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FTA 활용 아세안 2차 시장개척단 가시적 성과 ‘경기도 FTA활용 아세안 2차 시장개척단’이 도내 화장품 관련 기업을 필두로 아세안 메콩강 경제권(GMS)인 캄보디아, 라오스 현지 바이어들의 높은 관심 속에 판로 개척에 성공했다. 경기도는 지난 3일부터 7일까지 캄보디아(프놈펜), 라오스(비엔티안)에서 FTA활용 시장개척단을 파견해 총 143건 807만 달러 규모에 달하는 수출상담 실적과 127건 272만 달러의 계약추진 성과를 달성했다고 밝혔다. 경기도가 주최하고 경기중소기업연합회(경기FTA센터)와 코트라가 주관한 이번 개척단에는 ㈜씨앤넷, 원더코스 주식회사, ㈜한일파테크 등 뷰티 관련 기업을 비롯해 ㈜베베푸드코리아, ㈜삼성의료설비, 고려인삼연구㈜, 돌핀㈜, 마리에뜨㈜, 콘리페어 주식회사, 한국벨라루체㈜ 등 수출유망 도내 중소기업 10개사가 참가했다. 도는 원활한 수출상담을 돕기 위해 바이어 1:1 상담 주선, 기업별 맞춤 현지 시장조사, 상담장 임차·통역 등을 지원했다. 특히 첫 상담지역인 캄보디아 프놈펜에서는 향후 거래선이 될 현지 바이어의 사업장을 현장실사와 시장조사를 병행, 보다 실효성 있는 성과를 거둘 수 있었다고 밝혔다. ㈜씨앤넷은 캄
전월 대비 온라인‧모바일 각각 2.9%, 1.3%↓ 2018년 2월 온라인쇼핑 거래액은 7조9천74억 원으로 전년 같은 기간 대비 11.6% 증가했고 온라인쇼핑 거래액 가운데 모바일쇼핑 거래액은 4조7천789억 원으로 22.8% 증가했다. 온라인쇼핑 거래액 가운데 모바일쇼핑 거래액 비중은 60.4%를 차지한 것으로 조사됐다. 전년 대비 온라인과 모바일쇼핑 거래액이 증가한 반면 전월 대비 온라인쇼핑 거래액은 9.6%, 모바일쇼핑 거래액은 9.4% 각각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청장 황수경‧kostat.go.kr)이 발표한 2018년 2월 온라인쇼핑 동향분석 자료 가운데 화장품 온라인쇼핑 거래액은 7천570억 원으로 전년 같은 기간 6천789억 원보다 11.5% 증가했고 모바일쇼핑 거래액은 4천116억 원을 기록, 전년 같은 달 4천96억 원보다 0.5% 늘어났다. 그러나 화장품 온라인쇼핑과 모바일쇼핑 모두 전월 대비 2.9%, 1.3% 각각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화장품 2월 온라인쇼핑 거래액 구성비는 9.6%, 온라인쇼핑 거래액 중 모바일쇼핑 8.6%였으며 전년 같은 기간 대비 각각 0.0%p, -1.9%p로 유지‧감소한 것으로 나타난 반면 전월과
국제포장기자재전 ‘코리아 팩 2018’ 오는 17일 개막 킨텍스서 25개국 1400기업 4500부스 마련…첨단 포장 트렌드 조망 패키징 산업계의 국내 최대 전시행사인 국제포장기자재전, 코리아 팩 2018이 2년의 준비 끝에 오는 17일(화) 고양 킨텍스에서 역대 최대 규모로 개최된다. 한국포장기계협회·(주)경연전람·월간포장 공동 주최로 오는 17일(화)부터 20일(금)까지 나흘 간 열리는 코리아 팩은 킨텍스(경기도 고양시 일산) 제 1, 2전시장에서 열린다. 국내뿐만 아니라 유럽, 일본, 미국, 중국, 인도, 동남아시아 지역 등 25국가·1천400여 기업이 4천500여 부스를 마련해 첨단포장기계·컨버팅기기·자동화기기·패키징인쇄·패키지 소재&재료·용기 등 패키징 관련 전 부분을 망라한다. 2016년 기준 매출액 총 42조 원 규모인 포장산업은 제조업 전반의 성장을 뒷받침하고 친환경 등 신 패러다임을 확산하는 차세대 산업으로 주목받고 있다. 지난 1992년 120부스로 시작한 이 전시회는 한국포장기술의 발전과 함께 발 맞춰 왔으며 21회를 맞는 올해, 30배 이상 규모로 성장했다. 2014년 서울 팩과 통합한 코리아 팩은 가공‧패키징 산업분야 전시회 가운
