 CE 인증 흐름 등을 다뤘으며 단순 정보 전달을 넘어 실무 중심의 인사이트를 제공하는 데 중점을 뒀다고 유로핀즈 관계자는 설명했다. LED 마스크, 미용기기? 의료기기? 이번 웨비나에서 가장 많은 질문과 관심은 “LED 마스크 제품은 미용기기로 분류받을 수 있는가”였다. 유로핀즈 측은 “제품의 클레임과 마케팅 문구가 핵심 요소다. ‘피부 광채 증가’ ‘피부 탄력 개선’ 등의 일반 미용 표현은 가능하지만 ‘콜라겐 생성 촉진’ ‘주름 개선’과 같은 의학 차원의 표현은 지양해야 한다”고 밝혔다. 출력 강도 역시 의료기기 수준 이하로 유지해야 하는 점도 유의할 대목이다. Annex XVI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 www.mfds.go.kr )가 우리나라 화장품 업계의 해외 진출 확대와 경쟁력 강화를 위한 규제외교 행보를 이어간다. 식약처는 “지난 8일부터 10일까지 캐나다에서 열린 국제 화장품 규제조화 협의체(ICCR) 정회원국으로서 제 19차 연례회의에 참석했다”고 밝히고 “이번 연례회의에서는 우리나라 화장품의 소용량 표기법 등 최신 규정 개정 사항을 소개하는 동시에 워킹그룹에서는 △ 화장품 원료 안전성 평가 통합전략 △ e-라벨링에 대한 각 국의 규제 접근 방식에 대해 심도깊은 논의를 진행하는 기회를 가졌다”고 덧붙였다. 화장품법 시행규칙 개정(2024년 7월 9일자)은 소비자 안전사용을 위해 식약처장이 지정하는 소용량 화장품(50ml(g) 이하)에 △ 전성분 △ 사용할 때의 주의사항 등 기재·표시사항 등을 기재하도록 한 조치다. 특히 최근 K-화장품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면서 신흥 수출시장으로의 발전 가능성이 높은 중남미를 대상으로 전략 차원의 수출 지원을 위해 브라질 국가위생감시국(ANVISA)과 양자협의를 거쳐 양해각서(MOU)를 체결하는 등 실질 협력 네트워크 구축에 핵심을 둔 고위급 협력 회의 추진 방향도 협의했다. 이와 함께
스킨1004가 아프리카·서유럽 등 신흥시장 공략에 나섰다. 스킨1004는 아프리카·서유럽·인도 진출을 확대하고 있다. 아프리카에선 남아공을 중심으로 유통을 확장하는 단계다. 이 브랜드는 올해 상반기 남아공에서 매출 3억원을 올렸다. 지난 해 상반기에 견줘 608% 증가했다. 남아공 현지 유통망을 늘리고 신규 고객층을 확보한 결과다. 스킨1004는 4월 남아공의 뷰티매장 ARC에 진출했다. 현지 소비자들의 긍정적인 반응에 힘입어 추가 입점을 확정했다. 울워스(Woolworths) 15곳에도 들어선다. 올 상반기 서유럽 시장 매출은 146억원으로 나타났다. 전년 대비 590% 증가하며 경쟁력을 입증했다. 6월 이탈리아·스페인·프랑스에서 거둔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950% 늘었다. 스킨1004는 독일 로스만 780곳, 영국 세포라 40곳에서 제품을 판매한다. 이탈리아 더글라스 진출도 앞뒀다. 스페인 뷰티매장 드루니(Druni) 450곳과 클라렐(Clarel) 211곳에서도 제품을 선보인다. 곽인승 스킨1004 총괄은 “서유럽과 아프리카 전역으로 유통망을 넓히고 있다. K뷰티 수요가 빠르게 증가사는 신흥국가에서 브랜드 영향력을 높여 나가겠다”고 말했다.
