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 국가별 화장품 수출 실적 통계 올해 1월부터 11월까지 국가별 수출 실적에서 우리나라 화장품 수출은 중국의 하락세를 커버하고도 남을 정도로 미국과 일본, 두 국가의 성장과 지속성이 확연히 드러나고 있다. 특히 미국의 경우 이미 지난 2023년 전체 수출 실적보다 44.1%가 증가한 17억5천600만 달러를 기록하면서 중국을 맹추격하고 있다. 총액에서는 약 5억6천만 달러, 점유율은 6.1% 포인트까지 따라잡았다. 일본 역시 지난 2023년 전체 수출 실적 8억600만 달러보다 18.5%가 늘어난 9억5천500만 달러에 10.2%의 점유율을 보였다. 미국과 일본의 수출액을 합할 경우 27억1천100만 달러로 중국의 23억1천900만 달러를 가볍게 넘어선다. 이같은 내용은 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원장 조신행· www.kcii.re.kr )이 집계한 국가별 화장품 수출 실적 통계를 통해 확인한 사실이다. 자료에 따르면 이 기간동안 중국과 미국, 일본 상위 3국가 이외에 △ 홍콩 5억700만 달러 △ 베트남 4억8천900만 달러 △ 러시아 연방 3억6천800만 달러 △ 대만 2억6천200만 달러 △ 태국 2억800만 달러 △ 아랍에미리트연합(UAE
지난해 기준 5천150만 달러의 한국 화장품 수입액을 기록한 영국은 최근 들어 K-뷰티&코스메틱의 인기가 가히 ‘열풍’에 가까운 수준이다. 런던 시내에서 한국 화장품을 판매하는 매장도 크게 늘었을 뿐만 아니라 K-뷰티 전문 매장까지 등장했다고 코트라 런던무역관은 최신 보고서를 통해 리포트했다. 한국 화장품의 수입액만 보더라도 지난 2020년의 3천510만 달러에서 이듬해 4천820만 달러, 그리고 지난해 5천150만 달러에 이르기까지 성장가도를 달리고 있다. 2022년 기준 점유율은 2.93%이며 수입액 순위로는 11위에 해당한다. 아시아권 국가 가운데서는 중국(4위)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순위다. 런던무역관은 보고서를 통해 “영국으로 화장품을 수출하고자 하는 우리 기업들은 영국의 화장품 관련 규정을 반드시 알아두어야 한다. 특히 영국의 화장품규정(UKCR)은 EU의 화장품 규정과 거의 유사하지만 브렉시트 이후 다르게 적용되는 부분들이 있기 때문에 별도의 숙지가 필요하다”고 주의를 요청했다. 런던무역관이 거론하고 있는 다음의 내용은 영국에서 일반인이 사용할 수 있는 모든 화장품에 적용하며(북아일랜드는 예외), 여기에는 판매되거나 제공되는 제품(예:
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 ‘글로벌 코스메틱 포커스’ 8호-영국·프랑스 전통의 화장품 강국이자 소비자들의 보수성 강한 구매행태로 인해 시장 공략이 어려운 곳으로 유명한 영국과 프랑스에도 온라인 플랫폼 ‘틱톡’의 열풍이 거세게 일고 있다. 이러한 내용은 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원장 이재란· www.kcii.re.kr ·이하 연구원)이 최근 발간한 ‘글로벌 코스메틱 포커스’(8호)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 리포트는 “영국과 프랑스 모두 틱톡을 통해 뷰티 트렌드가 확산하고 있으며 영국에서는 간단 메이크업, 프랑스에서는 다크서클 커버 콘텐츠가 유행 중”이라고 진단했다. 영국-간단 메이크업 콘텐츠 인기에 뷰티 매체도 사용 팁 소개 영국 틱톡에서는 5분 만에 완성하는 메이크업 팁이나 스킨케어·메이크업 제품을 혼합해 한 번발라 바로 피부 화장을 완성하는 ‘스킨 스무디’(Skin Smoothie) 등이 소비자들에게 주목을 받고 있다는 보고다. 즉 5분 메이크업은 통상 여러 제품을 얼굴 전체에 차례로 흡수시키는 과정을 거치는 것과는 달리 △ 두 가지 제품을 섞어서 한 번에 흡수시키거나 △ 제품을 부분에만 사용하면서도 간단하고 빠르게 완성하는 메이크업 방법이다. 자연스럽고 건강한 피
