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9 (화)

  • 맑음동두천 15.8℃
  • 맑음강릉 17.4℃
  • 맑음서울 16.4℃
  • 맑음대전 15.8℃
  • 맑음대구 15.9℃
  • 맑음울산 15.1℃
  • 맑음광주 14.9℃
  • 맑음부산 16.2℃
  • 맑음고창 14.3℃
  • 맑음제주 15.9℃
  • 맑음강화 15.5℃
  • 맑음보은 13.8℃
  • 맑음금산 15.3℃
  • 맑음강진군 15.9℃
  • 맑음경주시 16.4℃
  • 맑음거제 16.2℃
기상청 제공

화장품

오픈서베이 ‘뷰티 카테고리 리포트’ 발표

스킨케어·메이크업 소비자 구매행태 분석

 

오픈서베이(대표 황희영)가 ‘뷰티 카테고리 리포트 2022’를 펴냈다. 코로나19 전후 여성 뷰티 소비자의 특징과 구매행동을 분석했다.

 

‘뷰티 카테고리 리포트 2022’는 여성 소비자 6천명을 설문조사한 결과다. 스킨케어는 20~49세 여성 3천명을 대상으로 2019년부터 4개년 데이터를 살폈다. 메이크업은 15~49세 여성 3천명의 2021년부터 2개년 데이터를 집계했다.

 

이번 보고서에서 주목할 부분은 온라인 구매 채널의 변화다. 소비자가 화장품을 구매하는 온라인 채널은 △ 네이버쇼핑 △ 올리브영 온라인몰 △ 쿠팡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올리브영 온라인몰 이용이 두드러졌다. 올리브영 온라인몰 구매는 스킨케어와 메이크업 부문에서 전년 대비 고르게 증가했다.

 

카카오톡 선물하기에서는 메이크업 제품 이용률이 상승했다. △ 입술 △ 쿠션‧파운데이션 △ 눈 카테고리 구매율이 늘었다. 올해는 입술 제품 성장세가 가장 높았다.

 

화장품 평균 사용량은 전년 대비 증가했다. 최근 1개월 동안 스킨케어 제품은 6.5개, 메이크업 제품은 6.5개 사용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전년 동기 대비 스킨케어와 메이크업을 각각 0.5개, 0.6개 더 썼다.

 

화장에 투자하는 시간도 길어졌다. 최근 1개월 간 평균 화장시간은 스킨케어 7.0분, 메이크업 12.6분이다. 지난 해 같은 기간 스킨케어는 6.6분, 메이크업은 11.4분이었다.

 

메이크업 제품은 전 품목군에 걸쳐 사용량이 많아졌다. 소비자는 쿠션‧립밤‧립스틱‧립글로스를 지난 해보다 올해 더 많이 발랐다.

 

전예리 오픈서베이 데이터비즈니스 팀장은 “화장품 온라인 채널이 가파르게 성장했다. 올해 데이터 분석 결과 코로나19로 주춤했던 메이크업 카테고리가 회복세를 보였다”고 전했다.

 

이어 “이번 보고서에 스킨케어와 메이크업의 품목별 소비 행태를 소개했다. 스킨‧에센스‧크림‧선케어‧쿠션 부문의 트렌드를 파악할 수 있다”고 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