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 및 수자원‧산림자원 보호 3개 부문 로레알(회장 장 폴 아공)이 비영리 환경단체 CDP가 실시한 △ 기후변화 대응 △ 수자원 보호 △ 산림자원 보존 평가에서 A 등급을 획득했다. 이 회사는 전 세계에서 유일하게 3개 영역에서 3년 연속 A 등급을 받았다고 밝혔다. CDP는 세계 주요 기업‧기관이 수립한 기후 변화 대응 전략과 온실가스 배출량 등을 조사한다. 이를 바탕으로 환경 변화에 효율적으로 대처하고 있는지 평가한다. 매년 약 6,800개 기업은 자사가 환경에 미친 영향과 위험 요소, 기회 등에 대한 정보를 CDP에 제공한다. CDP는 이들 기업이 △ 기후 변화 대처 △ 수자원 보호 △ 산림자원 보존 등에 기여한 점수를 A부터 D까지 등급별로 매긴다. 정보를 충분히 제공하지 않거나, 비공개한 기업에게는 F등급을 준다. 로레알은 올해 CDP가 평가하는 3개 분야에서 모두 A 등급을 받은 두 기업 중 하나로 선정됐다. 장 폴 아공 회장은 “지난 해 기후 변화 유발 요소를 최소화하고 산림 벌채 방지하는 등 환경을 보호하기 위한 활동을 강화했다”며 “세계 주요 환경 문제를 지속 가능한 방법으로 해결하는 데 힘 쏟을 것”이라고 전했다.
새해 3월 30일 0시부터 영국은 ‘제 3국’ 전환…혼란 예방위한 준비해야 최근 브렉시트(Brexit·영국의 EU(유럽연합) 탈퇴) 문제로 인해 전 세계 이목이 집중되고 있는 가운데 국내 화장품 업계 역시 영국의 EU(유럽연합) 탈퇴 이후 EU 화장품 관련 규정의 변화 방향에 대한 주의와 관심이 절대적으로 필요하게 됐다. 지난달 29일, EU 역내 통상을 담당하는 유럽 집행위원회의 역내시장·산업·기업가정신·중소기업 총국(Directorate-General for Internal Market, Industry, Entrepreneurship and SMEs)은 영국의 EU 탈퇴와 관련, 화장품 부문 EU 규정에 대한 통지문을 공개했다. 이 통지문에 따르면 지난해 3월 29일 유럽연합 탈퇴 의사를 통보한 영국은 오는 2019년 3월 30일 00:00(CET-중앙유럽표준시)부터 유럽연합국이 아닌 제 3국이 되며 현재까지는 탈퇴 협정 비준에 대한 불확실성이 일정 부분 존재한다는 관점에서 모든 이해 당사자들은 탈퇴 승인 이후 고려해야 할 법적 영향을 미리 상기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하고 있다. EU 화장품 규정 ‘Regulation(EC) No.1223/2009-
한국소비자원 14개 제품 안전성 조사…3개 제품 해당 해외직구로 유통되는 스프레이·미스트 등 화장품에서 살균보존제 성분인 메칠클로로이소치아졸리논과 메칠이소치아졸리논(이하 CMIT, MIT)이 검출됐다. 한국소비자원(원장 이희숙)은 해외직구로 구입한 스프레이·미스트 등 화장품 14개에 대한 안전성 조사 결과, CMIT는 1개 제품에서 4.6mg/kg, MIT는 3개 제품에서 최소 1.7 mg/kg~최대 53.0mg/kg 검출됐다고 밝혔다. 조사에 따르면 △ Eva NYC 브랜드의 Up All Night Volumizing Spray 제품과 △ Paul Mitchell 브랜드의 Seal and Shine 제품에서 각각 27.2mg/kg, 53.0mg/kg의 MIT가 검출됐으며 △ Nearly Natural 브랜드의 Moisture Mist에서는 CMIT 4.6mg/kg과 MIT 1.7mg/kg이 검출됐다. 국내에서는 식품의약품안전처 ‘화장품 안전기준 등에 관한 규정’ 고시(제2017-114호) 별표 2에 따라 사용상의 제한이 필요한 원료에서 MIT와 CMIT:MIT=(3:1)혼합물의 사용한도를 규정하고 있다. 단 씻어내는 제품에 한해 MIT는 0.01%(100m
