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이블리는 뷰티 누적 리뷰 수가 520만 건을 넘어섰다고 밝혔다. 지난 해 9월 뷰티 리뷰 250만 건 달성 후 1년 만이다. 리뷰 수가 2배 이상 가파르게 증가하며 플랫폼의 경쟁력을 입증했다. 에이블리는 1020층이 뷰티 리뷰의 약 80%를 작성했다고 설명했다. 10대 후반 소비자가 쓴 리뷰 수가 25%를 차지했다. 20대 초반(23%)과 20대 후반(14%)이 뒤를 이었다. 특히 10대 후반 사용자 둘 중 한 명은 화장품 구매 후 반드시 후기를 올린 것으로 집계됐다. 뷰티 후기 중 포토 리뷰는 70%에 달했다. 포토 리뷰를 콘텐츠이자 개성 표현 수단으로 여기는 젊은층이 늘면서다. 에이블리 측은 “메이크업 제품은 조명이나 피부톤에 따라 색 표현이 달라진다. 양질의 포토 후기가 화장품 매출 성장을 이끌고 있다”고 말했다. 8월 에이블리의 뷰티 리뷰 수 1위 품목은 틴트다. 총 리뷰 수 4만 건을 기록했다. 에이블리에서 독점 판매한 △ 릴리바이레드 글래시 레이어 픽싱틴트 △ 메리몽드 밀크하트 틴트 립앤치크 △ 아이빔 듀이 세럼 립 틴트 등이 주목 받았다. 뷰티 리뷰 수 2위는 쿠션이다. 유명 치어리더가 사용해 화제인 ‘셰르잔느 퐁드땅 루미에르 도레 쿠션’의 사
에이블리는 1월 화장품 매출이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올해 1월 에이블리 뷰티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200% 성장하고 주문 수는 185% 늘었다. 입점 브랜드가 늘고 상품 수가 확대되면서 매출이 수직 상승했다. 올해 1월 기준 에이블리에 입점한 화장품 수는 전년 동기 대비 약 5배 증가했다. 이 회사는 마스크 착용이 해제되면서 뷰티 매출이 급증했다고 분석했다. 입술과 베이스 메이크업 제품은 물론 얼굴 형태를 관리하는 쉐딩‧괄사 제품까지 잘 팔렸다. 재택근무가 종료되고 각종 모임이 늘면서 오피스룩‧하객룩을 완성하는 틴트‧립스틱 등의 매출이 늘었다. 올해 1월 에이블리의 틴트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약 210% 신장했다. 수정 화장 빈도가 늘면서 쿠션‧파운데이션‧컨실러 등 베이스 메이크업 매출은 155% 상승했다. 쉐딩‧하이라이터‧치크 매출은 4배 뛰었다. 얼굴 윤곽을 관리하는 괄사와 리프팅 밴드 수요도 급증했다. 엔데믹에 화려한 눈화장이 부활했다. 아이섀도우‧아이라이너‧마스카라 매출이 2배 늘었다. 가닥 속눈썹이나 컬링 뷰러‧속눈썹 파마 키트 등 셀프 뷰티 제품도 인기다. 페리페라 브랜드 담당자는 “에이블리는 충성도 높은 MZ세대 소비층을 많이
에이블리는 6월 스킨케어 제품 거래액이 전년 동기 대비 약 95% 증가했다고 밝혔다. 스킨케어 브랜드 수도 약 6배 늘었다. 아모레퍼시픽 설화수 이니스프리부터 스킨푸드 에필로우 SNP 등이 입점한 상태다. 에이블리 6월 매출을 살펴보면 여름철 땀과 피지를 관리하는 제품이 잘 팔렸다. 특히 각질과 모공을 관리하는 얼굴용 팩이 강세를 보였다. 6월 얼굴용 팩 주문 수는 전월 대비 135% 신장했다. 스킨푸드의 ‘푸드 마스크’가 높은 판매를 기록했다. 토너패드도 두각을 나타냈다. 패드 한 장으로 들뜬 각질과 피부 결을 정돈할 수 있어서다. SNP의 ‘비타로닉 토너패드’와 셀리맥스의 ‘지우개 패드’이 매출을 이끌었다. 더위가 시작되면서 가벼운 화장을 선호하는 이들이 늘었다. 멀티 톤업크림이 각광받았다. 톤업크림은 자연스럽게 피부 톤을 밝힌다. 베이스 메이크업 단계를 최소화할 수 있는 아이템이다. 셀리맥스 ‘환생 톤업 크림’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40% 증가했다. 롬앤 ‘백미 톤업 크림’도 실시간 랭킹 순위 상위권을 차지했다. 톤업 기능을 더한 선크림 △ 에스쁘아 ‘워터 스플래쉬 선크림’ △ SNP ‘UV 퍼펙트 에어 톤업 선크림’ 등도 강세를 보였다. 아울러 피
