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 ‘글로벌 화장품 시장 동향 분석 세미나’ 올 한해 우리나라 화장품 산업과 관련해 일본·중국·동남아시아 중심의 아시아 지역의 주요 이슈는 △ 일본에서의 한국 화장품 인기 상승과 2022년 이후 수입국 1위 유지 △ 중국의 시장 구조 개편(유럽·미주 중심의 해외 브랜드 VS 중국 로컬 브랜드)·품질 규제 심화·남성 화장품 시장의 성장 △ 베트남-국가 화장품법 전면 개정 진행(2025년 발표 예정)·태국-부진한 경기 불구 뷰티 매출 급등(립스틱 효과)·인도네시아-정부 주도 할랄 화장품 대표 시장으로 육성 의지 강화 등으로 요약할 수 있다. 미국·영국·UAE·사우디아라비아 등 구미·중동 시장의 경우에는 △ 다양성·형평성·포용성 키워드와 인종에 따른 트렌드 선호(미국) △ 안전성 관련 규제 강화·제품은 물론 오인 가능성 광고 관리 강화(영국) △ 할랄 화장품에 대한 안전 인식 강화·비건 K-뷰티 인기 상승(UAE·사우디아라비아) 등이 주목할 만한 이슈였다. 공통 이슈로는 △ 중동 지역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관심과 효과에 대한 추적 관리 △ 위조·불법 화장품 유통 문제 부각 △ 노화 방지 성분에 대한 인기와 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위험성 예방을
국제뷰티산업교역협회(회장 윤주택·이하 IBITA)가 대구한의대학교(총장 변창훈)와 지난달 30일 대구대학교 대학본부 대회의실에서 △ 해외 전시 등을 통한 글로벌 마케팅 지원 △ 해외 네트워크 공동 구축 △ 수출지원 등을 골자로 한 업무협력을 체결했다. IBITA는 아랍에미리트 경제과학기술부(MOIAT)와 공식 협약체결을 통해 현재 △ 두바이 INDEX 무역그룹 △ FCI금융투자그룹 △ BPC그룹 △ 알파힘그룹 △ 알 알리 홀딩스 그룹(아울렛몰 운영)의 한국 대표부로 한국기업의 중동 진출을 지원하고 있다. 특히 코스모프로프볼로냐(이탈리아)를 비롯, 전 세계 45국가·75개에서 펼쳐지는 국제 규모의 화장품·뷰티 전시회에 한국관 구성을 주관, 화장품·뷰티 무역 진흥을 이끈다. 이날 협약식에는 양 측 책임·실무 관계자 10여 명이 참석했다. 이번 협약을 통해 양 기관은 해외 전시를 통한 수출 마케팅 지원과 해외 네트워크 공동 구축을 통한 해외 진출을 위해 적극 협력할 것을 다짐했다. 관련해 변창훈 총장은 “글로컬 사업과 K-뷰티·의료 실크로드를 개척하는 데에 있어 IBITA와의 이번 협약이 중요한 출발점이 될 것”이라며 “핫-라인으로 수시로 소통하고 협력해 최고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