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리브영이 3월 1일부터 7일까지 올영세일을 진행한다. 올영세일은 올리브영 전국 매장과 온라인몰에서 실시한다. 1만6000여종의 제품을 할인하고 다양한 혜택을 제공한다. 환절기 피부관리용 스킨케어 제품과 새학기 이미지 변신용 색조화장품 등을 최대 70% 할인한다. 올리브영은 주목할 뷰티 트렌드를 키워드로 내세운 기획전을 마련했다. △ 봄철 피부와 머릿결을 윤기있게 하는 ‘요즘 GLOW’ △ 쿨톤‧웜톤 모두 어울리는 ‘미지근 메이크업’ △ 헬시푸드를 제안하는 ‘건강하게, 맛있게’ 등이다. 특가행사도 연다. 스테디셀러 특가에선 지난해 올영세일 인기 품목을 할인한다. 브랜드 데이에선 매일 1~2개 브랜드의 추가 할인쿠폰을 제공한다. 클리오를 시작으로 토리든‧라운드랩‧롬앤‧힌스‧좋은느낌‧달바‧바닐라코 쿠폰을 순차적으로 발급한다. 선착순 쿠폰 규모도 확대했다. 선착순 쿠폰의 최대 할인 금액을 4000원에서 1만원으로 높였다. 쿠폰 발급 횟수도 일 2회에서 3회로 늘렸다. 올리브영 관계자는 “올영세일은 3‧6‧9‧12월 열리는 정기 할인행사다. 계절에 맞는 뷰티&헬스 제품을 합리적인 가격에 선보일 예정이다”고 밝혔다.
디어달리아(DEAR DAHLIA)가 ‘립 얼루어 글로우 샤인’ 화보를 소개했다. 이 화보에서 배우 김민주는 부드럽게 반짝이는 입술을 선보였다. 거울에 비친듯한 투명광 입술로 시선을 모았다. ‘립 얼루어 글로우 샤인’은 입술에 자연스러운 혈색을 더한다. 덧바를수록 맑은 광택이 차오른다. 입술에 촉촉하고 매끄럽게 발리면서 생기를 제공한다. 립 케어 캡슐 성분이 메마른 입술에 수분을 공급한다. 색상은 누드 톤부터 생기 넘치는 컬러까지 8가지로 나왔다. 피부 컬러나 톤에 맞춰 다양한 메이크업을 연출할 수 있다. 이 제품은 3월 1일부터 올리브영 온라인몰에서 단독 판매한다. 3월 1일부터 7일까지 올리브영 세일 기간 15% 할인 판매한다.
마녀공장이 ‘틴틴팅클 봄소풍 에디션’을 올리브영에 선보인다. 이 제품은 인스타툰 작가 ‘난’과 만들었다. 난(NAN)은 어린이의 시선을 고양이 캐릭터로 풀어낸다. 난은 틴틴팅클 제품에 콩물이의 소원이 마법처럼 이뤄지는 이야기를 담았다. 마녀공장의 슬로건인 ‘as you wish’(당신이 원하는 대로)도 녹여냈다. 틴틴팅클 캐릭터들이 꿈속에서 즐거운 하루를 보내는 모습을 그렸다. 틴틴팅클 에디션은 △ 퓨어 클렌징 오일 △ 퓨어 클렌징 워터 센서티브 △ 퓨어&딥 클렌징 폼 △ 비피다 바이옴 콤플렉스 앰플 등 4종으로 나왔다. 마녀공장은 기획세트에 굿즈를 포함했다. 틴틴팅클 캐릭터로 디자인한 마그넷 3종과 거울키링 등이 소장 가치를 높였다. 이 회사는 제품 판매 수익금 일부를 아름다운재단에 기부한다. 기부금은 방과 후 돌봄 사각지대에 놓인 아동을 지원하는 데 쓰일 예정이다.
