잉글우드랩(대표이사 조현철)은 지난해 4분기 연결 기준 △ 매출 422억 원 △ 영업이익 37억 원 △ 당기순이익 79억 원을 달성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매출 26.3%, 영업이익 53.4% 감소한 수치다. 다만 당기순이익에서 160.1%의 증가세를 기록한 것은 원달러 환율 상승에 따른 외환 이익이 반영된 결과로 해석할 수 있다. 잉글우드랩의 별도 4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3% 증가한 242억 원이었다. 상위 고객사의 매출 감소에도 불구하고 미들급 고객사의 꾸준한 성장으로 균형 잡힌 성장세를 보임으로써 특정 고객사에 대한 매출 편중 현상을 해소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반면 영업이익은 적자전환(△ 6억 원)했다. 이는 매출 감소에 따른 영향이며 회사 측은 이와 관련 “인력의 효율성 기반 재배치와 자동화 기계 투입을 통해 원가율을 낮춰가겠다”고 밝혔다. 자회사 잉글우드랩코리아의 4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45.9% 감소한 182억 원을 기록하는데 머물렀다. 주요 고객사의 재고 조정이 주된 원인이었다. 그렇지만 3분기 대비 매출은 15.4% 증가세를 보여 점진적 회복을 기대하고 있다. 영업이익 역시 전년 동기 대비 46.5% 감소한 42억 원을 기
코스메카코리아(회장 조임래)가 현재 지분의 39%를 보유하고 있는 잉글우드랩에 대한 경영권 강화를 위해 11.0%의 지분을 추가로 공개매수한다. 코스메카코리아 측은 “지난 5일 이사회를 통해 잉글우드랩 지분 11.0%를 추가 공개매수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히고 “이번 결정은 최대주주로서의 책임경영 강화와 미국 화장품 시장 진출 확대를 위한 전략의 일환”이라고 설명했다. 잉글우드랩의 지분 39%를 보유하고 있는 코스메카코리아는 이번 추가매수로 지분율을 50%까지 높여 경영권을 확고히 하는 동시에 보다 신속하고 효율성 높은 의사결정 체계를 구축해 사업 경쟁력을 강화하겠다는 구상이다. △ 공개매수 예정 주식 수는 보통주 218만5천466주 △ 기간은 오늘(2월 6일)부터 오는 26일까지 21일간 △ 매수가격은 주당 1만 원이다. 관련해 회사 측은 세계 최대의 화장품 시장이자 K-뷰티 성장이 두드러지고 있는 미국에서 입지를 강화하는 동시에 특히 화장품 ODM(Original Design Manufacturing) 분야에서의 리더십을 확보하고 미국 내 생산기반의 지배력을 강화해 중장기 성장을 도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조임래 회장은 “이번 지분 추가 확보는 단순한 투자
화장품 전문 OGM기업 코스메카코리아(대표이사 조임래)는 지난 3분기 동안 연결 기준 △ 매출액 1천266억 원 △ 영업이익 152억 원 △ 당기순이익 86억 원의 실적을 달성했다고 밝혔다. 전년 동기 대비 △ 매출 8.8% 증가 △ 영업이익 11.0% 증가 △ 당기순이익 27.3% 감소와 함께 영업이익률은 12.0%를 기록했다. 잉글우드랩(대표이사 조현철)의 경우 올해 3분기 연결 실적을 잠정 집계한 결과 △ 매출 411억 원 △ 영업이익 41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24.4%, 영업이익은 55.5% 줄어들었다. 코스메카코리아, K-뷰티 성장 기여 코스메카코리아 관계자는 “지난 2019년 완공한 선제형 생산능력(CAPA)과 연구개발 부문 지속 투자를 통해 기존 고객사들의 제품 라인업 확장, 새 고객사들의 신제품 출시를 적극 지원하고 있다”며 “이러한 노력은 최근 미국·유럽 등 글로벌 시장에서 입지를 강화하고 있는 K-뷰티 브랜드의 성장 기여했으며 이는 당사의 OGM(Original Global Standard and Good Manufacturing) 서비스가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는 의미”라고 자평했다. 한국법인 3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4
