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록이 중소벤처기업부의 ‘혁신성장유형 벤처기업’ 인증을 획득했다. 혁신성장 유형 벤처기업 인증은 기술 혁신성과 사업 성장성이 우수한 기업에게 제공한다. 슬록은 벤처기업 인증을 통해 세제‧금융‧마케팅 등 다양한 지원을 받는다. 슬록(대표 김기현)은 클린뷰티 마케팅 전문 기업이다. 화장품 지속가능성 검증 솔루션인 ‘K-서스테이너블’을 개발했다. 화장품의 탄소발자국을 간단히 계산하는 특허 기술을 보유했다. 이 회사는 클린뷰티 기업을 위한 커뮤니티 플랫폼 ‘K-서스테이너블 소사이어티’를 운영한다. 슬록은 17일부터 19일까지 열린 ‘K-뷰티 엑스포 코리아 2024’에서 K-서스테이너블을 널리 소개했다. 국내외 클린뷰티 기업이 슬록 부스를 방문해 지속가능성 인증과 커뮤니티에 관심을 보였다. 김기현 슬록 대표는 “K-서스테이너블은 클린뷰티 기업의 마케팅 비용‧시간을 줄여준다. 화장품 지속가능성 검증 솔루션의 독보성을 정부가 인정했다. 클린뷰티 마케팅 서비스를 확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슬록은 11월 1일 클린뷰티 기업 간 정보를 교류하는 ‘네트워킹 데이’를 개최한다. 참가 희망기업은 구글폼(https://forms.gle/79cimaQvJNL2Dygu6)에서 신청하면
슬록이 2월 7일과 15일 오후 2시 ‘화장품 지속가능성 검증 세미나’를 연다. 서울 역삼동 소셜벤처허브 3층 세미나실에서다. 뷰티업계 종사자 선착순 20명을 모집해 무료로 진행한다. 소셜벤처 슬록(대표 김기현)은 ‘화장품 지속가능성 검증 세미나’에서 글로벌 클린뷰티 시장 트렌드를 소개한다. 이어 뷰티 지속가능검증 서비스 ‘케이-서스테이너블’을 설명한다. 케이-서스테이너블(K-Sustainable)은 국내 최초 화장품 지속가능성을 인증하는 서비스다. 슬록의 특허기술인 탄소배출량 산정법을 바탕으로 탄생했다. 슬록은 화장품의 탄소배출량을 정량적으로 산정한다. 이어 제품과 브랜드의 환경‧사회 가치를 정성적으로 검증한다. 이를 바탕으로 제품에 대한 지속가능성 검증 확인서‧보고서를 제공한다. 케이-서스테이너블 인증 마크도 발급한다. 화장품 지속가능성을 A‧AA‧AAA 등 단계별 등급으로 나타냈다. 브랜드사는 인증 마크를 제품‧상세페이지‧홈페이지 등에 표기할 수 있다. 김기현 슬록 대표는 “글로벌 뷰티시장은 클린뷰티에서 지속가능뷰티로 전환하고 있다. 화장품의 지속가능성을 제3자가 객관적‧과학적으로 검증하는 서비스를 개발했다. 케이-서스테이너블을 통해 제품의 신뢰도와 구
토토로는 숲에 산다. 숲이 줄면 토토로가 고향을 잃는다. 북극곰은 갈수록 배가 고프고, 살 곳이 줄어든다. 환경운동가 그레타 툰베리는 열다섯살 때 말했다. “미래가 없는데 공부는 해서 뭐해요?”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희망이 아니라 행동이라고 했다. 죽은 지구에는 일자리도, 비즈니스도 없다. 온난화와 기후 변화가 ‘기후 위기’ ‘기후 비상사태’라는 단어로 바뀌었다. 친환경은 필환경‧지속가능성 개념으로 진화했다. 기후 위기는 이제 인권을 위협한다. 시간이 많지 않다. 소비자는 정부와 기업을 감시한다. ESG 정책을 가진 정치인과 브랜드에 표를 던진다. 지속가능성 검증→‘K-Sustainable’ 마크 발급 뷰티시장에도 변화가 일었다. 클린뷰티‧비건뷰티가 지속가능 뷰티로 확장되고 있다. 소비자는 화장품의 성분‧제조 방식에서 나아가 제품을 둘러싼 환경까지 관심을 기울인다. 반면 친환경‧클린뷰티를 내세운 제품을 사면서도 의문을 품는다. ‘이거 진짠가?’ 제품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객관적 검증이 필요한 이유다. 누구나 믿을 수 있는, 타당한, 합리적인, 과학적인 지속가능성 분석 틀. 슬록이 들고 나왔다. “화장품의 지속가능성을 검증하는 서비스를 이달 시작했습니다. ‘케이
‘너도나도 클린뷰티, 그런데 기준은?’ 글로벌 클린뷰티 시장이 성장하면서 관련 제품이 쏟아지고 있다. 클린뷰티를 표방하는 국내 브랜드도 급증했다. 반면 K-클린뷰티 브랜드가 해외의 ‘지속가능 뷰티’(Sustainable Beauty) 기준에 부합하지 않는다는 목소리가 커졌다. 클린뷰티를 검증할 객관적인 시스템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왔다. 화장품의 탄소배출량을 산정하고, 지속가능성을 검증하는 솔루션이 국내에서 처음 개발됐다. 소셜벤처 슬록(대표 김기현)이 화장품 지속가능성 검증 서비스 ‘케이-서스테이너블’을 선보였다. 케이-서스테이너블(K-Sustainable)은 화장품의 탄소 배출량을 산정해 지속가능성을 평가하는 컨설팅 서비스다. ‘K-Cosmetics’의 ‘K’와 ‘지속가능성’을 뜻하는 ‘Sustainable’을 조합했다. 한국형 지속가능 화장품이 글로벌 시장에서 성장하도록 지원한다는 뜻을 담았다. 슬록은 화장품의 생산 전단계와 생산 단계에서 발생하는 직·간접적 탄소배출량(스코프1~3)을 정량적으로 산정한다. 이어 제품과 브랜드의 환경‧사회적 가치를 정성적으로 검증한다. 이를 바탕으로 기업에 검증보고서를 제공한다. 슬록은 자체 개발한 특허 기술인 ‘탄소발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