김민경 한국케엠케색채연구소 대표가 25일 싱가포르 스위소텔 스탠포드호텔서 열린 ‘2025 브랜드 로레이 어워드’에서 ‘브랜드 아이콘 리더십’ 상을 받았다. ‘브랜드 로레이 어워드’(The Brand Laureate Awards)는 세계적으로 브랜드 가치를 인정받는 개인‧기업‧단체에 수여하는 상이다. 올해 시상식은 20주년을 기념해 성대하게 열렸다. 김민경 대표를 비롯해 중국‧영국‧프랑스‧말레이시아‧인도 귀빈과 싱가포르 장관‧국회의원, 브루나이 중앙은행총재 등이 참석했다. 김민경 대표는 대한민국 1호 컬러리스트로로 꼽힌다. 색채를 표준화해 한국의 브랜드 가치를 세계에 알렸다. 또 현대미술 작가로 활동하며 국내외에서 작품성을 인정 받았다. 글로벌 기업의 컬러 컨설팅을 담당하며 브랜드 가치를 높였다는 평가다. KK 요한(Dr. KK Johan) 브랜드로레이재단 이사장은 “김민경 컬러리스트는 작품성과 상업성을 동시에 갖춘 전문가다. 컬러리스트 역량을 바탕으로 KCOLOR 작품 가치를 증명했다”고 밝혔다. 김민경 대표는 “한국 고유의 색과 브랜드 가치를 세계인들에게 널리 알리는 데 힘쏟았다. 세계적인 브랜드 기업‧개인들과 함께 수상의 영광을 안았다”고 전했다. 그는
비햅(bhab)이 글로벌 전자상거래 플랫폼 도도스킨에 입점했다. 도도스킨(DodoSkin)은 2019년 설립됐다. K-뷰티 제품을 해외에 선보인다. 서울‧부산‧미국 캘리포니아 월넛에 기반을 뒀다. 지난 해 자사 브랜드 ‘DODOSKIN’을 출시했다. 비햅은 도도스킨을 통해 슬로우차가 5종을 해외 소비자에게 선보인다. 품질을 알리며 브랜드 인지도를 확대할 전략이다. 비햅은 건강하고 아름다운 피부는 습관에서 비롯된다고 강조한다. 시베리아 차가버섯을 콤부차 유산균으로 발효한 독자 성분으로 제품을 만든다. 슬로우차가 라인은 독일 더마테스트에서 엑설런트 등급을 받았다. 프랑스 이브비건(EVE-VEGAN) 인증과 국제 동물권 단체 PETA 인증, FSC 친환경 인증을 획득했다.
에이피알이 메디큐브와 에이프릴스킨을 유럽 전역에 선보인다. 에이피알(대표 김병훈)은 27일 유럽 유통사와 손잡고 메디큐브·에이프릴스킨 공급을 확대하고 나섰다. 동유럽·북유럽 거점 유통기업을 통해 화장품·뷰티디바이스 20여종을 본격 판매할 예정이다. 최근 동유럽·북유럽 국가를 중심으로 한국산 화장품 수출액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에 따르면 유럽국가의 2023년 대비 2024년 K-뷰티 성장률은 △ 폴란드(144.1%) △ 벨라루스(131.6%) △ 덴마크(110.5%) △ 핀란드(66%) △ 독일(46.7%) △ 스페인(43.2%) 순이다. 유럽 소비자의 선호도가 높은 제품은 메디큐브의 △ 제로모공패드 △ 콜라겐 나이트 랩핑마스크 △ 콜라겐 젤리 크림 △ 딥 비타 씨 캡슐 크림 등이다. 