글로벌 화장품 OGM 기업 코스메카코리아 자회사 잉글우드랩(대표이사 조현철)이 모회사 코스메카코리아와 함께 ‘RTG OTC 선스크린’(5종)을 개발, 출시했다고 밝혔다. 잉글우드랩은 미국 OTC 화장품 시장 진출에 관심이 있는 고객사를 위해 안전하고 빠른 기간 내 론칭 가능한 ‘Ready To Go OTC’(이하 RTG OTC) 제품군을 개발, 한국은 물론 글로벌 화장품 고객사 파트너로서의 입지 강화에 나섰다. 이번에 선보인 RTG OTC 제품군은 △ Sunsaver SPF 50 △ Invisible Sun Cream SPF 50 △ Mineral Sunstick SPF 50 △ Minimal Zink Sunmilk SPF 50 △ Protect+Hydrate SPF 50 등 모두 5종. 이들 제품은 미국 내 선케어 수요가 높아짐에 따라 개발했다. 잉글우드랩 측은 “특히 Sunsaver는 최근 미국 소비자 트렌드에 맞춰 백탁 현상 없이 가볍고 부드러운 텍스처로 처방, 국내외 고객사들로부터 높은 관심과 개발 요청을 받고 있다”고 전했다. RTG OTC 제품군은 성분의 안전성과 지속 가능성을 고려한 클린뷰티 철학을 반영해 처방을 진행했다. 동시에 미국의 대형 유
화장품 OGM 기업을 지향하는 코스메카코리아(대표 조임래·박은희)가 미국 화장품 시장 공략을 본격화 한다. 코스메카코리아는 자회사 잉글우드랩을 통한 ‘퍼스트 무버’(First Mover) 전략 전개로 미국 화장품 시장 입지 강화에 나선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잉글우드랩(대표 조현철)은 지난 14일·15일 미국 LA컨벤션센터에서 열린 ‘2024 메이크업 인 로스앤젤레스’(MakeUp in Los Angeles 2024)에 참가, 전방위 활동을 펼쳤다. 약 140곳에 이르는 글로벌 기업이 참가한 이번 전시에는 스킨케어·메이크업 화장품 뿐만 아니라 ‘2024 럭스팩’(Luxe Pack LosAngeles 2024)을 동시 개최해 다양성을 더했다. 잉글우드랩 관계자는 “이번 전시에서는 클린뷰티 콘셉트로 △ K-뷰티 스킨케어 트렌드 △ 멀티기능 메이크업 △ OTC 화장품 △ 친환경 화장품 패키지를 소개에 미국 현지 인디 뷰티 브랜드사로부터 높은 관심을 받았다”고 전했다. 잉글우드랩은 오프더셀프 OTC(Off the Self OTC) 품목을 제안, 미국 고객사로부터 큰 호응을 받았다. 우리나라에서 기능성화장품으로 분류하는 자외선차단제와 아크네 제품은 미국의 경우 일반의
미국 소재 화장품 연구개발·생산 전문 기업 잉글우드랩(대표이사 조현철)이 자외선차단제를 포함한 OTC 품목 생산시설 등록 완료를 발판으로 미국 선케어 시장 공략 수위를 높인다. 잉글우드랩은 지난 20일과 21일 이틀 간 ‘2023 메이크업 인 뉴욕’(MakeUp in NewYork 2023·Javits Center)에 부스를 열고 참가, 고객사 발굴과 네트워킹 강화 등 시장 영향력 확대를 위한 다양한 활동을 전개했다. 모기업 코스메카코리아와 함께 이번 전시회에 나선 잉글우드랩은 스킨케어·메이크업·지속가능한 화장품 패키지 등을 테마로 부스를 꾸몄다. 독자개발에 성공한 3중 베리어 소재를 활용한 스킨케어 제품과 프라이머 기능을 탑재한 파운데이션 등이 참관객들의 눈길을 끌었다. 특히 잉글우드랩은 연 평균 5%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미국 선케어 시장을 겨냥해 선 스크린 제품과 자외선 차단 기능을 갖춘 파운데이션 등 다양한 제형의 자외선차단제 제품을 내놨다. 전시 기간 동안 잉글우드랩 본사와 잉글우드랩코리아가 보유한 공장 모두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일반 의약품(OTC·Over The Counter) 제조공장 실사를 통과 했다는 사실을 적극 홍보했다. 자외선 차단
