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텔앤레스토랑 뉴스레터 신청하기 일주일 그만보기 닫기

2024.03.29 (금)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기업인사/기업정책

아모레퍼시픽그룹, 3분기 누적 화장품 매출 3조6134억

3분기 그룹 전체 매출 1조2145억·영업이익 517억…매출은 0.5%↑·영업이익은 15.3%↓
온라인·면세 채널 선전으로 국내 매출 성장…해외시장은 북미·중국-호조/아세안-고전

 

☞코스모닝 뉴스레터 구독하기 검색창에 '코스모닝'을 쳐보세요.

 

아모레퍼시픽그룹 전체의 3분기 화장품 부문 매출실적은 1조1천144억 원이었으며 올해 3분기까지 그룹 전체 화장품 부문 누적 매출은 3조6천134억 원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같은 기간 LG생활건강의 화장품 부문(뷰티+데일리뷰티)의 누적 매출 4조2천878억 원과는 약 6천744억 원의 격차를 보인 수치다.

 

아모레퍼시픽그룹이 발표한 2021년 3분기 경영실적에 따르면 이 기간 동안 그룹 전체의 매출은 1조2천145억 원의 매출, 517억 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전년 같은 기간과 비교하면 매출은 0.5% 증가했으나 영업이익은 15.3% 하락했다.

 

 

온라인·면세 채널 선전으로 국내 매출 성장

아모레퍼시픽그룹은 “올해 3분기에 아모레퍼시픽이 온라인과 면세 채널의 선전에 힘입어 국내 시장에서 매출 성장을 이뤄냈다. 해외 시장에서는 북미 매출 성장에도 불구하고 아시아 지역에서 고전하며 매출과 영업이익이 하락했다”고 자체 분석결과를 내놓았다.

 

또 “다만 중국의 경우 현지 법인·면세·역직구 등을 포함한 전체 중국 소비자 대상 매출은 오히려 증가했다”며 “이는 아모레퍼시픽 브랜드에 대한 중국 고객의 수요가 꾸준히 늘고 있음을 보여준 것이며 주요 자회사들은 온라인 매출 비중의 확대로 인해 수익성 개선을 시현했다”고 덧붙였다.

 

아모레퍼시픽, 1조1089억 매출에 국내 매출 증가

주력 계열사 아모레퍼시픽은 전년 동기 대비 1.9% 증가한 1조1천89억 원의 매출을 달성했다.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10.2% 감소한 503억 원이었다.

 

국내 사업은 7.3% 증가한 7천215억 원의 매출과 63.0% 증가한 587억 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으나 해외 사업은 3천841억 원의 매출(9.2% 감소)과 85억 원의 영업이익(56.6% 감소)에 그쳤다.

 

국내 시장에서는 온라인 채널이 약 30% 성장하고 면세 채널에서 선전한 것이 전체 매출 증가에 기여했다. 성장 채널을 중심으로 매출을 확대하고 전통 채널의 비용 효율화를 시현, 화장품 부문 영업이익 개선을 이뤘다는 분석이다.

 

브랜드별 성과 요약

럭셔리 브랜드는 온라인 채널의 매출 성장이 전체 실적을 견인했다. 설화수가 자음생 라인을 리뉴얼 출시하고 헤라가 블랙쿠션 쿠튀르를 출시하는 등 브랜드 경쟁력 제고에도 힘썼다. 프리메라가 후리앤후리 라인에 친환경 포장재를 적용하는 등 지속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도 이어갔다.

 

프리미엄브랜드는 라네즈를 중심으로 매출 성장을 이뤄냈다. 라네즈는 네오 파운데이션과 네오 파우더 등으로 라인업을 강화했다. 한율 극진 라인 등 안티에이징 중심의 기능성 제품도 집중하여 육성했다.

