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로젠타스(대표 신세현)가 진행한 ‘병풀 유래 엑소좀(CICA-EV) 제형에 대한 인체 적용시험과 원료 기전 연구’가 SCI급 국제학술지 코스메틱스(Cosmetics, doi:10.3390/cosmetics12040135)에 실렸다. 이 연구는 고순도 엑소좀 분리·정제 기술을 적용했다. 병풀 유래 엑소좀(CICA-EV)을 피부에 적용한 결과 콜라겐 생성량이 약 2.37배(136.6%) 증가했다. 피부 콜라겐 분해 효소(MMP-1) 활성은 49.3% 억제했다. 이는 병풀 유래 엑소좀이 콜라겐 합성에 핵심 역할을 하는 COL1A1 발현을 유도한 결과다. 마이크로젠타스는 병풀 잎 유래 성분을 엑소필터(ExoFilter) 플랫폼을 통해 분리한 뒤 인체 적용시험을 실시했다. 인 비트로(in vitro·체외) 세포 실험은 휴먼피부임상시험센터에서, 인체 적용시험은 에이스피부임상연구소에서 수행했다. 인체적용시험을 통해 병풀 유래 엑소좀의 모공·주름·수분 개선 효과를 확인했다. 평균 모공 면적은 17.9%, 주름 깊이는 부위별로 7.8~18.8% 감소했다. 피부 수분은 7.9%, 피부 치밀도는 12.7% 향상됐다. 피부 자극 지수는 0.00으로 나타나 비자극성 판정을 받
닥터지가 ‘오일 점증제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특허를 출원했다. 이 조성물은 닥터지 피부과학연구소 연구진이 개발했다. 연구진은 우수한 자외선 차단력과 가벼운 사용감에 초점을 맞춰 기술 개발에 들어갔다. 일반적으로 자외선 차단지수가 높아질수록 점증제‧유화제 함량이 늘어난다. 제형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다. 이 경우 사용감이 무거워지는 현상이 단점으로 꼽혔다. 닥터지 연구진은 물속에 기름이 들어있는 수중유형(O/W) 제형에서 오일 부분에 점증제를 적용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 자외선 차단 효과 △ 제형의 안정성 △ 산뜻하고 가벼운 사용감 등을 두루 구현했다. 닥터지는 ‘그린 마일드 업 선 플러스’, ‘브라이트닝 업 선 플러스’ 등으로 선케어 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특허 출원 조성물을 활용한 신제품으로 경쟁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이정현 고운세상코스메틱 피부과학연구소 팀장은 “한국의 자외선 차단제가 세계 시장에서 각광받고 있다. 실용적이면서 효능이 우수한 자외선 차단제를 출시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 닥터지가 ‘오일 점증제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특허를 출원했다.
글로벌 화장품 ODM(연구·개발·생산) 전문기업 코스맥스가 AI 기술을 활용한 항산화 효소 연구 성과를 국제 학술지에 게재하며 학계와 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코스맥스는 이번 성과를 기반으로 고기능성 화장품 시장 공략을 강화한다는 구상을 밝혔다. 코스맥스차이나(총경리 이상인)는 극한환경에 서식하는 미생물에서 항산화 효소‘ SOD’(Superoxide Dismutase)를 찾아내고 이를 안정화하는 기술을 확보했다고 발표했다. 연구는 지난 6월 바이오 분야 상위 10%에 속하는 국제 학술지 ‘International Journal of Biological Macromolecules’(국제생물고분자학회지)에 ‘잠재적 산업 적용을 위한 극한환경 미생물 유래 고내성 SOD 발굴, 발현과 특성 분석’이라는 제목으로 실었다. 코스맥스는 자체 바이오 효소 플랫폼을 활용해 화산지대·사막 등 극한환경 미생물에서 SOD 효소를 발굴하는데 성공했다. SOD는 자외선과 공해 등으로 발생하는 활성산소를 제거해 세포 손상을 방지하고 노화와 피부 트러블 예방에 효과를 발휘하는 항산화 효소다. 그동안 업계에서 SOD는 비타민C보다 약 1만 배 빠른 반응 속도를 보이지만 안정성 관련 이슈
애경산업의 돌외 추출물 연구가 ‘2025년 보건의료 R&D 우수성과 30선’에 선정됐다. ‘피부과학 응용소재·선도기술 개발’ 분야에서 단독으로 뽑혔다. 돌외는 박목 박과에 속하는 덩굴성 다년초 식물이다. 주로 울릉도와 제주 등에서 자생한다. 애경산업은 바이오에프디엔씨‧분당차병원과 함께 ‘돌외/돌외 캘러스 추출물’을 개발했다. 희귀 자생식물인 울릉도 돌외를 지속가능한 방법으로 추출해 천연소재 상용화에 성공했다. 돌외/돌외 캘러스 추출물은 피부 장벽을 강화하고 보습·진정 효과를 제공한다. 애경산업은 이 성분을 △ 에이솔루션 어성초 트러블 3종 △ 에이지투웨니스 에센스 팩트 2종 등에 담았다. 김한영 애경산업 연구원은 “소비자와 환경을 위해 지속가능한 소재와 제품을 선보이고 있다. 고도화한 보건의료기술을 접목해 K-뷰티를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밝혔다.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은 매년 ‘보건의료 R&D 우수성과 30선’을 발표한다. 논문‧특허‧기술이전 등 분야별로 평가해 우수사례를 정한다.