에이프릴스킨 캐로틴 라인과 에이피알의 대표 뷰티 디바이스 ‘부스터 프로’도 관심을 끌었다. 에이피알은 미국 등 글로벌 시장에서 쌓은 노하우를 바탕으로 유럽을 공략할 계획이다. 유럽 현지 유통사와 접점을 늘리며 시장 점유율을 높인다는 목표를 세웠다. 이커머스나 뷰티 편집매장 외 백화점 등에 새롭게 진출할 전략이다. 에이피알 관계자는 “유럽은 유로존으로 통합돼
모두가 화장품을 바른다. 당연히 화장품을 ‘안다’고 생각한다. ‘알고 있다’는 확신은 맹신으로 이어질 수 있다. 우리가 잘못 알고 있는 화장품 정보는 과연 얼마나 될까. 화장품을 바르는 것만으로 기미‧잡티가 씻은 듯 사라질까? 자글자글하던 주름은 싹 펴지나. 립스틱, 매일 먹어도 되나? 약국화장품은 약처럼 치유효과가 있을까. 비싼 화장품을 쓰는 게 더 좋은가? 퍼스널컬러는 진리인가. 화장품에 대한 오해를 바로 잡고 이해를 돕는 책 ˹화장품의 정석˼이 나왔다. 37년 동안 화장품업계에 몸담아온 김주덕 성신여자대학교 뷰티융합대학원장이 펴냈다. ˹화장품의 정석˼에서 ‘화장품을 제대로 알고, 올바르고 건강하게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하셨습니다. 초등학생도 스스로 화장품을 바르고, 중‧고교생도 유튜브를 보고 화장을 합니다. 화장품, 누구나 다 아는 것 아닐까요? SNS가 일상을 점령하면서 잘못된 화장품 정보가 넘쳐납니다. 검증되지 않은 주장, 비과학적 단견이 SNS‧언론매체‧책을 어지럽혀요. 거짓정보는 화학물질 공포증인 케미포비아(chemohobia)를 유발하고, 화장품에 대한 불안을 조장하죠. 이는 뷰티산업에 대한 불신으로 이어지고요. 올바른 화장품 정보를 알려
로레알코리아가 ‘크리에이트 유어 뷰티’ 캠페인 영상을 공개했다. 이 영상은 발달장애 예술인 김채성 작가가 참여했다. 그는 지난 해 열린 ‘크리에이트 유어 뷰티’ 공모전에서 대상을 받았다. 대상작 ‘자유로운 만남’에는 ‘아름다움은 마음으로 느끼는 것’이라는 메시지를 담았다. 하늘을 나는 고래는 세상에 행복을 전하고싶다는 그의 바람을 나타낸다. 로레알코리아는 2022년부터 장애예술인 공모전 ‘크리에이트 유어 뷰티’를 열고 있다. 장애예술인의 감각과 시선으로 아름다움을 선보이는 행사다. 우수 장애예술인을 발굴해 창작활동을 지원한다. 지난해 두차례 연 공모전에는 발달장애 예술인 314명이 참여했다. 대상작은 로레알코리아 이커머스 패키지에 적용했다. 서울시 ‘가로 쓰레기통’ 디자인 프로젝트에도 활용했다. 로레알코리아 측은 “크리에이트 유어 뷰티 광고는 편견을 허물고 미의식을 확장하기 위해 기획했다. 김채성 작가는 고래 그림으로 용기를 선물한다. 다양한 장애예술인들의 이야기를 새롭게 조명할 계획이다”고 전했다.
