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센스·세럼·앰플이 피부의 만능 치트키로 떠올랐다. 코로나19가 엔데믹 단계로 접어들면서 피부 바탕이 중요해졌다. 탈마스크 시대를 맞아 피부 기본관리로 돌아가는 움직임이다. 스킨케어 기초 단계부터 루틴을 재정비하는 이들이 늘고 있다. 트러블과 진정 케어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에센스와 앰플이 뷰티업계의 왕좌를 탈환했다. 클린뷰티 트렌드가 트러블·잡티 케어 붐과 맞물리며 #무첨가 #안심 #흡수 #민감성이 주요 소구 포인트로 등장했다. 올리브영‧네이버쇼핑‧뷰티컬리에서 뜬 OOO 메저커머스가 발표한 글로벌 라이징 TOP 3 제품 리포트에서도 에센스·세럼·앰플의 성장세를 볼 수 있다. 메저커머스는 3월부터 4월까지 올리브영·네이버쇼핑·뷰티컬리 판매·리뷰 데이터를 분석했다. 화장품 카테고리별 라이징 TOP 3를 살핀 결과 신제품으로 가장 많이 등록된 품목은 에센스·세럼으로 나타났다. 올리브영에서 떠오른 에센스·세럼 1위부터 3위는 △ 앰플엔 블레미샷 앰플 △ 폴라초이스 10% 나이아신아마이드 부스터 앰플 △ 마몽드 로즈 +PHA 리퀴드 마스크다. 이들 제품이 공통으로 소구한 포인트는 #PH, PHA #테스트 #각질 #무첨가 등이다. 외출이 늘어나는 봄철, 각질관리 수요가
일본 남성 화장품 시장은 2020년까지 236억 엔으로 확대, 스킨케어뿐만 아니라 헤어케어 분야에서 안티에이징, 냄새대책, 간편성을 앞세운 제품들이 인기를 끌 전망이다. 이와 함께 현재 Z세대를 중심으로 남녀간의 경계를 허문 젠더리스 확대로 메이크업, 피부관리 시장 또한 성장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코트라 일본 오사카무역관이 발표한 자료 가운데 야노경제연구소는 2017년 일본 남성화장품 시장은 완만하지만 꾸준히 확대 성장했다고 밝혔으며 후지경제의 통계 자료에서는 일본 남성 스킨케어 시장규모가 231억 엔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4.3% 증가했고 2020년까지 236억 엔으로 확대될 것이라고 언급했다. 일본은 최근 10~20대를 중심으로 스킨케어에 대한 관심도가 확대되고 있으며 리쿠르트라이프사이클의 조사에 따르면 남성 61.1%가 외모 관리와 안티에이징에 관심이 있다고 밝혔다. 남성 1천100명을 대상으로 ‘돈과 시간을 들여 개선‧유지하고 싶은 항목’에 대한 설문을 진행한 결과 10대는 △ 머리스타일(43,5%) △ 피부결(42.5%) △ 체취구취(46%)를, 20대는 △ 체취구취(49%) △ 머리스타일(43.5%) △ 피부결(42.5%)을 개선하
“중국의 피부관리는 이미 안정적 성장단계에 접어든 한국 피부관리의 기술과 시스템 등 많은 부분을 배우고 도입해야 할 필요가 있다. 아시아피부미용협회는 중국공상업연합회가 지정한 피부관리 공식 인증기관으로 인정받음으로써 한국의 피부관리 기술을 적절하게 도입할 수 있는 전기를 마련하게 됐다.” 중국상업공상연위원회 미용 화장품연합회 피부관리교육전문가 주임이자 아시아피부미용협회장을 맡고 있는 손정정 회장은 아직 걸음마 단계인 중국 피부관리 산업이 이미 활성화 되어 안착한 한국의 피부관리 시스템과 기술의 도입으로 시장의 빠른 성장을 이루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손 회장은 “중국의 피부관리 산업은 아직 제대로 체계가 갖춰지지 않은 상황으로 피부관리업계의 국가 표준을 만드는 일이 현재 가장 절대적인 미션”이라며 “또한 지정된 국가 표준을 산업 전반으로 활성화시킴과 동시에 표준 커리큘럼에 입각한 교육을 어떻게 체계화 시킬 것인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밝혔다. 특히 각종 표준에 대한 증서를 부여해 공신력을 얻는 동시에 이를 통한 시장의 질서를 잡기 위해 규범화가 필요하며 무엇보다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이행 가능한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표준이 제시돼야 한다는게 손 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