화장품 연구개발·제조생산 기업 잉글우드랩(대표이사 조현철)이 지난 7일(호주 현지 시각) 호주 식품의약품안전청(이하 TGA)으로부터 우수 제조·품질관리 기준(GMP) 인증을 획득했다. 잉글우드랩 측은 “화장품을 포함해 자외선차단제 등의 OTC 품목에 대한 제조·충전·포장·테스트 등에 이르기까지 전 부문에 걸쳐 TGA의 엄격한 품질관리 기준을 모두 충족했다”고 밝혔다. 호주는 TGA 승인 절차를 통해 자외선차단제 등과 같은 일부 기능성화장품을 일반의약품(OTC)으로 분류, 관리하고 있다. 잉글우드랩은 이번 TGA GMP 인증을 발판 삼아 고객사가 자외선차단제 비롯한 OTC 제품과 일반 화장품 등을 호주 시장에서 신속하게 출시할 수 있도록 본격 지원에 나설 계획이다. 조현철 대표는 “잉글우드랩의 호주 현지 파트너십을 활용, 호주 시장을 겨냥하는 글로벌 고객사의 만족도를 높일 것”이라며 “기존 고객사 역시 부담 없이 신제품을 출시할 수 있도록 TGA 등록 절차를 지원하는 동시에 호주 시장에 처음 진출하는 신규 고객들을 위해서 현지 마케팅 차원의 지원을 강화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화장품 OGM(Original Global standard and Good Manufacturing) 전문 기업을 표방하는 코스메카코리아(대표 조임래·박은희)와 잉글우드랩(대표이사 조현철) 모두 지난 2분기 경영실적에서 괄목할 만한 성과를 올린 것으로 나타났다. 코스메카코리아는 지난 9일 “연결 기준 2분기 △ 매출 1천157억 원 △ 영업이익 112억 원 △ 당기순이익 86억 원의 실적을 달성했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미국 소재 화장품 연구개발·제조생산 기업 잉글우드랩(대표이사 조현철)은 역시 “연결 기준 지난 2분기 매출은 493억 원, 영업이익 62억 원, 그리고 당기순이익 51억 원의 실적을 올렸다”고 공시했다. 코스메카코리아 지난 2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 1천4억 원 보다 15.2% 증가한 1천157억 원, 영업이익은 같은 기간 31억 원에서 264.7% 늘어난 112억 원이다. 영업이익률은 9.7%로 전년 같은 기간의 3.0% 대비 6.7% 포인트 증가했다. 회사 관계자는 “올해 2분기는 한국·미국법인의 고객사 포트폴리오 변화와 프로덕트 믹스 개선으로 수익성을 개선했다”며 “특히 미국·스위스·독일 등 해외 고객사를 대상으로 자사 처방 고부가가치
잉글우드랩코리아가 미국 뷰티 플랫폼 소코글램의 PB(프라이빗 브랜드) 선크림을 개발, 공급을 시작했다. 최근 미국에서 주목 받고 있는 뷰티 온라인 플랫폼 소코글램이 운용하고 있는 PB ‘Then I met you’의 선크림을 개발해 공급하고 있다고 밝힌 것. 현재 미국의 경우 선크림을 비롯한 자외선차단제 등은 전문의 처방 없이 구입할 수 있지만 일반의약품(OTC)으로 분류하고 있다. 미국 FDA의 일반의약품 생산허가를 받은 제조사 만이 제품 개발과 생산, 공급이 가능하다. 잉글우드랩코리아는 미국 뉴저지 소재 잉글우드랩 자회사로 지난 2019년 FDA로부터 생산가능 자격을 획득한 OTC 제품 전문 제조사다. 모기업 코스메카코리아와의 연구개발 시너지 창출, 선제 설비 투자를 통해 미국 시장이 요구하는 품질경쟁력 높은 OTC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조현석 전무는 “미국에서 OTC 제품을 판매하고자 하는 고객들이 발주부터 론칭까지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며 “미국 내 인디·온라인 브랜드를 중심으로 OTC 품목에 대한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잉글우드랩코리아는 미국 소재 OTC 전문기업 잉글우드랩 자회사다.