글로벌 화장품 ODM(연구·개발·생산) 전문기업 코스맥스가 중국 현지 약재로 맞춤형 화장품 소재 개발에 나선다. 코스맥스는 중국 주요 대학 등 학계는 물론 중국 지방 정부와의 협력을 확대, 현지화 연구를 고도화한다는 구상이다. 코스맥스차이나(총경리 이상인)는 중국 윈난성 다리시 미두현인민정부(弥渡县人民政府)와 화장품 소재 원료 개발·공급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윈난성 약재 활용, 중국 맞춤형 화장품 소재 개발 중국 윈난성은 중국 남서부에 위치해 있는 지역. 연중 기온 변화가 크지 않아 식물 자원이 풍부한 지역으로 유명하다. 삼칠·당귀·철피석곡 등 10대 특용 중약재 외에도 100여 종의 다양한 약재 생산지다. 코스맥스는 협약을 통해 윈난성의 약재를 활용, 중국 맞춤형 화장품 소재 개발에 박차를 가한다. 나아가 현지 맞춤형화장품 생산을 위해 안정성있는 고품질 원료 공급망을 확보하고 윈난성과 동반성장에 나설 방침이다. 코스맥스는 지난 2019년 코스맥스차이나 R&I센터 내에 소재연구소를 설립하고 중국 현지 식물 자원을 화장품 개발에 접목하기 위해 활발한 연구개발을 진행해왔다. 이를 통해 윈난성의 흑작약 유래 소재 등 50여 건의 현
네오팜이 13일 화장품 원료 디펜사마이드를 중국에 등록했다. 디펜사마이드(Defensamide)는 피부보호 기능을 가진 기능성 원료다. 중국 화장품 저위험군 ‘경외 신원료’로 이름을 올렸다. 중국에선 화장품 신원료를 국가약품감독관리국(NMPA)에 등록해야 한다. 해외 생산 원료의 경우 △ 물리·화학적 특성 △ 제조 공정 △ 독성학적 안전성 평가 △ 피부 자극 및 알레르기 반응 시험 등을 검증해 신원료로 승인한다. 네오팜은 디펜사마이드의 효과와 안전성을 과학적으로 입증했다. 중국 현지 지정기관을 통해 디펜사마이드의 유효성‧안전성 시험을 실시했다. 디펜사마이드는 피부 본연의 항균력과 면역력을 강화한다. 피부장벽을 튼튼하게 재건해 외부환경으로부터 방어력을 높인다. 네오팜 측은 “장벽이 손상된 피부는 건조하고 가려워지기 쉽다. 천연 항균 물질인 항균펩타이드(AMPs)가 감소하기 때문이다. 디펜사마이드는 항균 펩타이드 생성을 촉진해 피부 방어력을 강화한다”고 설명했다. 이 성분은 글로벌 화장품 원료 전시회 ‘2012 인-코스메틱스 글로벌’에서 혁신원료 부문 은상을 수상한 바 있다. 네오팜의 성과는 여러모로 시사하는 바가 크다는 평가를 받았다. 네오팜 연구는 보건복지부
건강기능식품 ODM(연구·개발·생산) 전문기업 코스맥스엔비티가 ‘밀배유 추출물’로 2중 피부 건강 기능성 개별인정형 원료 허가를 취득했다. 코스맥스엔비티의 밀배유 추출물은 코스맥스엔비티의 소재 전문 자회사 코스맥스엔에스와 고객사 그린스토어가 공동 개발한 소재. 먹는 식물성 세라마이드라는 의미를 담아 ‘세라모사이드™’(Ceramosides™)로 이름 지었다. 세라마이드는 화장품의 원료로 널리 사용되는 보습 성분이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세라모사이드™에 대해 △ 피부 보습 기능성 △ 자외선 피부 손상 보호 기능성을 인정했다. 기존에도 피부 보습 기능성을 인정받은 밀배유 추출물 개별인정형 소재는 있었지만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 보호 기능성까지 인정받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세라모사이드™의 주 원료 밀배유는 밀의 씨눈 밀배아에서 추출한 성분. 밀배아는 각종 항산화 물질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세라모사이드™는 실험을 통해 히알루론산 효소 증가와 콜라겐 분해효소(MMPs) 감소가 확인됐다. 인체적용시험에서도 섭취 14일차부터 피부 보습량과 피부 주름 깊이 등이 대조군 대비 각각 16배, 5배 개선됐다. 특히 세라모사이드™는 적은 섭취량이 강점이다.
화장품 소재·원료 의약품 개발생산 전문기업 대봉엘에스(대표 박진오)가 미국 뉴욕에서 열린 북미 최대 화장품 원료 박람회 NYSCC Suppliers’ Day 2025(6월 3일~4일)에 참가, 지속가능성과 고기능을 겸비한 업사이클링 기반 K-뷰티 원료를 선보이며 북미 시장 공략에 속도를 높였다. NYSCC Suppliers’ Day는 뉴욕에서 매년 열리는 화장품 원료 전시회. 북미 시장을 중심으로 최신 원료 트렌드와 기술을 한 자리에서 조망할 수 있는 글로벌 B2B 플랫폼이다. 글로벌 원료 기업과 관련 업계 전문가들이 참여, 특히 북미 내 브랜드·제조사와의 비즈니스 미팅도 활발히 이루어졌다. 대봉엘에스는 이번 전시회에서 △ 유자씨 오일 유래 천연 유사 세라마이드 △ 연근 유래 비건 뮤신 △ 적채 유래 엑소좀 △ 발효 밀 기반 고효율 펩타이드 등 차세대 K-뷰티 원료를 소개했다. 이들 원료는 지속가능성과 고효능을 모두 갖춘 클린뷰티 솔루션으로 북미 소비자들이 중시하는 자연 친화&효과 중심의 스킨케어 니즈에 부합한다는 설명이다. 유자씨 오일은 국내 전남 고흥산 유자씨를 업사이클링·제조한 고기능성 보습·안티에이징 오일. 친환경 효소 공법으로 천연 유사 세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