‘새 청사진·추진·실천’ 슬로건…1기보다 5배 규모 ‘야심찬 행보 미용교육대학·로즈 컬처·서플라이 체인 플랫폼 등 전방위 커버 ‘동방의 글라스’를 꿈꾸는 중국 후저우뷰티타운의 두 번째 야심찬 프로젝트가 본격적인 실행에 돌입한다. 동시에 중국의 화장품 산업 미래와 전 세계 화장품 시장에 대한 전망, 이를 바탕으로 화장품 R&D·원료산업·마케팅·소비동향·전문인력 양성 등에 이르기까지 비전을 제시하는 메머드급 포럼이 한국을 포함, 프랑스와 이탈리아, 스페인 등 전 세계 화장품 산업 리더 3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열렸다. 중국 후저우뷰티타운은 지난 17일과 18일 ‘새로운 청사진, 새로운 추진과 실천’(New Blueprint New Catch-up)을 슬로건으로 내걸고 후저우뷰티타운 일대와 그랜드 뉴센츄리호텔 후저우 차이나 연회장에서 제 4회 애뉴얼 코스메틱스 인더스트리 리더스 써밋(Annual Cosmetics Industry Leaders Summit·이하 ACILS)을 가졌다. 후저우뷰티타운, 새 청사진 공개 지난 17일(월) 프레스 컨퍼런스를 통해 공개한 후저우뷰티타운의 새로운 청사진은
7개 장 89개 조항 마련…소비자 권익 보호 강화 해외직구 비중 높은 국내 화장품 기업 대비 필수 소비자 권익 보호를 위한 법안 마련에 주력하고 있는 중국이 최근 ‘중화인민공화국 전자상거래법’을 통과시켰다. 특히 소비자 권익보호 성격이 강한 이번 법은 중국 전자상거래 수출 비중이 큰 국내 화장품 기업들이 반드시 숙지해 피해를 입지 않도록 대책을 강구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코트라 중국 상하이무역관에 따르면 지난 8월 31일 중국 제13회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 제5차 회의에서 ‘중화인민공화국 전자상거래법’이 통과돼 2019년 1월 1일부터 시행될 예정이다. 전인대 재정경제위원회 인중칭 부주임위원은 “전자상거래법은 내용이 많고 복잡할뿐만 아니라 관련된 분야가 다양해 새로운 내용이 계속 파생됐다”며 “이에 다른 법률 대비 오랜 시간에 걸쳐 신중하게 심의가 이뤄졌다”고 밝혔다. 전인대 통과로 산업 관리의 법적 근거를 마련한 중화인민공화국 전자상거래법은 총 7개 장, 89개 조항으로 마련했으며 △ 전자상거래 경영자 △ 계약체결과 이행 △ 분쟁해결 △ 전자상거래 촉진과 법률책임 등 5가지 분야에 대해 명확하게 규정했다. 소비자 권익보호 위한 플랫폼 관련 기업 의무
베이징·쿤밍·시안 등 주요 도시 B2B 사업망 확대 전략 중국이 베이징 등 22곳 도시를 국경 간 전자상거래 종합시범구로 설립을 새로 허가했다. 한국온라인쇼핑협회(회장 변광윤)는 지난 7일 중국 국무원이 22곳 도시를 '국경 간 전자상거래 종합시범구'로 신설하는데 동의했다고 중국신식산업망-인민우전보(中国信息产业网-人民邮电报·중국 정보산업 네트워크-인민 우편&텔레커뮤니케이션)의 기사를 인용해 발표했다. 이로써 중국 국경 간 전자상거래 종합시범구는 13곳에서 35곳까지 늘어났다. 새로 시범구로 허가받은 도시 22곳은 △ 베이징 △ 후허하오터 △ 션양 △ 창춘 △ 하얼빈 △ 난징 △ 난창 △ 우한 △ 창샤 △ 난닝 △ 하이커우 △ 꿰이양 △ 쿤밍 △ 시안 △ 란저우 △ 샤먼 △ 탕산 △ 우시 △ 웨이하이 △ 쭈하이 △ 동관 △ 이우 등이다. 이번 국경 간 전자상거래 종합시범구 확대는 중국 시진핑 국가주석이 추진하는 ‘신시대 중국 특색 사회주의 사상’에 따른 시장 개방 전략으로 풀이되고 있다.