‘후더닛’(Whodunit)은 추리 장르에서 파생된 용어다. “누가 했는가?”(Who done it?)를 뜻한다. ‘와이더닛’(Whydunit)은 “왜 했는가?” 동기에 초점을 맞춘다. K-뷰티의 서사는 후더닛에서 와이더닛을 거쳐 여기에 다다랐다. ‘하우더닛’(Howdunit), 바로 “어떻게 했는가?”다. 브랜드 간 경쟁이 치열한 시기에는 ‘누가’, ‘왜’에 무게를 둔다. 타인의 성공 스토리를 파헤쳐 방해하거나 답습한다. 미투 전략은 빠르지만 위험하다는 사실은 K-뷰티의 역사 곳곳에서 증명된다. K-뷰티의 세계화 시대. 게임의 규칙이 바뀌었다. 이제 개인전이 아닌 단체전이다. 개별 플레이어의 기량보다 팀의 승리를 위한 전략이 요구된다. ‘어떻게’ 이길 것인지에 맞춰 팀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 얼마 전 들은 이야기는 ‘어떻게’에 관한 작은 실마리를 제공했다. K-뷰티를 세계로 유통하는 한 대표에 대한 일화. A대표는 SNS에 짧은 글을 올렸다. “지금 커피챗 할 사람?” 화장품업계 종사자 20명 정도가 카페에 모여들었다. A대표는 그들 모두에게 커피를 사고 이렇게 물었다. “지금 어떤 일을 하세요?” 저마다 이야기를 시작했다. “저는요” “우리 회사는...”
화장품 안전성과 관련한 글로벌 규제가 강화 추세를 보이면서 이를 보다 효율성 높게 대응할 수 있는 방안이 절실해 지고 있다. (재)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원장 조신행· www.kcii.re.kr ·이하 화산연)은 △ 글로벌 향료 안전기준 제공 기관 국제향료협회(IFRA·International Fragrance Association) △ 향료 안전성 평가 전문기관 향료원료연구소(RIFM·Research Institute for Fragrance Materials)와 화장품·향료 분야 안전성 강화와 상호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비공식 환담 형식으로 진행한 이번 미팅에는 Dr. Mathias Vey(IFRA 부회장)·Caroline Li(IFRA APAC 지부장)·Dr. Anne Marie Api(RIFM 회장)·Dr. Chris Choi(IFRA·RIFM 이사) 등의 주요 인사가, 화산연 조신행 원장·이정표 실장·실무 담당자 등이 참석했다. 최근 유럽과 중국을 중심으로 강화 추세를 보이고 있는 향료 성분과 천연 추출물에 대한 안전성 평가 트렌드와 우리나라에도 도입힐 안전성 평가 제도, 그리고 국제 규제 대응 방향 등에 대한 의견을 교환했다. 화산연은 국내 화장품
아누아가 영국 부츠 매장 650곳에 입점했다. 아누아는 지난해 10월 부츠 120곳을 시작으로 매장수를 늘려 나갔다. 9개월 만에 매장 수가 5배 이상 증가했다. 영국 전역에 빠르게 유통망을 구축한 K-뷰티 브랜드로 떠올랐다. 판매 제품 수도 15종까지 확대했다. 대표 제품은 글로벌 뷰티시장에서 인기인 ‘라이스 토너’다. 미국 출시 6개월 만에 베스트셀러에 오른 ‘아젤라익 세럼’과 ‘PDRN 세럼’ 등 기능성 제품도 선보인다. PDRN 세럼은 영국 부츠 5~6월 캠페인에서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90% 뛰었다. 2분기 부츠에서 올린 매출은 직전 분기 대비 26% 상승했다. 아누아 관계자는 “영국 부츠 매장을 발판 삼아 유럽시장 공략을 가속화할 전략이다. 제품 포트폴리오와 유통 전략을 확장하며 시장 점유율을 높여 나가겠다”고 밝혔다. 아누아는 8월 26일까지 부츠 온·오프라인에서 세럼을 비롯한 주요 제품을 10% 할인한다.
