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망 뷰티 브랜드를 모아 일본에 소개하는 'K뷰티 그랑프리 팝업스토어'가 열린다. 클루메틱(대표 오승언)이 5월 11일(일)부터 13일(화)까지 3일 동안 일본 도쿄 시부야 히카리에홀에서 '2025 K뷰티 그랑프리 팝업스토어 in TOKYO'를 개최한다. 이 행사는 일본 소비자·인플루언서·바이어·유통사에게 한국 화장품 브랜드를 알리는 자리다. 클루메틱은 300평 규모의 전시장에 2m² 부스와 디스플레이 테이블을 설치한다. 참관객·인플루언서‧바이어 등은 제품을 자유롭게 체험한 뒤 SNS에 콘텐츠를 게시한다. 게시물 별 좋아요·댓글·공유 점수를 합산해 그랑프리를 뽑는다. K뷰티 그랑프리에 오르면 '2025 K-Beauty Grand Prize' 엠블럼을 제공된다. 엠블럼은 한국과 일본 온·오프라인에서 2025년 5월부터 2026년 4월까지 1년 동안 사용 가능하다. 제품 리뷰 日유통사‧쇼피파이‧자사몰 공유 이번 팝업스토어는 퍼블릭 데이와 프라이빗 데이로 나눠 진행한다. 클루메틱은 5월 11일과 12일 퍼블릭 데이에 소비자 약 8천 명과 인플루언서 5백 명을 초청한다. 이들은 최신 성분‧기술‧트렌드로 무장한 K뷰티를 체험하고, SNS 콘텐츠를 생산한다. 5월 13
올리브영 PB 라운드어라운드가 일본 공략에 나선다. 라운드어라운드는 ‘그린티 시카 마일드 선스틱’이 일본 버라이어티 매장인 플라자 전 매장에 입점했다고 밝혔다. 플라자는 로프트‧도큐핸즈와 함께 일본 3대 버라이어티 스토어(생활잡화점) 가운데 하나로 꼽힌다. 유행하는 상품을 빠르게 선보여 고정 고객층이 두텁다. 버라이어티 매장 입점은 일본 드럭스토어와 멀티숍 입점을 위한 초석으로 평가받고 있다. 라운드어라운드 선스틱은 고체형 자외선 차단제라는 점을 내세워 플라자 전 매장에 동시 진출했다. 스틱 형태로 나와 야외에서 사용이 편리하다. 고체 제형에 수분 에센스를 풍부하게 담아 피부에 촉촉하고 매끄럽게 발린다. 그린티 선스틱은 기능성을 중시하는 일본 소비자를 위해 각종 효능을 과학적으로 입증했다. 비건 인증을 받은 저자극 성분으로 제조했으며, 강력한 자외선 차단 효과를 갖췄다.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2021년 기준 일본 뷰티 시장 규모는 한국의 3배 수준이다. 반면 선케어 구매 비중은 한국의 1/3 수준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올리브영 관계자는 “일본 시장에 진출해 라운드어라운드를 널리 알릴 계획이다. 선스틱을 시작으로 선크림‧선로션 등을 순차적으로 선보이며 일본
글로벌 잭팟을 터트린 K-뷰티. 이른 잔치였나. 2023년 수출 전망이 심상치 않다. 중국 다음은 어디인가. ‘4차 한류열풍’ ‘쁘티프라’(작고 귀여운 가격) ‘신오쿠보’하면 떠오르는 국가, 일본이다. 일본은 K-뷰티의 격전지로 떠올랐다. 브랜드마다 진지를 구축하고 치열한 진검승부를 펼친다. 그늘도 있다. “K-뷰티, 싸니까 사요.” “K-뷰티는 제품은 있지만 브랜드는 없다.” “한국 화장품하면 마스크팩만 떠오른다.” K-뷰티는 올해 어떤 전략으로 승부해야 하나. 에센스와 하이브리드, 코어 콘텐츠다. 에센스(essence). 본질‧정수를 뜻한다. ‘핵심을 붙잡아 노하우를 추출하라’. ‘군더더기를 빼고 에센스만 정확히 배치한 프로그램에 탑승하라’. 일본호 쾌속선 승선 조건이다. 하이브리드(hybrid). 융합이다. 동종‧이종업계 간 합종연횡이다. 브랜드‧산업‧유통 간 거침없는 콜라보 전략이 요구된다. 코어 콘텐츠(core contents). 콘텐츠 커머스 시대다. ‘일본 느낌나는’ 콘텐츠가 아니라 일본 소비자를 정조준한 콘텐츠가 브랜드를 키운다. 소비자 지갑을 연다. 에센스와 하이브리드, 코어 콘텐츠 이 세 가지를 관통하는 핵심 키워드는 ‘탁월한 협업자’다.
