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뷰티산업진흥원·지엘지앤비·더로터스(주)·제이리 등 제주 화장품 인증기업 4곳이 총 24억 원 규모의 해외수출 계약을 체결했다. 제주특별자치도·제주테크노파크(이하 제주TP)는 “지난달 24일부터 26일까지 열린 ‘2024 인터참코리아’에 이들 4곳의 기업 참가를 지원, 이러한 결과를 얻었다”고 밝혔다. 제주특별자치도와 제주TP는 4곳의 제주화장품 인증기업을 지원,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기반을 제공하는 한편 전시회 현장에서 청정 제주 이미지를 담은 ‘제주 화장품 홍보관’을 운영했다. 홍보관은 화장품 원료 가공부터 생산·마케팅에 이르는 제주 화장품 인증제의 원-스톱 프로세스를 홍보하기 위해 참관객을 대상으로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과 이벤트를 펼쳤다. 대한뷰티산업진흥원의 경우 전시회 현장에서 일본 이모쿠니야주식회사와 2억 원 규모의 계약 체결에 성공하는 등의 성과를 올렸다. 제주 화장품 인증제도의 활성화를 위해 제주특별자치도와 제주TP는 지난 5월에 있었던 ‘2024 코스모뷰티 서울’에서도 제주 화장품 인증기업 4곳((주)유앤아이제주·제이리·더로터스(주)·(주)리코리스)에 대한 지원을 통해 7억 원 규모의 수출 계약을 성사시킨 바 있다. 제주
‘깊고 좁고 뾰족하게’. 코로나19 이후 뷰티시장 판도가 ‘확’ 달라졌다. 확실한 효능과 눈에 보이는 피부개선 효과가 중시되면서 효능주의 더마 코스메틱 시장이 활짝 열렸다. 기능성 앰플‧세럼‧스팟 제품이 스킨케어 시장의 핵으로 부상했다. K-뷰티는 웰니스‧건강 키워드와 결합해 글로벌 웰이이징 트렌드를 확산시키고 있다. ‘색보다 결’. 색조시장도 변화를 맞았다. 이젠 피부 색보다 결이 우선이다. 자연스럽고 건강한 피부, 속광채가 흐르는 ‘헬시 글로우’가 대세다. ‘예쁜 결’ ‘어린 피부’를 나타내기 위해 색조화장품은 기능성 스킨케어 성분과 손잡았다. 엔데믹 시대를 이끌 뷰티 트렌드로 △ 더마 코스메틱 △ 문제성 스팟(spot) 관리 △ 위생뷰티 △ 아이디어형 멀티 제품 등이 떠올랐다. 이는 5월 25일부터 27일까지 서울 삼성동 코엑스 1층 A홀에서 열린 ‘제37회 서울국제화장품‧미용산업박람회’에서 확인했다. 뷰티+메디컬=의료뷰티‧예방뷰티 ‘제37회 서울국제화장품‧미용산업박람회’(COSMOBEAUTY SEOUL 2023)에는 374개사가 참여해 부스 524개를 꾸렸다. 부스에서는 문제성 피부 개선을 위한 더마 코스메틱이 다양하게 소개됐다. 필러‧보톡스 콘셉트의
국내에서 열리는 화장품·뷰티 산업 전문 전시회 가운데 최고의 전통을 자랑하는 ‘2022 서울국제화장품·미용산업박람회’(이하 코스모뷰티서울) 개막 한 달 여를 남기고 막바지 준비작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오는 5월 26일(목)부터 28일(토)까지 사흘 동안 코엑스(서울 삼성동 소재) 1층 A홀에서 막을 올리는 코스모뷰티서울은 1987년 시작으로 올해 36년째 개최되는 화장품·뷰티 관련 전문 전시회. 특히 올해의 경우 지난 2년 동안 코로나19 팬데믹에 의한 여러 장애요인들이 거의 사라짐으로써 전시회가 추구하는 다양한 가치들이 실제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이 그 어느때 보다 높은 상황이어서 국내외 화장품·뷰티 업계의 기대 또한 한층 고조되고 있다. 올해 전시회 주제는 미닝아웃, 윤리소비 등 최신 트렌드에 맞게 ‘가치있는 아름다움’으로 설정해 ‘코스모 픽: VALUE(Vegan·Activity·Lifestyle·Up-cycle·Eco-friendly)’를 추구한다. B2B 전시회의 특징과 장점을 극대화해 △ 수출바이어 상담회 △ 유통바이어 상담회 등 다양한 비즈니스 프로그램을 기획했다. 유통 바이어 상담회는 직접 전시장에서, 해외 바이어와의 수출 상담회
매년 4~5월에 개최하던 ‘2021 서울국제화장품·미용산업박람회’(이하 코스모뷰티서울)가 올해는 일정을 조정, 오는 7월 2일(금)부터 4일(일)까지 사흘 동안 코엑스(서울 삼성동 소재) 1층 A홀에서 막을 올린다. ‘헬스&뷰티위크’라는 테마로 내걸고 포스트 코로나·뉴노멀 시대에 발맞춘 온-오프라인 하이브리드 전시회를 표방한다. 코스모뷰티서울은 지난 1987년을 시작으로 올해 35회를 맞이하는 최고의 전통과 노-하우를 보유한 전문 전시회다. (사)한국전시산업진흥회 국제인증전시회로 인정받아 수출바우처를 통한 전시 참가도 가능하다. 주최측 관계자는 “지난해 코로나로 인해 불가피하게 전시회를 취소했지만 일 년 이상의 기간 동안 보다 알찬 내용으로 준비해 오는 7월 2일 화장품·뷰티 업계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을 다채로운 모습의 전시회를 개최할 계획이다. 현재 신규 중소•벤처·스타트업 기업의 참여와 문의가 이뤄지고 있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현재 어려운 시기를 맞고 있는 참가업체를 지원하기 위해 △ 동반 참가 할인 이벤트 △ 경품 지원 프로그램 △ 소상공인을 위한 코스모 마켓 부스 등 참여를 확대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특히 올해 참가 기업을 위
2019 서울국제화장품∙미용산업박람회(코스모뷰티서울)가 오늘(9일)부터 오는 11일까지 사흘간 일정으로 서울 삼성동 코엑스 1층 A홀 전관에서 개막했다. 이번 박람회는 ‘2019 헬스앤뷰티위크’를 테마로 참가 기업들이 실질적인 비즈니스 성과를 거둘 수 있도록 B2B 중심으로 마련했다. ㈜한국국제전시, ㈜한국미용산업협회가 주최하는 이번 박람회에는 △ 화장품 △ 원료‧포장 △ 헤어‧두피 △ 에스테틱‧스파 △미용기기 △ 네일∙풋∙타투 등 화장품 제조 기업부터 생산, 유통, 수입 관련 기업들이 참가해 최신 화장품, 미용산업 관련 제품과 신기술을 한자리에서 선보이며 화장품∙뷰티 산업의 최신 트렌트와 전망, 비즈니스 정보교류의 장으로 마련됐다. 이와 함께 2019 국제건강산업박람회를 이너뷰티&헬스존으로 마련, ‘건강을 뛰어넘어, 내면의 아름다움을 가꾸는 시간!’이라는 주제로 함께 열렸다. 올해 33회째를 맞이한 서울국제화장품‧미용산업박람회는 12개국 68부스 규모로 해외 기업 참가가 확대됐으며 국내외 기업 모두를 포함 13개국 373곳 기업이 520부스로 마련했다. 특히 올해는 오픈네트워크를 통해 사전 신청하고 상담 일정을 매칭한 바이어는 총 57개국 1천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