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2 (화)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기업인사/기업정책

코스메카, 2분기 매출 1617억·영업이익 230억 시현

매출 12.5%·영업이익 27.2% 성장…OGM 모델로 글로벌 시장 경쟁력 높여

글로벌 화장품 OGM 전문기업을 표방하고 있는 코스메카코리아(대표이사 회장 조임래)가 지난 2분기 연결기준 매출 1천617억 원, 영업이익 230억 원의 실적을 기록했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2.5% 증가했고 영업이익은 27.2% 늘었다. 영업이익률은 14.2%. 직전 분기(1분기) 대비 매출은 36.6%, 영업이익이 87.3% 증가세를 보였다.

 

회사 측은 “코스메카코리아가 추구하고 있는 핵심 경쟁력인 OGM 모델이 글로벌 화장품 시장에서 차별화된 가치를 창출한 결과”라고 자체 분석을 내놨다.

 

△ K-뷰티 인디 브랜드사의 수출 확대 △ 한국·미국 법인 간 OGM 협력 시너지 △ 자동화 설비 도입에 따른 생산 효율성 향상 △ 매출 증가에 따른 영업 레버리지 효과 등이 반영된 결과라는 설명이다.

 

 

한국·미국 법인은 호조…중국 법인, 색조 중심 턴-어라운드 조짐

한국법인 2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6.2% 증가한 1천100억 원으로 매출 성장을 주도했다. K-뷰티 인디 브랜드사의 수출 지역 확대, 고객 포트폴리오 다변화, 제품군 다양화가 매출 증가를 이끌었다.

 

특히 색조 제품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20.9% 늘었다. 기초화장품 중심으로 안정성을 확보한 매출 구성과 영업 레버리지 효과가 더해져 영업이익 138억 원을 달성했다.

 

미국법인 잉글우드랩은 2분기 매출 575억 원, 영업이익 101억 원을 올렸다. 신규 고객사 OTC(Over-the-Counter) 선스크린 화장품 확대와 미국 인디 브랜드사의 대규모 수주가 성장 요인으로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 미국 뉴저지 토토와(Made in USA) △ 한국 인천(Made in Korea) 생산 거점의 자동화 설비 투자 효과가 일부 반영됨으로써 원가 개선과 생산 효율성 제고가 수익성 향상에 기여했다.

 

중국법인 코스메카차이나는 2분기 매출 86억 원, 영업손실 11억 원에 그친 부분이 아쉽다. 틱톡과 주요 통계 플랫폼 데이터를 활용해 고객사별 제품·콘셉트를 발굴하는 등 데이터 기반의 맞춤형 제안 영업을 강화하고 있다.

 

색조 제품 매출 비중은 56.8%로 확대됐다. 쿠션 신제품 출시 효과로 전년 동기 대비 색조 매출이 30.5% 늘어나는 등 턴-어라운드 조짐을 보이고 있다는 점에 기대를 건다.

 

규제연구팀 운영 통한 맞춤형 규제 서비스 제공

코스메카코리아는 OGM 사업의 핵심 차별화 요소로 규제연구팀을 운영, 고객사 지원을 강화하고 있다. 규제연구팀은 국가별 화장품 규제와 수출국 인허가 요건에 대응하기 위해 △ 성분·원료 규제자료 검토 △ 인허가 절차 지원 △ 제품 문안 검토 △ 주요 수출국 규제 분석 등을 수행한다.

 

이를 통해 K-뷰티 인디 브랜드를 비롯한 다양한 고객사에 맞춤형 규제 서비스를 제공, 단순 제조를 넘어 해외 진출 전 과정에서 신뢰할 수 있는 파트너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조임래 회장은 “최근 유럽·미국·중국 등 주요 시장의 규제가 강화되는 흐름 속에서 OGM 모델의 가치가 더욱 부각되고 있다”며 “전문성과 경험을 바탕으로 K-뷰티 인디 브랜드가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함께 하겠다”고 강조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