189개국 외국인 소비자가 지난해 올리브영 매장을 방문했다. 이들은 화장품을 쇼핑하고 942만 건을 결제했다. 올리브영은 2024년 외국인 관광객이 올리브영 매장 1,264곳을 찾았다고 밝혔다. 올리브영 전체 매장 1371곳의 92%에 달하는 수치다. 쇼핑 1번지 명동부터 국토 남단 제주 서귀포까지 전국 방방곡곡 외국인들의 발길이 닿았다. ‘글로우 스킨’ ‘코리안 스킨케어 루틴’ 열광 올리브영이 방한 관광객들의 필수 쇼핑코스로 떠올랐다. 지난 해 올리브영의 외국인 매출은 2023년에 견줘 140% 증가했다. 특히 유럽인들의 구매가 두드러졌다. 이탈리아‧스페인 국적 소비자 매출은 전년 대비 각각 250%, 226% 늘었다. 뷰티강국으로 알려진 프랑스도 184% 많아졌다. 한류 열풍이 지속되는 멕시코‧튀르키예는 각각 400%, 340% 신장했다. 미국 소비자는 선케어 제품을 주로 구매했다. 한국산 자외선차단제가 가성비템으로 SNS에서 입소문나면서다. 외국인들의 장바구니에는 글래스 스킨 아이템이 많았다. 한국인의 투명하고 맑은 피부 톤을 의미하는 ‘글래스 스킨’(Glass Skin)이 글로벌 뷰티 소비자에게 영향을 미쳤다. 중국‧일본‧대만 등 인접 국가의 소비자는
소비자→평가자, 제품 추천→효능 공유, 나→너. 올해 뷰티시장을 움직일 세가지 변화의 축이다. 화해가 진단했다. 화해는 ‘2025 뷰티 트렌드 보고서’를 통해 올해 흐름을 짚었다. 소비자는 평가자로 위치 전환한다. 제품 추천에서 효능 공유 시대로 변화한다. 나에 머물렀던 시선은 너에게로 확장된다. 이 보고서는 올해 뷰티업계 열쇳말을 KEY로 정하고 큰 흐름으로 세가지를 꼽았다. △ K : Know㎽smetics 전문 지식을 갖춘 소비자 △ E : Easy pick 쉽게 찾는 나만의 뷰티 △ Y : YOUnique 당신의 고유함을 발견하는 시대 등이다. 화해는 뷰티업계에서 성분주의가 확산할 것으로 봤다. 화장품 전문지식을 가진 소비자는 전문 평가자로 이동한다. 소비자 니즈가 더욱 세분화되면서 나에게 꼭 맞는 맞춤형 솔루션을 찾는 경향이 짙어진다. 데이터 기반 개인 맞춤형 추천이 신뢰를 얻는다. 자아에 대한 관심이 타인을 향한다. 타인의 고유한 개성을 발견하고 존중하는 문화가 확산된다. K : Know㎽smetics(전문 지식을 갖춘 소비자) Know-smetics는 Knowledge와 cosmetics의 합성어다. 화장품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주체적으로
스킨1004가 인도 유통을 확대한다. 스킨1004는 인도 뷰티 채널 티라(Tira)‧나이카(Nykaa)‧아마존(Amazon) 등에 입점했다. 나이카는 ‘인도의 올리브영’으로 불리는 뷰티&헬스 매장이다. 다양한 화장품 브랜드가 진출했으며, 뷰티 고관여자의 방문율이 높다. 스킨1004는 27일 나이카에서 브랜드 행사를 연다. 인스타그램 팔로어 760만 명을 보유한 인도 배우 ‘크리스틀 두수자’(Krystle D'Souza)와 뷰티 인플루언서가 참여한다. 이들은 마다가스카르 앰플‧클렌징 오일 등을 체험하고 사용후기를 공유할 예정이다. 최근 인도는 한류 열풍으로 K-뷰티 수요가 급격하게 증가했다. 시장조사기관 모더인텔리전스는 2026년까지 인도에서 K-뷰티가 연 평균 9.4%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곽인승 스킨1004 총괄은 “최근 인도에서 ‘코리안 뷰티’, ‘코리안 스킨케어’ 붐이 일고 있다. 14억 인구대국 인도는 젊은 소비층이 두터워 성장 잠재력이 크다”고 말했다.
파뮤(FEMMUE)가 자외선차단제 프레쉬 릴리프와 젠틀 톤업을 출시했다. 프레쉬 릴리프는 가볍고 산뜻한 젤 제형으로 만들었다. 외부환경에 자극 받은 피부를 진정시킨다. 젠틀 톤업은 자연스럽고 생기있는 광채 피부를 연출한다. 핑크 플라워 복합체와 10중 히알루론산이 피부를 촉촉하게 유지한다. 이들 제품은 파뮤의 ‘WE LOVE SUN’ 라인이다. 해양 생태계를 위협하는 성분을 배제했다. 피부와 환경에 안전한 제품으로 매일 사용하기 적합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