경기도, 2018 온라인 해외마케팅 지원 발표…460社 모집 경기도(도지사 남경필)가 도내 화장품 기업과 일반 중소기업들의 해외 온라인 판로 개척을 통한 수출을 지원하기 위해 발 벗고 나섰다. 도는 오는 4월 23일까지 우수한 제품과 브랜드를 보유한 도 소재 중소기업의 새로운 해외 시장 진출을 돕는 ‘2018 온라인 해외마케팅 지원사업’에 참여할 460곳 기업을 모집한다고 밝혔다. 이번 사업은 △ 글로벌 B2B사이트 마케팅 대행 지원(150곳) △ 글로벌 B2C 오픈마켓 판매지원(55곳) △ 글로벌 O2O플랫폼 구축, 마케팅 지원(45곳) △ SNS 홍보 마케팅 지원(30곳) △ 맞춤형 해외바이어 정보제공(180곳) 등 총 5가지 분야로 모집을 진행한다. 먼저 글로벌 B2B 사이트 마케팅 지원사업은 해외 B2B사이트 계정을 자체 보유한 중소기업을 지원하는 개별계정 분야 90곳 기업과 전담인력이 부족한 중소기업을 위해 경기도의 알리바바 계정을 활용해 홍보‧바이어 발굴을 대행하는 공동개정 60곳 기업을 지원한다. 특히 올해는 기업들의 부담을 줄이고자 개별계정비용 지원규모를 60%에서 70%로 증액(250만 원 한도)했으며 공동계정 모집기업수도 기존 50곳에서 6
오는 13일까지 접수…관내 6곳 기업 선정 제주특별자치도(도지사 원희룡)와 중소기업진흥공단 제주지역본부(본부장 김춘근)는 오는 11월에 개최되는 2018 홍콩 미용박람회(2018 Cosmoprof Asia Hong Kong)에 참가할 도내 중소기업을 오는 4월 13일까지 모집한다. 도와 중진공 제주본부는 이번 박람회에 참여할 도내 이‧미용 관련 중소기업 6개사를 선정, 지원할 예정으로 참가를 희망하는 기업은 제주전자무역지원시스템(kr.e-jejutrade.com)을 통해 신청하면 된다. 오는 11월 14일부터 16일까지 3일간 열리는 홍콩미용박람회는 1996년을 시작으로 올해 23회째를 맞는 아시아 최대 화장품 미용 전문박람회다. 세계 각국의 도소매업‧수출입 바이어들이 모여 현장에서 수출상담을 진행하게 된다. 지난 2017년 박람회에서는 ㈜유앤아이제주, ㈜서연 등 도내 화장품 6개사가 참가해 153건, 560만 달러 규모의 상담‧계약 성과를 올렸다. 김현민 경제통상일자리국장은 “K-뷰티 열풍에 따라 아시아권뿐만 아니라 세계각지에서 한국제품에 대한 수요가 많아지고 있어 화장품 등 이·미용관련 도내 수출기업들의 중계무역 중심지인 홍콩에서 열리는 미용박람회 참가를
한국소비자원 소비자 위해정보 동향 발표 한국소비자원(원장 직무대행 김재중)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접수된 소비자 위해정보 동향 자료에 따르면 2017년 소비자 위해정보는 총 7만1천 건으로 매년 증가 추세에 있는 반면 화장품과 화장용품의 경우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소비자 위해정보는 2015년 6만8천2건, 2016년에는 6만9천18건으로 전년 대비 1.5% 증가했으며 2017년은 7만1천건으로 전년 대비 2.9% 증가했다. 품목별 현황에서 화장품과 화장용품의 위해 접수 건수는 지난 2016년 2천176건으로 전체 품목에서 3.1%의 비중을 차지했으나 2017년에는 전년대비 346건(-15.9%) 감소한 1천830건으로 전체 품목에서 2.6%의 비중을 나타냈다. 2017년 위해가 가장 많이 발생한 품목은 가구‧설비로 1만707건이 접수됐고 뒤이어 가공식품이 1만314건(14.5%), 건축‧인테리어 자재‧작업공구 9천326건(13.1%) 순이었다. 위해 발생 장소는 주택이 전체의 47.7%인 3만3천806건으로 가장 많았고 도로‧인도 6천549건(9.2%), 숙박‧음식점 5천94건(7.2%) 등으로 나타났다. 위해증상별 현황으로