비지티컴퍼니가 코스맥스와 손잡고 K-뷰티 일본 수출에 나선다. 비지티컴퍼니(대표 김병수)가 9일 경기 화성 본사에서 코스맥스와 업무 협약을 맺었다. 이번 업무 협약식에는 김병수 비지티컴퍼니 대표와 김남중 코스맥스 전무가 참가했다. 이들은 한국 화장품 브랜드의 일본 진출을 위해 협력 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특히 이들 회사는 △ K-뷰티 일본 수출 프로그램 개발 △ 기술력 전문성 기반 화장품 연구 개발 생산 △ 고객사의 일본 현지 홍보와 유통 지원 등을 공동 추진한다. 비지티컴퍼니는 일본 수출 시스템과 코스맥스의 K-OEM‧ODM 경쟁력을 결합해 시너지를 높일 전략이다. 코스맥스가 기술력‧전문성을 바탕으로 제작한 제품을 일본시장에 실시간 소개하며 한류 4.0 열풍을 이어간다는 목표다. 김병수 비지티컴퍼니 대표는 “일본 시장 내 화장품 브랜드 간 경쟁이 심화되고 있다. 비지티컴퍼니의 영업력과 글로벌 No.1인 코스맥스의 R&D력을 결합한다. 일본 수출 마케팅에 특화된 전문 프로그램을 통해 국내 브랜드사의 일본 진출 기회를 넓혀 나가겠다”고 말했다. 비지티컴퍼니는 일본 전문 문 수출 기업으로 물류‧통관‧라벨링‧마케팅까지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한다. 한국과 일
비지티컴퍼니(대표 김병수)가 2일 중화권 진출 전문 기업인 달팩토리와 업무 협약을 맺었다. 이 회사는 달팩토리와 손잡고 K-뷰티를 대만과 일본 시장에 유통할 계획이다. 달팩토리(대표 민병선)는 수출‧마케팅‧유통‧미디어 커머스 기업이다. TV 예능 프로그램인 ‘拜託了! 女神’(부탁해요 여신님)을 제작해 아시아 9개국에 방영했다. 왓슨스를 비롯한 오프라인 과 홈쇼핑‧라이브커머스 채널 100여 곳을 보유했다. 비지티컴퍼니는 달팩토리의 유통망을 바탕으로 한국 브랜드가 일본과 대만에 효율적으로 안착하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김병수 비지티컴퍼니 대표는 “달팩토리와 일본‧대만 시장 공략을 본격화할 예정이다. 해외 소비자를 위한 브랜드를 발굴해 공동 마케팅과 판촉 활동을 펼칠 전략이다. 2023년 K-뷰티의 글로벌 진출을 확대하는 데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전했다. 비지티컴퍼니는 K-뷰티 마케팅‧유통‧수출 기업이다. ‘K-뷰티의 일본진출 성공은 비지티와 함께’를 슬로건으로 삼았다. 국내 브랜드 150여 개를 일본을 포함한 10개국에 수출한다. 이 회사는 설립 3년 만에 누적 매출 300억을 달성한 바 있다.
미미박스 아임미미가 일본서 브랜드 인지도를 확대하고 있다. 아임미미(I’M MEME)는 2015년 탄생한 뷰티 브랜드다. 일본 진출 10개월만에 로프트 돈키호테 마츠모토키요시 츠루하드럭 등 편집매장 7천여 곳에 입점했다. 아임미미는 일본 버라이어티숍과 드럭스토어를 중심으로 유통을 확대하고 있다. 아임미미의 이름을 알린 제품은 ‘스틱섀도우 시머’다. 일본 화장품 리뷰 앱 립스에서 2021 하반기 크림 아이섀도우 부문 1위를 차지했다. 약 6개월 동안 판매수량은 40만 개에 달한다. 아임미미는 일본 잡지 ViVi와 K-뷰티 트렌드 좌담회 라이브 방송을 진행했다. 일본 주요 매체에 제품을 알리는 동시에 K-뷰티의 우수성과 특장점을 소개하고 있다. 회사 측은 “미미박스가 지난 해 일본시장에서 성장률 500%를 기록했다. 아임미미 브랜드도 50% 넘게 매출이 늘었다”고 밝혔다. 이어 “세포라와 개발한 색조 브랜드 카자(Kaja)를 일본 매장 2천 곳에 선보였다. 일본 젊은층에게 아임미미와 카자가 인기를 끌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