엑티브온 오창 제3산업단지 공장 준공…사람과 산업에 안전한 소재 개발 핵심 엑티브온(대표 조윤기)은 9일(화) 오전 11시 충청북도 오창 제3산업단지 공장 준공식을 개최하고 오창을 기점으로 세계 최고의 화장품 원료기업으로 도약할 것을 다짐했다. 이날 엑티브온 신공장 준공식에는 엑티브온 임직원을 비롯해 화장품 업계 관계자 100여명이 참석해 자리를 빛냈다. 조윤기 엑티브온 대표는 “피부 친화적인 화장품 소재와 방부 소재로 성과를 거두고 있는 엑티브온은 가까운 중국과 일본을 비롯해 아프리카, 남미, 칠레 등 5대양 6대주 구석구석까지 수출하며 글로벌 기업으로 도약하고 있다”며 “글로벌 강소기업으로 뚝심있게 걸어온 엑티브온은 오창에서 새롭게 도약하는 전기를 마련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전 세계에서 다섯 손가락 안에 드는 바이오 소재와 피부 친화적인 방부 대체 소재 기업을 목표로 발돋움해 시장을 선도해 나가겠다”며 “무엇보다 먼저 사람과 산업에 안전한 소재를 개발하는 기술 우위, 시장 우위 강소기업으로 거듭날 것”이라고 덧붙였다. 엑티브온 오창 공장은 △ 대지면적 6천854㎡ △ 건축면적 3056㎡ △ 연면적 4608㎡에 지상 1~3층 규모로
상표 분쟁에 중요 증거로 활용…필요성 증대 특허심판원(원장 박성준)은 심판에 제출되는 상표 소비자 인지도 설문조사의 증거력을 인정하기 위한 설문조사 방법 가이드라인을 발표했다. 소비자 인지도 설문조사는 상표 등록 여부에 대한 심판에 있어 해당 상표가 유명 상표에 해당하는지 또는 흔한 표장이지만 오랜 사용에 의해 소비자들에게 식별력이 인정되고 있는지를 입증하기 위해 상표에 대한 일반 수요자의 인식 정도를 조사하는 것이다. 미국‧유럽 등 외국에서는 상표 분쟁에 소비자 인지도가 중요한 증거로 활용되고 있으며 최근 국내에서도 특허법원 판결에 설문조사 결과를 반영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어 소비자 인지도 조사 가이드라인에 대한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발표된 가이드라인의 주요 내용으로는 △ 설문조사는 여론조사기관을 통해 신뢰성 있는 조사방법에 의해 실시해야 하며 △ 해당 상품의 소비자를 대표할 수 있는 특성(지역‧성별‧연령 등)을 반영해야 한다. 조사방법은 △ 응답 회수율이 50% 이상이어야 신뢰도가 있다고 인정되고 △ 응답 표본수는 상품 종류에 따라 유동적이지만, 일반적으로 최소 500명이어야 하고 1천 명 이상일 경우 신뢰도가 높은 것으로 본다. 질문방법에서는 △ 질
전년 대비 매출 상승 89곳·하락 41곳 매출 상승에도 영업‧당기순이익 하락세 지난 한 해 국내 화장품 기업들의 매출액은 다소 올랐지만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에서 많은 편차가 있었다. 매출 상위 기업과 몇몇 중견‧중소기업을 제외하면 지난해 성적표는 아쉬움을 남긴다. 국내 H&B숍과 편집숍이 자리를 잡아가면서 국내 판로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했으나 매출로 이어지는 사례는 많지 않았다. 게다가 중국 외에 해외 시장으로 진출하는 기업들도 눈에 띄는 성과를 내지 못하고 머물러 있는 경우가 많았다. 2017년에 이어 올해도 내수와 해외 시장이라는 숙제를 놓고 화장품 기업들이 고군분투했지만 이번 경영지표만을 고려한다면 아직 가야할 길이 먼 듯하다. 본지는 지난 4월 4일 현재까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DART)에 감사보고서를 제출한 국내 주요 화장품 기업 132곳의 지난해 경영실적을 조사‧분석했다. 그 결과 지난 2017년 보다 매출이 하락한 기업은 41곳이었다. 영업이익 부문에서 적자를 기록한 기업은 42곳이었으며 당기순이익 부문에서 적자를 본 기업은 49곳에 달했다. 32곳 기업은 적자는 아니지만 영업이익이 전년대비 마이너스 성장세를 보였고 33곳 기업은