추위가 가시지 않은 2월. 2017년부터 이어져오고 있는 H&B(헬스&뷰티) 스토어의 강세는 꺽일줄을 모른다. 2월부터 랄라블라(lalavla)로 재단장한 왓슨스는 공격적인 출점을 암시했고 롭스는 다양한 이벤트와 롯데 패밀리십을 앞세워, 올리브영은 다양한 PB브랜드로 맞불을 놨다. 2월의 팔림세 역시 2017년부터의 인기가 그대로 이어진 모양새다. 고착화된 브랜드 충성도를 뚫고 어떤 새로운 브랜드가 소비자의 마음을 사로잡을지 기대된다. 국내 헬스&뷰티 숍 1위를 지키고 있는 CJ네트웍스 올리브영의 카테고리별 1월 팔림세를 살펴봤다. 스킨케어 부문에선 지난해에 이어 더마코스메틱의 고기능성 제품이 높은 인기를 이어가고 있다. 마스크 팩에서는 메디힐이 자리를 굳건히 지키는 가운데 브이라인에 집중한 에이바자르 퍼펙트 브이리프팅 프리미엄 마스크가 반가운 얼굴을 내밀었다. 특정 부위를 집중 케어하는 패치 부문은 꾸준히 성장하고 있는 카테고리다. 지난해 12월 처음으로 올리브영에 입점하며 유통망 확장에 나선 투쿨포스쿨은 2개월 연속 이름을 올리며 ‘국민 쉐딩’자리를 지켰고 패션 브랜드 출신들의 성과도 눈부셨다. 3CE와 블리블리 모두 온라인 패션브랜
올 봄 여성스러운 파스텔 컬러보다 강렬한 레드 컬러로 입술에 포인트를 주는 립 페인트 메이크업이 뜰 전망이다. 글로벌 색채 전문 기업 팬톤이 올해 봄·여름 트렌드 컬러로 오렌지 빛이 감도는 밝은 빨강의 체리토마토를 선정하면서 레드 립의 계절이 가을·겨울이라는 편견도 깨졌다. CJ올리브네트웍스가 운영하고 있는 헬스앤뷰티 스토어 올리브영이 본격적인 봄 시즌에 들어선 3월 1일부터 15일까지의 레드 컬러 립 제품 매출을 분석한 결과, 전년 동기간과 비교해 무려 170%가 증가했다고 16일 밝혔다. 강렬한 레드 컬러의 립 메이크업 신제품 출시도 잇따르고 있다. 그 중 셀프 스타일링 메이크업 브랜드 웨이크메이크(WAKEMAKE)가 지난 1일 출시한 신제품 립 페인트가 단연 돋보인다. 립 페인트(각 5g)는 봄 시즌을 겨냥한 가벼운 리퀴드 제형의 립 메이크업 제품으로 올 봄 트렌드 레드 컬러를 메인으로 애플 페인트 등 컬러 10종을 다채롭게 선보였다. 이 제품은 바르는 순간 입술에 가볍게 밀착되고 페인트처럼 강렬한 발색 및 지속력이 우수한 것이 강점이다. 컬러가 입술에 착 붙어 딱 지속된다 하여 ‘착붙딱붙 틴트’라는 애칭으로 불리며 출시되자마자 인기다. 페리페라도 올
모바일 비중 53.5%…전년 같은 기간 대비 7.5%p 하락 2018년 1월 온라인쇼핑 거래액은 8조6천991억 원으로 전년 같은 기간 대비 20.8% 증가했고 온라인쇼핑 거래액 중 모바일쇼핑 거래액은 5조2천452억 원으로 32.4%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온라인쇼핑과 모바일쇼핑 거래액은 전월 대비 각각 1.0%, 0.5% 증가했으며 모바일쇼핑 거래액 비중은 60.3%였다. 통계청(청장 황수경‧kostat.go.kr)이 발표한 2018년 1월 온라인쇼핑 동향분석 자료 가운데 화장품 온라인쇼핑 거래액은 7천785억 원으로 전년 같은 기간 기록한 5천976억 원보다 30.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모바일쇼핑 거래액은 1월 4천165억 원을 기록하며 3천645억 원이었던 전년 같은 기간보다 14.3% 증가했다. 1월 화장품 온라인쇼핑 거래액과 모바일쇼핑 거래액은 지난 12월 기록한 6천507억 원보다 19.6%, 3천943억 원 보다 5.6% 각각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화장품 1월 온라인쇼핑 거래액 구성비는 8.9%, 온라인쇼핑 거래액 중 모바일쇼핑 거래액은 7.9%였으며 전년 같은 기간 대비 온라인은 0.6%p 증가한 반면 모바일은 1.3%p 감소했다