코트라, 미국 뷰티 제품 패키징 트렌드 라이프스타일 변화‧마케팅 전략으로 소형 용기 활용 증가 미국 뷰티 소비자 라이프스타일의 변화와 마케팅 전략에 따라 소용량의 뷰티‧퍼스널케어 제품의 수요와 유리 용기 사용, 스틱형 패키징 활용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코트라 미국 뉴욕무역관이 조사한 ‘미국 뷰티 제품 패키징 트렌드’ 자료에 따르면 휴대가 간편하고 메이크업과 스킨케어 시간을 단축시켜주는 패키징이 인기를 얻고 있는 가운데 프리미엄 브랜드의 유리 용기 사용 선호도 또한 높아지고 있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언제 어디서나 빠르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스틱형 패키징의 사용이 늘고 있는 추세로 분석했다. 50ml 이하 소형 용기 판매량 5년간 43.9%↑ 코트라 측은 유로모니터가 조사한 2012~2017년 미국 뷰티‧퍼스널케어 제품 용량별 용기 판매량 증감률 자료를 분석했다. 그 결과 미국 전체 뷰티‧퍼스널 케어 제품 용기 판매량은 2017년 144억7천790만 개로 2012년에 비해 1.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0~50ml 용량의 소형 용기 판매량은 5년간 43.9% 늘어 전체 카테고리 가운데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인 반면 101~300g, 501ml~7
지난 1월 제조 금지에 이어 판매 규제도 본격화 영국과 스코틀랜드 전역에서 미세플라스틱이 포함된 제품의 판매가 금지됐다. 코트라 영국 런던무역관에 따르면 영국 정부는 지난 1월 9일부터 시행한 미세 플라스틱이 포함된 화장품과 퍼스널케어의 제조 금지에 이어 지난 19일부터 판매 금지를 시행했다고 밝혔다. 마이클 고브 영국 환경부 장관은 “페이스 스크럽, 치약, 샤워젤과 같은 제품에 더 이상 미세 알갱이로 불리는 작은 플라스틱 조각을 첨가할 수 없다”며 “플라스틱 알갱이가 배수구를 통해 바다로 유입돼 해양생태계에 심각한 해를 미치고 있기 때문”에 제조‧판매를 금지한다고 말했다. 영국은 25개년 환경 계획을 발표하고 2042년까지 불필요한 플라스틱 폐기물의 완전 제거하는 동시에 생산자에게 환경적 영향에 대한 책임 확대, 재활용 플라스틱 품질 향상을 위해 바이오 기반 친환경 플라스틱 개발을 장려하고 있다. 이에 영국 산업계는 지난 4월 WARP(The Waste and Resources Action Programme)이 출범시킨 플라스틱 협약(Plastic Pact)에 동참하고 있다. 협약에 가입한 기업들은 △ 플라스틱 포장 100% 재사용‧재활용‧퇴비 가능 △효과
2018 중국 상하이 국제 미용 전시회(CIBE) 글로벌 뷰티 시장의 트렌드와 집약된 전문 기술을 한 자리에서 만날 수 있는 뷰티 전문 전시회인 2018 중국 상하이 국제 미용 전시회(이하 CIBE)가 지난 5월 19 일부터 21일까지 사흘간 상하이 국제 컨벤션 센터에서 ‘I love U Shanghai’를 테마로 열렸다. 이번 전시회는 매년 국내 뷰티 관련 업체들과 중국 현지 기업들을 잇는 가교역할을 담당하며 성장세를 이어오고 있다. 올해는 4.2, 5.2, 6.2, 7.2, 8.2 등 총 5개 홀로 구성된 23만㎡ 규모의 전시면적에 세계 18곳 국가, 2천200곳 기업과 브랜드가 참가, 주요 바이어 800명, 참관객 50여만 명이 방문했다. CIBE는 올해 주빈국으로 한국을 선정했으며 킨텍스가 주관하는 K-Beauty Expo 참가업체 36곳을 포함한 67곳 국내 업체가 자사의 유망 제품을 선보였다. 킨텍스는 현장 바이어 미팅 존을 마련하는 등 체계적인 전시 참가 시스템을 통해 국내 업체들을 전폭 지원했다. 특히 린린 CIBE 대표는 한국 부스를 일일이 방문해 준비한 선물과 함께 감사의 말을 전했다. 이번 전시회 기간동안 38건에 달하는 다양한 테마의 뷰