코트라 로스앤젤레스무역관 리포트 요약 지난 2022년 말 제정한 ‘화장품 규제 현대화법’(이하 MoCRA·Modernization of Cosmetics Regulation Act of 2022)의 시행과 2기 트럼프 정부 집권과 동시에 여전히 위협으로 작용하고 있는 25% 수준의 관세 부과 등 다양한 무역 장벽에도 불구하고 대 미국 수출 실적이 상승세를 그리고 있는 K-뷰티. K-뷰티가 이렇나 법·제도 관련 장애물을 넘어 성장세를 이어가기 위해서는 철저한 SWOT 분석과 함께 △ 클린뷰티 △ BIPOC(Black, Indigenous, and People of Color)를 위한 브랜드 △ 디지털 네이티브 뷰티 분야에 대한 관심과 공략을 이뤄가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코트라 로스앤젤레스 무역관은 최신 리포트를 통해 지난해 미국 수입화장품 시장에서 1위에 오른 K-뷰티에 대한 실적과 함께 단일 국가 최대 규모의 화장품 시장을 형성하고 있는 미국 시장 공략에 대한 조언을 내놨다. 주요 기업 현황 리포트에 의하면 2025년 현재 미국 화장품 시장은 △ 로레알USA(62억 달러) △ 유니레버(49억 달러) △ P&G(44억 달러) △ 에스티로더(40억 달러
에이피알(대표 김병훈)이 정보보호 관리체계 인증을 취득했다. 정보보호 관리체계 인증(ISMS)은 기업의 보안관리 역량을 공인하는 제도다. 에이피알은 기업 공식 홈페이지와 브랜드 사이트 등이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이 제시한 보안관리 기준에 적합함을 입증했다. 아울러 에이피알은 정보보호 공시를 실시했다. 한국인터넷진흥원이 운영하는 공시 종합 포털에 기업의 정보보호 활동과 투자 현황 등을 공개했다. 정보보호 공시는 2015년 도입 후 자율적으로 운영됐다. 2022년부터 연 매출 3000억원 이상 상장법인을 대상으로 의무화했다. 소비자의 안전한 인터넷 사용을 돕고, 기업의 정보보호 책임성을 높이기 위해서다. 지난해 유가증권시장(KOSPI)에 상장한 에이피알은 올해 처음 정보보호 공시를 이행했다. 한국인터넷진흥원에 따르면 2025년 상반기 기준 기업 773곳이 정보보호 공시를 시행했다. 에이피알은 이번 공시에 정보보호 분야의 인력 구성 현황과 투자 규모 등도 포함했다. 이 회사는 정보보호 필수 교육을 진행하고 내부 감사 제도를 운영한다. 또 정보보호 정책‧지침을 수립하고, 개인정보보호 배상책임보험에 가입했다. 에이피알은 정보보안 체계를 안정적으로 운영할 방침이다.
아워글래스가 배우 혜리를 브랜드 모델로 선정했다. 혜리는 아워글래스 화보에 얼굴을 드러냈다. 신제품 ‘큐레이터 아이섀도우 팔레트’와 ‘팬텀 글로시밤 레드제로’로 감각적인 메이크업을 선보였다. 팬텀 글로시밤은 입술에 유리알같은 광택을 선사한다. 비건 뷰티 브랜드 아워글래스의 혁신 기술력으로 개발했다. ‘큐레이터 아이섀도우 팔레트–리얼리스트’는 얼굴에 섬세한 음영감과 입체감을 불어넣는다. 매트‧새틴‧쉬머‧메탈릭 등 4가지 제형이 들어있다. 혜리는 2010년 걸그룹 걸스데이로 데뷔했다. 드라마 ‘응답하라 1988’, ‘선의의 경쟁’ 등에 출연해 연기자로 이름을 알렸다. 아워글래스 측은 “혜리는 밝고 건강한 이미지를 지녔다. 브랜드가 지향하는 윤리적 가치와 잘 어울린다고 여겨 모델로 발탁했다. 혜리와 함께 비건 뷰티 철학을 진정성 있게 전달할 계획이다”고 전했다.