잉글우드랩(대표 조현철)이 지난 16일부터 17일까지 LA컨벤션센터에서 열린 ‘2023 메이크업 인 로스앤젤레스’ 참가를 통해 새롭게 선보인 ‘멀티 기능 프라이머’ 등의 높은 호응도에 기반해 앞으로의 영업·마케팅 활동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회사는 코스메카코리아와 함께 △ 스킨케어 △ 메이크업 △ 친환경 화장품 패키지 부스를 구성해 참가했다. 양 사는 화장품 연구개발 부문에 대한 역량을 강조하는 동시에 브랜드 지속가능성을 고려한 친환경 화장품 개발에 역점을 둔 토털 서비스의 차별화 제공을 내세워 참가 바이어 등을 공략하는데 공을 들였다. 특히 이번 전시회에서 선보인 ‘멀티 기능 프라이머’는 참관객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었다고 전했다. 멀티 기능 프라이머는 코스메카코리아 기술연구원의 독자 기술력을 바탕으로 다양한 기능을 결합한 제품. 이번 전시회에 관심을 끈 프라이머 제품은 ‘칫 코드 프라이머 시리즈’의 △ 실키 블러 프라이머 △ 라인 페이딩 프라이머 △ 스킨 캔버스 프라이밍 크림 등으로 뛰어난 가성비와 함께 사용 후 만족도에서 높은 평가를 얻어냈다. 조현철 대표는 “코스메카코리아 기술을 적용한 필터라이저™ 프라이머는 미국 온라인 화장품 시장에서 반응
화장품 개발·제조 전문기업 잉글우드랩(대표 조현철)이 생산 단계에서부터 관리, 운영에 이르기까지 전 과정에 친환경 경영 정책을 도입, 이를 현실화하는데 박차를 가하고 있다. 잉글우드랩은 최근 미국 토토와 공장의 태양광 발전소를 본격 가동하기 시작했다고 밝혔다. 잉글우드랩은 지난해 4월 태양광 패널 공사를 시작, 전기안전 검사 승인을 최종적으로 획득했다. 공장 옥상 부지에 1천589모듈·약 667킬로와트(KW) 용량의 태양광 패널을 설치, 매년 727메가와트 시(MWh) 규모의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다. 최고운영책임자(COO) 톰 드레넌은은 “토토와 공장에 설치한 태양광 발전소는 전기절감은 물론 314톤의 온실가스 감축 효과까지 발휘한다”며 “기존 일반전력 사용 대비 온실가스 사용량 29% 감소 효과까지 있다”고 밝혔다. 품질책임자 패트릭 오코예는 “잉글우드랩은 친환경 화장품 생산을 추진 중이다. 제조공정 중 물 사용량을 줄이기 위해 DI 워터시스템에 1천500리터 크기의 탱크를 설치, 물을 재활용 할 수 있도록 설계했다”고 밝히고 “재활용한 물의 온도는 생산에 최적화 돼 에너지 소비를 줄일 수 있다. 보유한 5천400만 BtuH의 냉각기는 용수와 냉각기 코일
화장품 연구개발·제조생산 전문기업 (주)잉글우드랩코리아(대표이사 지재성)가 인천시가 주관하는 ‘2022년 우수기업·중소기업인대상’에 선정됐다. 인천 갯벌타워 국제회의장에서 진행한 시상식에서 잉글우드랩코리아는 지역경제발전을 이끌고 일자리 창출에 기여했으며 미래 높은 성장 가능성을 인정받아 중견성장사다리기업 부문에서 수상의 영광을 안았다. 인천시가 주관하는 우수기업 선정은 기술력과 성장 잠재력이 뛰어난 중소기업을 단계별로 우수기업으로 선정하고 그에 맞는 집중 지원을 통해 지역 경제 활성화의 주축이 될 기업으로 육성, 일자리 창출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추진하기 위해 시행한다. 선정업체에 대해서는 경영안정자금(한도 50억 원, 추가지원+0.5%)을 우대 지원한다. 이와 함께 △ 시 지원사업 가점부여 △ 세무조사유예(지방세·3년) △ 맞춤형 기업 지원 등과 기술·품질 인증, 수출·마케팅 등 경쟁력 강화를 위한 다양한 지원으로 일자리 창출·지역경제 발전을 이끌어갈 튼튼한 허리기업이라고 할 중견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돕는다. 회사 관계자는 “중견성장사다리기업 선정은 건실한 중소기업 인정과 중견기업으로 성장 가능성을 확인케 한 사례”라며 “고객 신뢰에 기반한 글로벌 화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