미국 하와이주, 해양 환경‧생태계 악영향으로 인한 법안 가결 주지사 서명 시 2021년 발효…업계는 반발 미국 하와이주 의회는 지난 2일 미국 50개주 가운데 최초로 옥시벤존(oxybenzone)과 옥티녹세이트(octinoxate)가 함유된 자외선 차단제의 판매와 유통을 금지하는 내용의 법안을 가결했다고 밝혔다. 코트라 미국 뉴욕무역관이 보고한 자료에 따르면 옥시벤존과 옥티녹세이트는 산호를 죽이고 해양 생물의 내분비 교란 가능성을 증가시켜 하와이의 해양 환경과 생태계에 심각한 악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번 법안은 데이비드 이게 하와이 주지사가 서명 시 2021년 1월 1일부터 발효되며 2021년 1월 1일부터 자격을 갖춘 의료서비스 제공자로부터 발급받은 처방전 없이 옥시벤존과 옥티녹세이트가 함유된 자외선 차단제를 하와이에서 판매하거나 판매를 제안하거나 유통하는 것을 금지하게 된다. 또한 하와이 내 모든 카운티는 2021년 1월 1일 이전까지 옥시벤존과 옥티녹세이트가 함유된 자외선 차단제의 판매, 사용, 레이블링, 포장, 취급, 유통, 광고를 금지하는 조례 또는 규제를 제정해야 한다(여기서 자외선차단제는 section 328-1에 정의된 얼굴에 사용
국가질량감독검험검역총국 화학 성분 측정위한 표준 9월 1일 시행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중국지사는 중국 국가질량감독검험검역총국과 국가표준화관리위원회가 35가지 화장품 성분 측정을 위한 국가표준을 공고했다고 밝혔다. 중국 신화망의 보도에 따르면 국가질량감독검험검역총국(国家质量监督检验检疫总局)·국가표준화관리위원회(国家标准化管理委员会)는 지난 2월 6일 △ 화장품 10가지 미백·기미제거제 측정을 위한 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래피 △ 치약마찰값 검출법 △ 구강청결 관리용품 분류‧용어 등 35가지 화장품 성분 측정을 위한 국가표준공고를 발표했다. 이번 국가표준은 오는 9월 1일부터 시행 예정이다. ◇ 중국 화장품산업관련 35가지 국가표준 목록 표준 번호 표준 명칭 중문 명칭 GB/T 35957-2018 화장품 성분 중 금지물질 세슘-137, 세슘-134 측정, 감마선 폴라로그래피 (化妆品中禁用物质铯-137, 铯-134的测定γ能谱法) GB/T 35956-2018 화장품 성분 중 N-니트로소디에탄올아민(NDELA) 측정,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이중질량분석법 (化妆品中N-亚硝基二乙醇胺(NDELA)的测定 高效液相色谱-串联质谱法) GB/T 35955-2018 발한억제제 (방향성)
일본 통신판매 시장 10년간 약 2배 증가 일본 통신판매 시장이 지난 10년간 약 2배가 증가했으며 배경에는 세대를 초월한 인터넷 판매가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온라인쇼핑협회(협회장 변광윤· http://www.kolsa.or.kr)는 일본통신판매협회(JADMA)의 통신판매 시장 매출 조사 내용을 인용, 발표했다. JADMA에 따르면 2016년도 통신판매 시장의 매출은 6조9천400억엔으로 전년 대비 6.6% 증가, 금액으로는 4천300억엔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통신판매 시장이 10년 동안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으며, 10년 전인 2007년(3조8천800억엔)에 비해 1.8배에서 2배까지 확대된 것이다. GDP 통계에서 가계 소비 전체의 대비는 2016년도의 판매 매출은 가계 최종 소비지출 전체의 2.4%에 불과하지만 가계 소비 전체가 대체로 답보 상태를 유지하는 가운데 지난 10년 동안 계속해서 성장하고 있는 것은 확실하게 소비자의 지지를 획득해오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시장 확대의 배경에는 인터넷을 통한 통신 판매의 확대가 있다. 실제 총무성 통계국 가계 소비 상황 조사에서 데이터가 취합할 수 있는 2015년 이후 3년 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