에이블리가 ‘신흥 화장품 맛집’으로 부상했다. 뷰티관 정식 오픈 1년 만에 이룬 성과다. 화장품 핵심 소비자층인 MZ세대를 사로잡으면서다. 에이블리코퍼레이션(대표 강석훈) 에이블리는 뷰티 부문 거래액이 1년 만에 66배 성장했다고 밝혔다. 에이블리 뷰티 카테고리는 론칭 이후 3개월 만에 2100%(20배), 반년 만에 3190%(30배) 신장했다. 올 3월 거래액과 주문 수는 지난해 3월 대비 각각 6508%(66배), 4178%(43배) 증가했다. 올 2월에도 전월 대비 약 44% 성장했다. 에이블리에서 3월 가장 많이 팔린 품목군은 포인트 메이크업이다. 화장품 전체에서 48%를 차지한다. 소비 심리가 되살아나며 코로나19로 위축된 색조 화장품 시장에 볕이 들었다는 분석이다. 롬앤 거래액은 지난 해 3월에 비해 140% 늘었다. 클리오 페리페라의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10% 증가했다. 대형 뷰티 브랜드의 매출도 가파르게 뛰었다. 올해 에이블리 입점 한 달 이내 억대 매출을 달성한 브랜드는 아모레퍼시픽과 클리오 등이다. 아모레퍼시픽 거래액은 지난해 5월 입점 시점 대비 138% 늘었다. 클리오의 3월 거래액은 전년 동기 대비 94% 이상 신장했다. 에이블
에이블리코퍼레이션(대표 강석훈)이 운영하는 스타일 커머스 플랫폼 에이블리가 화장품 부문 성장에 힘입어 7월 이용자 수 1위를 달성했다고 밝혔다. 와이즈앱·와이즈리테일의 분석에 따르면 에이블리는 1월부터 6월 월간 사용자 수 1위를 차지했다. 만 10세 이상 안드로이드와 애플(iOS) 스마트폰 사용자를 표본 조사한 결과다. 이어 7월에도 월 사용자수 1위를 지켰다. 7월 실 구매자 수는 전월 대비 약 60% 늘었다. 구매자와 주문수가 동반 상승하며 최고 거래액을 나타냈다. 에이블리는 3월 뷰티 카테고리를 신설했다. 화장품의 7월 거래액은 전월 대비 55% 상승했다. 입점 브랜드는 헤라 라네즈 마몽드 이니스프리 페리페라 클리오 롬앤 등이다. 3CE와 정샘물 등도 새롭게 진출했다. 회사 측은 “로드숍 브랜드와 SNS 인기 제품도 들여올 예정이다. 신규 브랜드를 확대해 소비자의 쇼핑 편의성을 높여 나가겠다”고 했다. 에이블리는 2018년 3월 셀럽 마켓 모읍앱으로 시작해 패션 뷰티 홈데코 추천 플랫폼으로 성장했다. 3년 만에 △ 누적 다운로드 수 2천2백만건 △ 누적 거래액 7천5백억 △ 월간 사용자 수 1위를 기록하며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패션 쇼핑앱 에이블리가 화장품 판매에 나선다. 에이블리코퍼레이션(대표 강석훈)이 운영하는 에이블리는 코스메틱 카테고리를 선보였다고 밝혔다. 에이블리는 소비자 취향에 맞는 패션 상품을 추천하는 스타일 커머스 플랫폼이다. 상품 찜과 구매 이력 등 빅데이터를 분석해 개인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한다. 에이블리 코스메틱 부문에서는 MZ세대에서 주목받는 브랜드를 판매한다. 입점 브랜드는 △ 롬앤 △ 셀리맥스 △ 클리오 △ 키르시 블렌딩 △ 페리페라 등이다. 에이블리는 ‘봄 맞이 쿠폰 릴레이’ 행사를 열고 15~20% 할인을 실시한다. 나만의 파우치 만들기도 실시한다. 강석훈 에이블리코퍼레이션 대표는 “색조 화장품을 시작으로 스킨케어 제품까지 품목을 늘릴 계획이다. 소비자의 취향과 스타일에 맞게 화장품을 추천하며 고객 만족도를 높여가겠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