올리브영 글로벌몰이 올해 상반기 역대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 올리브영을 1월부터 6월까지 글로벌몰의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70% 증가했다고 밝혔다. 주문 건수는 약 60% 늘었다. 특히 5월 31일부터 6월 6일까지 진행한 여름세일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00% 뛰었다. 이는 성분 뷰티 시장이 커진 결과다. 마데카소사이드‧히알루론산‧콜라겐 등 특정 성분을 담은 스킨케어‧토너패드‧선케어‧마스크팩 등이 잘 팔렸다. 올리브영 글로벌몰의 매출을 이끈 국가는 미국이다. 전체 매출 가운데 절반 이상이 미국에서 나왔다. 이어 매출 증가세가 두드러진 국가는 △ 영국(300%) △ 말레이시아(256%) △ 싱가포르(191%) △ 일본(180%) △ 필리핀(138%) 순이다. 올리브영은 물류 인프라를 강화하며 해외 주문 수요에 대응하고 있다. 이달 1일 글로벌 특송기업인 페덱스(FedEx)과 업무 협약을 맺었다. 한‧미 특송과 미국 내 물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서다. 서정주 올리브영 SCM센터장과 질 브래넌(Jill Brannon) 페덱스 부사장은 K뷰티의 글로벌 물류 안정성과 효율성을 높여나갈 전략이다. 아울러 올리브영은 글로벌몰을 통해 중소 뷰티 브랜드의 해외 진출을
최근 K-뷰티의 글로벌 확산과 함께 미국 FDA(식품의약국)의 화장품 규제가 더욱 엄격해지고 있다. 특히 지난 6월 FDA가 발표한 새로운 미생물 오염 관련 수입경보는 한국 화장품 업계에 상당한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그렇다면 FDA 경고장을 받은 후 어떤 일들이 벌어지는지, 그리고 화장품 업체들은 어떻게 대비해야 하는지 상·하 편으로 나눠 자세히 살펴본다. ■ 경고장, 그 이후의 이야기 FDA 경고장(Warning Letter)은 단순한 ‘주의’가 아니다. 이는 해당 제품이 연방법을 위반했음을 공식 통보하는 ‘마지막 통첩’이다. 경고장에는 발견된 위반 내역과 관련 법 조항을 명시한다. 업체는 30일 내에 시정계획을 서면으로 제출해야 한다. 만약 이 단계에서 적절한 대응을 하지 않으면 어떻게 될까? FDA는 단계적으로 더욱 강력한 제재 조치를 취한다. 이는 마치 도미노가 쓰러지듯 연쇄적으로 이어지며 결국 해당 업체의 미국 시장 진출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다. ▲ 1단계: Import Alert-자동 억류의 시작 경고장 후에도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FDA는 해당 업체나 제품을 ‘수입경보 목록’(Import Alert)에 등재한다. 이는 사실상 미국 입국 금지
자연주의와 과학을 결합한 고기능성 클린뷰티 브랜드 케이클리(CAYCLLY) 가 중동 최대 뷰티 커머스 플랫폼 ‘부티카’(Boutiqaat)에 공식 입점, 중동 시장 공략을 위한 가속 페달을 밞기 시작했다. 이탈리아 V-Label 인증을 획득한 케이클리는 비건&클린 뷰티 기반 슬로우에이징 솔루션을 제안, 글로벌 소비자의 주목을 받고 있다. 고기능성 자연주의 콘셉트 표방 케이클리는 ‘자연주의 클린 뷰티’에 과학 기반 효능을 더한 하이브리드 화장품 브랜드를 표방한다. 피부 안전성 임상시험을 완료했고 흡수 특허(프레솜™ 공법) 기술을 적용, 유효 성분의 피부 흡수를 셀링 포인트로 내세우고 있다. 특히 주력 라인 ‘레드베리어’(RedBarrier·7종)는 케이클리의 독자 처방 성분 ‘노블베리+아스타잔틴+판테놀+5겹 세라마이드’를 통해 보습·피부장벽 강화·슬로우에이징 솔루션을 구현한다. 부티카, 케이클리와 손잡다 부티카는 쿠웨이트에 본사를 둔 중동 최대 뷰티·패션 이커머스 플랫폼이다. 1천 명 이상의 셀럽과 인플루언서가 큐레이팅한 제품을 소비자에게 직접 추천하는 방식으로 브랜드와 소비자 간 신뢰를 높이는 구조를 갖췄다. 현재 △ 700여 개 글로벌 브랜드 입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