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텔앤레스토랑 뉴스레터 신청하기 일주일 그만보기 닫기

2024.04.27 (토)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기업인사/기업정책

아모레퍼시픽그룹 2분기 매출 1조308억·0.4% 증가

영업이익 흑자전환 성공…中·日·북미·유럽·중동 등 해외시장 매출 증가 괄목

 

☞코스모닝 뉴스레터 구독하기 검색창에 '코스모닝'을 쳐보세요.

 

아모레퍼시픽그룹이 지난 2분기 동안 매출 1조308억 원, 영업이익 117억 원 기록, 전년 같은 대비 매출은 0.4% 증가, 영업이익은 흑자로 전환했다.

 

아모레퍼시픽 측은 오늘(26일) 공시를 통해 “올해 2분기는 대부분의 해외 시장에서 매출이 증가하며 전체 수익성이 개선되는 모습을 보였다. 특히 북미와 EMEA(유럽·중동 등) 지역의 경우 전년 대비 2배 이상 매출이 증가했다. 중국 매출이 성장했고 고객 저변을 확대하고 있는 일본 시장도 매출이 크게 증가해 기대감을 높였다”고 경영실적에 대해 요약했다.

 

△ 헤라·에스트라가 매출·영업이익이 모두 증가 △ 일리윤·라보에이치 등이 선전한 데일리 뷰티 부문은 수익성이 개선되며 흑자 전환 △ 자회사 중에서는 에뛰드가 매출 성장·영업이익 2배 이상 증가 등의 2분기 성과의 특징도 밝혔다.

 

 

국내 사업, 면세채널 매출 감소로 11.6% 하락

아모레퍼시픽의 국내 사업은 면세채널 매출 감소로 전년 동기 대비 11.6% 하락한 5천550억 원의 매출에 그쳤다. 다만 데일리 뷰티 부문이 제품 포트폴리오 재정비를 기반으로 흑자 전환에 성공, 국내 영업이익은 0.4% 증가했다.

 

멀티브랜드숍 채널은 성장세가 이어졌으나 면세채널 매출이 두 자릿수 하락해 부진의 요인으로 작용했다. 전체 e커머스 채널 매출 감소세를 뚫고 데일리 뷰티 부문 순수 국내 e커머스 채널에서는 매출이 성장해 영업이익 개선에 도움을 주었다.

 

럭셔리 부문, ‘헤라의 선전’에 위안

럭셔리 브랜드의 경우 매출·영업이익이 모두 증가한 헤라의 선전이 위안거리다. 헤라 ‘센슈얼 누드 스테인 틴트’의 경우 사전 출시 기간에 카카오 선물하기 판매 1위에 오르는 등의 성과를 기록했다.

 

△ 설화수는 백화점 매장 리뉴얼 등 리브랜딩 작업에 집중했고 △ 활발하게 신제품을 출시한 프리메라도 멀티브랜드숍을 중심의 매출 성장을 일궜다.

 

프리미엄 브랜드 부문에서는 올리브영 더마코스메틱 카테고리 점유율 1위를 지켜낸 에스트라가 두 자릿수의 매출 증가를 보였다.

 

해외사업, 북미·유럽·일본 시장 고성장이 전체 매출 견인

아모레퍼시픽의 해외 사업은 북미, 유럽, 일본 시장의 고성장에 힘입어 전년 대비 27.5% 증가한 3천723억 원의 매출을 올렸다. 아시아 매출 상승 등을 기반으로 영업 적자 폭을 줄였다. 중국에서는 라네즈의 선전에 힘입어 전체 20% 이상의 매출 증가를 시현했다.

 

아모레퍼시픽 측은 “2배 이상 매출이 증가한 북미와 EMEA 지역의 가파른 성장세가 눈길을 끈다”며 “매출이 105%나 증가한 북미에서는 설화수·라네즈 등 핵심 브랜드가 성장을 견인했다. 매출 성장률 123%를 기록한 EMEA 지역에서는 라네즈의 활약이 돋보였고 일본에서도 리테일 채널 확대와 아모레퍼시픽 페스티벌 개최 등 고객 저변을 확대, 30% 이상 매출을 끌어올렸다”고 자체 분석했다.

 

주요 자회사들은 전반적인 매출 성장세를 지속, 마케팅 투자가 확대되는 양상이었다.

 

‘Grow Together’ 기치 아래 새 경영 주기 돌입

7월부터 새로운 경영 주기에 돌입한 아모레퍼시픽그룹은 ‘Grow Together’을 슬로건으로 △ 브랜드 가치 제고 △ 글로벌 리밸런싱 △ 고객 중심 경영 등의 방침을 내세웠다.

 

각 브랜드의 핵심 가치를 분명하게 하는 브랜드 코어 강화 작업에 매진하고 고객 공감 콘텐츠 개발과 엔진 상품 강화를 통해 더 높은 브랜드 가치를 만들어 나갈 계획이다.

 

성장 잠재력이 큰 지역을 중심으로 한 글로벌 사업 지형 재편도 추진한다. 새롭게 설정한 집중 성장 지역을 중심으로 유통 파트너십을 강화하고 다양한 사업 모델을 시도, 글로벌 성장 동력을 지속해 확보한다는 구상.

 

고객 중심 경영의 수준을 한 단계 더 발전시키기 위한 부문에도 역점을 둔다. 이를 위해 핵심 고객 기반의 새로운 고객 관리(CRM) 프로그램 실행, 고객 중심의 사업 체질 변화 등을 추진한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