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7 (월)

  • 구름조금동두천 -0.6℃
  • 맑음강릉 4.8℃
  • 맑음서울 1.4℃
  • 구름조금대전 2.9℃
  • 구름많음대구 4.9℃
  • 구름많음울산 6.6℃
  • 구름많음광주 6.2℃
  • 구름많음부산 7.8℃
  • 흐림고창 6.2℃
  • 흐림제주 10.1℃
  • 구름조금강화 0.4℃
  • 구름조금보은 1.3℃
  • 구름많음금산 2.5℃
  • 구름많음강진군 6.6℃
  • 구름많음경주시 5.6℃
  • 구름많음거제 8.9℃
기상청 제공

기업소식

트렌디어AI, ‘K-뷰티의 AI 전략과 2026 트렌드’ 발표

‘2025 코스모프로프 아시아 홍콩’ 참가

 

트렌디어AI(공동대표 손정욱‧천계성)가 12일 ‘2025 코스모프로프 아시아 홍콩’에서 ‘K-뷰티 산업의 AI 전략’을 발표했다.

 

이 회사는 발표에서 K-뷰티가 AI를 기반으로 글로벌 시장에서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AI는 K-뷰티의 성장 방향을 설정하고, 업무 실행 방식을 재편하는 핵심 도구로 부상했다.

 

이어 트렌디어AI는 데이터와 AI를 K-뷰티에 적용하는 실사례를 소개했다. R&D, 상품개발, 마케팅, 리테일 소싱 등 K-뷰티 실무 전반에서 AI를 활용해 의사결정을 내리는 프로세스를 선보였다.

 

트렌디어AI는 인공지능을 통해 △ 국가별 상승 뷰티 카테고리 △ 시즌별 유망 성분 △ 경쟁 브랜드의 메시지 전략 등 주요 데이터를 분석하는 과정을 시연했다.

 

또 AI를 사용해서 △ 신제품 기획 △ 포뮬라 선택 △ 가격·프로모션 전략 등을 수립하는 방법을 제시했다.

 

나아가 ChatGPT에 기반한 대화형 업무 자동화 서비스를 소개했다. 이는 프롬프트를 통해 글로벌 뷰티시장을 분석하는 서비스다. 트렌디어의 글로벌 시장 데이터를 기반으로 △ 뷰티시장 성장 흐름 △ 경쟁 구도 △ 제품 비교 △ 가격 전략 △ 프로모션 구조 등을 자동 도출할 수 있다. 이 서비스는 K-뷰티 기업들의 실무 중심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차세대 도구로 떠올랐다.

 

 

이날 트렌디어AI는 ‘2026년 Top 7 K-Beauty 트렌드’를 공개했다.

 

한국을 비롯해 미국‧일본‧동남아 시장 이커머스 데이터를 분석해 성분‧효능‧카테고리 흐름을 예측했다. 글로벌 소비자 니즈와 카테고리 이동 패턴을 반영해 K-뷰티 트렌드를 진단했다. K-뷰티가 제품·브랜드를 넘어 카테고리 단위로 확장되며 새롭게 도약한다는 전망이다.

 

이어 ‘2026 K-뷰티 성분 로드맵’에선 K-뷰티 혁신을 이끌 차세대 원료 3가지를 제안했다. 글로벌 소비자 피부 고민 데이터와 뷰티시장 데이터를 중심으로 선정했다. 소비자 니즈가 포뮬러에 영향을 미치며, 제품 개발으로 연결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알려줬다.

 

천계성 트렌디어AI 공동대표는 “K-뷰티 브랜드들은 치열한 경쟁 속에서 고성장을 거듭하고 있다. AI는 K-뷰티기업의  미래 경쟁력을 좌우할 핵심 도구다. 데이터·AI 자동화 기술을 고도화해 K-뷰티의 글로벌 성장을 이끌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번 발표 자료는 트렌디어 라이브러리(Trendier Library) 내 ‘K-뷰티 트렌드 서밋 2025’ 부문에서 확인할 수 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