모레모가 영국 홈쇼핑 QVC UK에서 이름을 알렸다. 모레모 헤어케어 제품 5종이 QVC UK에서 가파른 매출 상승세를 기록하고 있다. 모레모는 영국 소비자들의 주문이 급증하자 긴급 추가 발주에 들어갔다. 연말 성수기를 대비한 물량을 확보하기 위해서다. 모레모는 지난 해 영국 홈쇼핑용 물량을 선적했다. QVC UK가 추가 공급을 요청함에 따라 12월 물량을 준비하고 있다. 초도 출고 수량보다 183% 많은 물량을 마련할 예정이다. 영국에서 인기를 끄는 제품은 ‘모레모 워터트리트먼트 미라클10’. 일본·미국서 ‘기적의 물미역 트리트먼트’로 입소문 났다. 지난 해 6월 QVC UK에서 판매를 시작했다. 약 3개월 만에 베스트셀러로 올라섰다. 지난해 11월 한달 동안 모레모 특별기획 방송이 집중 편성됐다. 올해 말에는 연말 특별기획 방송을 앞뒀다. 모레모 트리트먼트는 영국 소비자들의 호평에 힘입어 ‘2023 QVC UK 뷰티 엑설런스 어워즈’에 이름을 올렸다. 베스트 헤어제품 부문에서다. 어워즈 후보 제품 80종 가운데 헤어 제품은 10개다. 모레모 마케팅 담당자는 “QVC UK를 발판 삼아 영국 시장 점유율을 넓힐 전략이다. 다가오는 겨울·봄에 맞는 프리미엄 에
<KOTRA 영국 런던무역관 리포트> 브렉시트의 합의문 초안이 17일(현지시간) 벨기에 브뤼셀 유럽연합 본부에서 극적으로 타결되면서 영국의 유럽연합 탈퇴는 점점 현실로 다가오고 있다. 아직 넘어야할 큰 산이 남아있지만 영국은 유럽 내에서 단독의 시장을 다시 갖게 됐다. 그렇다면 향후 영국의 화장품 시장은 어떻게 될지 살펴볼 필요가 있겠다. 시장조사기관 IBIS World가 발표한 ‘Perfume & Cosmetics Wholesaling in the UK Industry Report’ 보고서에 따르면, 영국 내 화장품(향수포함) 시장의 매출액은 2018/19년 기준 약 61억 파운드를 기록할 것으로 추정되며, 이는 전년대비 0.7% 증가한 수치를 보이고 있다. 2018/19년 기준, 지난 5년간 화장품 시장의 연평균 성장률은 0.3%였으며, 향후 5년간 연평균 성장률은 2.8%를 기록해 2023/24년도에는 70억 파운드를 기록할 것으로 IBIS World는 분석했다. 영국의 시장동향을 살펴보면 IBIS World는 소비자의 가처분 소득이 증가하면서 럭셔리 & 코스메슈티컬 화장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코스메
정신세계를 수출하던 나라 인도가 꿈틀거린다. 중국과 더불어 일어서는 거인이라고 불리는 인도가 전세계 비즈니스인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인도는 약 14억 명의 인구가 있어 무궁무진한 내수시장을 보유한 경제 성장의 잠재력을 가진 나라다. 그렇다면 인도 시장에 진출하기 위해서는 어떤 것을 알아야할까? 차세대 화장품 수출 시장으로 주목받고 있는 인도 시장으로의 진출과 비건 화장품(vegan cosmetics)에 대한 특별한 세미나가 진행됐다. 