상하이 화동 수출입교역전 충북관 운영…화장품 6곳 참가 충청북도(도지사 이시종, 이하 충북도)는 한국무역협회 충북지역본부와 공동으로 지난 1일부터 4일까지 열린 ‘제28회 상하이 화동 수출입교역전’에 충북 화장품 관련 중소기업 6곳을 포함한 10개사를 파견했다. 그 결과 237건의 상담을 통해 676만9천 달러의 상담 실적을 거뒀으며 현장계약도 52건, 150만 달러에 달했다고 밝혔다. 중국 상무부가 지원하고 상해시 등 동부 9개의 성과 시가 연합해 개최하는 이번 전시회는 중국의 지역성 국제경제무역 행사 중 큰 규모의 전시회다. 충북도는 역내 소비재 수출업체의 신규 바이어 발굴 지원을 위해 지난 2010년부터 매년 충북관을 운영해왔다. 이번 전시회에 참가한 10개 기업 가운데 화장품 관련 기업은 미스플러스, 레보아미, ㈜바이오폴리텍, ㈜지엘컴퍼니, 농업회사법인 ㈜힐리안, ㈜르무엘뷰티 6곳이다. 충북도 관계자는 “타오바오, 티몰, 징동닷컴 등 중국 내 온라인 쇼핑몰을 통해 제품을 판매하는 바이어들이 화장품, 주방용품, 생활용품 등 충북 참가업체들의 제품에 큰 관심을 보였다”며 “판매경로가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빠르게 전환되고 있음을 실감할 수 있었다”고 말했
트러블 케어 화장품 시장이 10대들의 전유물에서 성인까지 확대되고 있다. 트러블 케어는 여드름 등을 관리하기 위해 주로 찾는 클렌징, 패치, 컨실러 등의 상품으로 기존에는 주로 10대 청소년 전용 화장품으로 판매됐다. 그러나 최근 미세먼지와 스트레스, 이른 화장 등으로 인해 성인 피부 트러블 환자가 지속 증가하며 관련 화장품군의 매출이 가파르게 늘고 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2015년 기준 여드름으로 병원을 찾는 환자가 2010년에 비해 9.7% 증가했으며 그 구성비도 10대(31.1%) 보다 20대(43.1%)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올해 들어 1월부터 2월까지 두 달간, 강추위, 건조함, 극심한 미세먼지 등이 피부 트러블을 유발해 트러블 케어 관련 화장품 매출이 크게 증가했다. 롭스의 매출을 살펴보니 피부 트러블 예방용 기초 화장품의 매출이 30.4%, 색조 화장품의 매출이 25.7% 늘었으며 남성용 트러블 케어 화장품은 27.3% 가량 매출이 증가했다. 롭스는 트러블 흔적을 자극없이 줄여주는 메디큐브(medicube)의 레드 이레이징(RED ERASING) 라인이 뜨거운 반응을 보이고 있다고 밝혔다. 대표적으로 레드 이레이징 크림(50m
징둥, 프리미엄 화장품 소비자수 매년 10배 증가 징둥이 전 세계 프리미엄 화장품 시장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플랫폼으로 나타났다. 한국온라인쇼핑협회(협회장 변광윤·www.kolsa.or.kr)는 “앞으로 3년간 우리가 최고의 화장품 플랫폼이 될 것을 확신한다”고 펑이 징둥 총재의 연설을 중국 环球经济网(환구경제망)을 통해 전했다. 새로운 중산층이 나타하고 소비 업그레이드가 심화됨에 따라 프리미엄 화장품이 많은 사람들에게 선택을 받고 있고 동시에 거대 전자상거래 업체의 가장 큰 관심 품목이 되고 있다. 자넌 1일 징둥나비절 프로모션 행사에서 펑이(冯轶) 징둥 총재는 "화장품은 이미 징둥의 침투율이 가장 높은 품목이고 수많은 화장품 브랜드가 징둥 플랫폼에서 론칭하고 있다"고 발표했다. 징둥 플랫폼에서 화장품의 재구매율은 매우 높다. 이것은 중국이 가장 크고 가장 우수한 소비자들로써 충성도도 매우 높다는 것을 설명할 수 있다. 펑이 총재는 소비 능력을 갖춘 젊은 소비자들은 징둥에서의 화장품 구매를 선호하며 2017년 프리미엄 화장품 브랜드 소비자 중 90년대생이 차지하는 비율이 전체 평균보다 11% 높게 나타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러한 우세 속에서 징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