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모레퍼시픽이 ‘과학 기반 감축 목표 이니셔티브’(Science Based Targets initiative·이하 SBTi)로부터 ‘2030 온실가스 감축 목표&2050 넷-제로(Net-Zero) 목표’에 대한 승인을 획득했다. 국내에서는 아모레퍼시픽을 포함해 기업 6곳 만이 SBTi 기준에 따라 넷-제로 목표를 승인 받았다. SBTi는 지난 2015년 기후변화 관련 비영리 기관 탄소정보공개프로젝트(CDP)·유엔글로벌컴팩트(UNGC)·세계 자원연구소(WRI)·세계자연기금(WWF)이 참여해 공동 설립했다. 세계기상기구(IPCC)·국제에너지기구(IEA)의 보고서를 기반으로 지구 평균 온도 상승 1.5℃ 제한을 달성하기 위한 감축 목표 기준을 제시한다. 기업의 단기 혹은 장기 넷제로 목표를 검증하는 글로벌 이니셔티브다. 아모레퍼시픽은 SBTi 승인을 통해 온실가스 감축 목표와 넷-제로 목표의 객관성을 확보했다. 아모레퍼시픽은 사업장 내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 직접배출량(Scope1)과 전기 등을 구매하면서 발생하는 간접배출량(Scope2)의 총량을 2020년 대비 2030년까지 48.9%, 2050년까지 90% 감축, 넷-제로를 달성하겠다는 계획이다. 아모레
아모레퍼시픽이 탄소정보공개프로젝트(Carbon Disclosure Project·CDP) 평가에서 기후 변화에 대한 투명성 분야의 리더십을 인정받아 최고 등급인 A등급에 2년 연속 이름을 올렸다. 국내 화장품·뷰티 업계에서는 아모레퍼시픽이 최초이자 유일하다. 탄소정보공개프로젝트(CDP)는 영국에 소재한 글로벌 비영리기관으로 전 세계 금융투자기관이 주도, 기업에게 환경 관련 경영정보공개를 요청하는 글로벌 이니셔티브. 세계 최대 규모의 환경 데이터베이스를 바탕으로 전 세계 금융기관이 기업 투자 등의 의사결정을 지원해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한 기반을 만들고 있다. 올해는 전 세계 약 2만3천200곳 이상의 기업이 응답한 가운데 국내에서는 10곳의 기업만이 기후 변화(Climate Change) 부문에서 리더십 A 평가를 받았다. 아모레퍼시픽은 지난 2021년 3월 RE100 이니셔티브를 선언한 이후 2022년 전사 재생에너지 전환 34%를 달성했다. 지난해에는 전사 에너지 사용량 중 50%를 재생에너지를 통해 조달한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설화수·라네즈·해피바스 등 아모레퍼시픽의 주요 브랜드·제품을 생산하는 오산과 대전 생산사업장은 2023년 기준 100% 재생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