영국 비건 소사이어티 공식 에이전트와 유럽 화장품 등록(CPNP)대행 업무를 진행하고 있는 하우스부띠끄(대표 심형석)에서는 18일 오후 1시부터 4시까지 서울시 삼성동 코엑스(COEX) 컨퍼런스룸 327호에서 인도 화장품 시장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과 비건 화장품 인증을 주제로 한 ‘인도 수출 & 비건 화장품’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번 세미나는 18일부터 20일까지 3일간 코엑스에서 열리는 글로벌 뷰티 비즈니스 플랫폼 ‘2019 인터참코리아’(InterCHARM Korea)의 일환으로 진행됐으며, 이날 행사에는 주한인도대사관 나라엔타 바바리아 2등서기관, 주한인도상공회의소(ICCK) 아슈 과장이 참석해 자리를 빛
지난해 수출 49억5000만弗…34억弗 흑자로 사상 최대치 지난해 혹독했던 ‘차이나리스크’를 겪었던 와중에서도 화장품 수출은 2016년보다 18.5%의 성장률에 7억7천453만 달러(한화 약 8천442억 원)가 증가한 49억5천295만 달러를 기록한 것으로 집계(잠정)됐다. 같은 기간 화장품 수입은 전년보다 6.8% 늘어나는데 그친 15억3천93만 달러를 기록, 무역흑자는 무려 34억2천201만 달러에 달했다. 이는 사상 최대의 흑자를 기록했던 지난 2016년의 흑자규모 27억4천435만 달러를 1년 만에, 그것도 24.7%의 흑자수지 증가율을 보이며 경신함으로써 ‘사드 이슈·차이나리스크·K-뷰티의 위기’를 무색케 했다. 대한화장품협회(회장 서경배·www.kcia.or.kr)가 최근 관세청 수출입통계를 바탕으로 집계한 ‘2017년 화장품 수출입실적’ 주요 지표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 화장품 수출은 지난 2012년 이후 가장 낮은 성장률을 기록했으나 두 자릿수 성장세를 이어가는데 성공했으며 지난 2014년 4억8천722만 달러의 무역흑자를 기록한 이후 그 흑자 폭을 더욱 넓히는 행보를 보였다. 또 지난해의 상대적인 성장률 부진에도 불구하고 지난 2013년부터
환경문제 민감…안티솔루션 화장품 및 마스크팩 유망 화장품 품목의 유럽 국가별 시장 규모(2016년 소매판매가격 기준). 자료 Cosmetics Europe. 영국 화장품 시장 성장가능성이 큰 것으로 조사돼 국내 화장품 업체의 적극적인 진출노력이 요구된다. 코트라(www.kotra.or.kr) 배열리미 영국 런던무역관은 21일 영국 화장품 시장동향을 발표했다. 영국 화장품·세안용품·향수협회(The Cosmetic, Toiletry and Perfumery Association. 이하 CTPA)에 의하면 영국 화장품시장은 2016년 소매 판매가격 기준으로 93억7천900만 파운드 규모다. 유럽 화장품 및 퍼스널 케어산업을 위한 무역협회인 코스메틱스 유럽(Cosmetics Europe)은 2016년 소매 판매가격 기준으로 유럽전체의 화장품 시장은 770억 유로 규모이며 영국은 유럽 국가 중 독일(136억 유로) 다음으로 큰 시장(약 115억 유로)을 형성하고 있다고 밝혔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인 유로모니터(Euromonitor)는 영국 내 뷰티 및 퍼스털 케어 상품의 전체 판매액은 2011년 107억6천만 파운드에서 2016년 124억 파운드로 약 15.3% 성장