 

데일리뷰티 브랜드의 경우 프리미엄 세정·보습 라인은 성장했으나 려의 역직구 매출 감소로 전체 매출은 하락했다. 순수 국내 온라인 매출의 경우 10% 이상의 성장을 이뤄냈다. 려와 미쟝센·해피바스·일리윤에서 기능성 프리미엄 라인을 집중 육성, 성장 기반도 마련했다.

 

북미 시장은 선전, 아시아 지역은 매출 감소

해외 시장에서는 북미 시장의 선전이 눈에 띄는 성과다. 반면 아시아 지역에서는 매장 효율화 작업과 코로나19로 인한 일부 국가의 휴점·단축 영업 조치 등의 여파로 매출이 감소했다. 그럼에도 전체 중국 고객의 수요는 꾸준히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 것이 주목할 만 하다.

 

그룹 측은 “중국에서 설화수 자음생 크림 출시 영향으로 전체 설화수 매출이 약 50% 성장하는 성과를 거뒀다”고 밝히고 “오프라인 매장 축소 등으로 인해 이니스프리 매출이 감소하며 전체 중국 매출은 하락했지만 현지 법인과 면세·역직구 등의 실적을 모두 합산할 경우 전체 중국 소비자 대상 매출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아세안 지역에서는 설화수 자음생 라인의 매출 호조로 태국과 인도네시아에서 설화수의 성장세가 돋보였다. 아세안 전 지역에서 온라인 채널이 견고하게 성장하는 성과도 이뤄냈다.

 

북미 시장의 경우 온·오프라인 판매 채널이 동시 확장하며 12%의 매출 성장을 기록했다. 라네즈가 새로운 채널인 ‘세포라 앳 콜스’(Sephora at Kohl’s)에 입점, 매출 호조를 보이기 시작했고 설화수도 신규 e커머스 플랫폼에 진출하며 채널을 다변화했다. 유럽에서는 라네즈와 구딸파리가 온라인에서 매출 호조를 나타내 소폭 매출 성장세를 유지했다.

 

주요 자회사, 수익성 개선에 무게

주요 자회사들은 오프라인 매장 재정비로 인한 매출 하락에도 불구하고 온라인 매출 비중의 확대로 수익성 개선이 이뤄졌다는 평가다.

 

이니스프리는 디지털 플랫폼과의 협업을 강화하며 온라인 입점몰 매출이 증가했다. 다만 오프라인 매장 재정비의 영향으로 전체 매출은 하락했다. 오프라인 채널 효율화와 온라인 매출 비중의 확대로 적자폭은 감소한 것이 위안이다.

 

에뛰드는 디지털 마케팅 강화로 e커머스·멀티 브랜드숍 매출은 증가했다. 오프라인 매장 축소로 전체 매출은 하락했다. 매장 운영 비용 등 고정비의 감소로 적자 폭 줄이기에는 성공했다. 에스쁘아는 e커머스 플랫폼 매출의 고성장과 신제품의 판매 호조로 전체 매출 확대를 이뤘다. 오프라인 채널 수익성이 개선돼 흑자 전환에도 성공했다.

 

아모스프로페셔널은 제품 포트폴리오 강화와 ‘아윤채몰’ 영업 전개로 아윤채의 매출이 성장하는 성과를 이뤄냈다. 다만 살롱(프로페셔널) 사업 집중을 위한 면세 매장 축소 등으로 전체 브랜드의 매출과 영업이익은 줄었다.

 

아모레퍼시픽그룹은 “올해 남은 기간 강한 브랜드 육성과 함께 디지털 대전환, 사업 체질 개선 등의 경영전략을 지속하여 추진할 계획”이라고 전제한 뒤 “이를 위해 브랜드의 고유 가치와 시대정신을 반영한 ‘엔진 프로덕트’(Engine Product)를 육성하고 국내외 디지털 플랫폼과의 협업을 가속화해 온라인 채널의 성장세도 이어나간다는 계획이다. 동시에 수익성 개선을 위한 사업 체질 개선 작업도 지속해 건강기능식품과 더마코스메틱 등 신성장 동력도 육성해나갈 예정”이라고 강조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