럭셔리 스파 케어 브랜드 맥스클리닉이 지난 26일 영국 대표 백화점인 셀프리지(Selfridges) 백화점 런던 본점에 입점했다. 입점된 제품은 붙이는 석고팩으로 국내외 홈쇼핑 방송마다 완판을 기록했던 미라클리닉 석고 코르셋 마스크다. 올리브영에서도 프리미엄 마스크팩으로 판매중인 제품이다. 한국 화장품 중 시트 마스크팩이 K-Beauty 대표 아이템으로 미주와 유럽에서 인기를 끌고 있고 기존의 습식 마스크팩과 달리 2단계의 차별화된 방법으로 집에서도 스파 석고관리를 할 수 있다는 점이 시선을 끌 수 있다고 판단됐기 때문. 실제 셀프리지 백화점 코스메틱 부문 바이어가 한국 스파에서 석고 코르셋 마스크를 체험해 본 후 입점이 당겨졌다는 후문이다. 실제 호텔 스파에서 사용되고 있는 석고 마스크를 집에서도 만나볼 수 있는 제품으로 석고 제형을 시트 마스크 형태로 만들어 물에 개어서 사용하는 일반 석고팩의 번거로움을 없앴다. 석고 밀폐 효과를 통해 유효성분을 피부 깊숙이 전달하고 석고가 굳어지면서 리프팅 효과를 제공하고 페이스 라인을 잡아준다. 이 제품 외에도 로얄 캐비어 오일폼, 써마지 리프팅 스틱 등 맥스클리닉 대표 제품들이 유럽 화장품 인증(CPNP)을 마쳤으며
스트리트 컬처 브랜드 토니모리(사장 양창수·www.etonymoly.com)가 전 세계 최대 규모 드럭스토어 부츠(Boots)와 입점을 체결하고 하반기부터 본격적으로 제품을 공급한다고 밝혔다. 토니모리는 지난 2016년 5월 한국 화장품 브랜드 최초로 세포라 유럽 전역에 입점한 후 매스티지 브랜드로서 인지도를 쌓으며 현지 고객들의 마음을 사로잡았다. 이번 부츠와의 입점 협의 체결로 세포라 미 입점국인 영국 지역에도 부츠를 통해 진출하게 됐으며 유럽 지역에서 인기를 얻고 있는 팬더의 꿈 시리즈와 마스크팩 등 다양한 품목을 선보일 계획이다. 부츠(Boots)는 영국에만 약 2천500여개 매장을 보유하고 있으며 영국 최대의 헬스와 뷰티 유통채널로 영국 내 독보적인 시장점유율을 가지고 있다. 토니모리는 부츠의 공식 온라인 스토어에도 동시에 입점한다. 이번 입점을 계기로 토니모리는 셀프리지 백화점을 통한 프리미엄 채널 부츠를 통한 매스 채널에 이르기까지 유통 채널을 확대하면서 유럽 지역의 매출에 긍정적인 결과를 기대하고 있다. 토니모리는 지난해 11월 영국 내 럭셔리 백화점으로 꼽히는 셀프리지 백화점에도 입점을 완료해 프리미엄 채널로 진출 신호를 알렸다. 셀프리지 백
남성들이 간과하던 청결에 대한 개념을 정립한 영국 프리미엄 남성 코스메틱 브랜드 빌로우 더 벨트(BTBG)가 헬스&뷰티 스토어 GS왓슨스를 통해 한국에 상륙했다. 새로 입점한 제품은 총 3가지 타입으로 프레쉬&드라이 볼스 4종, 인스턴트 클린 볼스 4종, 스포츠 루브리컨트로 구성됐다. '프레쉬&드라이 볼스'는 아쿠아, 프레쉬, 액티브, 프레그런스 프리 4가지 타입이며, 샤워 후 일반 바디 로션처럼 간편하게 사용하는 제품으로 남성들이 샤워 후 땀으로 불쾌함을 느낄 수 있는 부위를 보다 상쾌하고 보송하게 케어해 주는 바디 데오라이저 제품이다. '인스턴트 클린 볼스'는 아쿠아, 프레쉬, 액티브, 프레그런스 프리 4가지 타입이며, 남성들이 여성들과는 다른 화장실 사용법으로 인하여 생길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해주는 제품이다. '스포츠 루브리컨트 크림'은 지금까지 국내에 없었던 제품으로 최근 성장하고 있는 라이프 스타일 시장에 적합한 제품이다. 자전거, 테니스, 골프, 마라톤 등의 운동 시 마찰이 일어날 수 있는 부위의 데미지를 막아주는 스포츠 전용 부스터 크림이다. 빌로우 더 벨트의 제품은 일부 부위에만 사용하는 것이 아닌 일반적으로 남성들이 불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