홈쇼핑모아, 3/8~3/14 화장품 매출 순위 발표 ‘이데베논‧흰송로버섯‧병풀‧레드 프로폴리스…’. 홈쇼핑에서 성분 마케팅 바람이 불고 있다. ‘이데베논 앰플’ ‘화이트 트러플 세럼’ 등 특정 성분을 전면에 내세운 제품이 스킨케어 부문에서 인기다. 색조에서도 △ 에센스 팩트 △ 프로폴리스 쿠션 △ 미네랄 비비 크림 등 피부 진정과 영양 공급 효과가 있는 성분을 내세운 제품이 매출을 올렸다. 이는 홈쇼핑모아(대표 김성국‧남상협)가 지난 3월 8일부터 14일까지 7일 동안 홈쇼핑·T커머스 14개사의 화장품 매출액을 분석한 결과다. 기초 화장품 부문 1위를 차지한 울트라브이 이데베논 시그니처 앰플은 이데베논 열풍을 몰고온 주역이다. 이데베논은 성형외과‧피부과 등에서 주로 주름 개선용으로 사용해온 성분이다. 최근 안티에이징‧항산화 효능을 인정받으며 화장품에 활발히 도입되고 있다. ‘땅 속의 다이아몬드’로 불리는 고급 식재료 흰 송로버섯도 화장품 안으로 들어왔다. 2위를 차지한 달바 화이트 트러플 세럼은 이탈리아 청정 지역에서 채취한 흰송로버섯을 함유했다. 이 제품은 안티에이징‧탄력 증진 효과가 알려지며 매출이 상승하고 있다. 병풀추출물을 핵심 성분으로 내세운 동국제
1월보다 4.2% 감소…전년 2월 대비 13.4% 증가 통계청 2월 화장품 온라인쇼핑 거래 동향 통계청(청장 강신욱·http://www.kostat.go.kr)이 발표한 2월 온라인쇼핑 거래 동향 가운데 화장품 온라인쇼핑 거래액은 8천471억 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달 보다 376억 원, 4.2% 감소한 수치인 반면 전년 같은 기간에 비해서는 1천2억 원, 13.4% 증가했다. 2월 중 모바일을 이용한 화장품 거래액은 5천501억 원을 기록, 온라인 화장품 전체 거래액의 64.9%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난 1월보다는 115억 원, 2.1% 감소했고 전년 같은 기간 대비 1천208억 원, 28.1% 늘어났다. 한편 자료에 따르면 2월 한 달 간 전체 온라인쇼핑 거래액은 전년 같은 기간보다 16.4%(1조3천553억 원) 증가한 9조5천966억 원을 기록했다. 모바일쇼핑 거래액 또한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26.0%(1조2천774억 원) 증가한 6조1천817억 원을 나타냈다. 모바일 쇼핑 거래액은 온라인쇼핑 총 거래액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전년 같은 기간 대비 4.9% 포인트 증가한 64.4%를 기록했다.
자율적 경쟁력 향상 위해 3년간 브랜드 독점 사용권 부여 인천화장품 공동브랜드 어울의 운영단체로 아이씨에이(ICA) 합자회사가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됐다. 인천시와 인천경제산업정보테크노파크는 지난 3월 11일 어울 브랜드 운영단체 모집 관련 공고를 내고 3개 컨소시엄 법인으로부터 접수를 받아 상품 개발과 마케팅 전략, 투자계획, 전문역량 등에 대한 평가를 거쳐 지난 1일 아이씨에이 합자회사를 우선협상 대상자로 선정했다고 밝혔다. 시는 2014년 10월 화장품 공동브랜드 어울을 출시하고 2016년 2월부터 운영사를 선정해 위탁 방식으로 운영해 왔으나 올해 4월 위탁 대행기간이 완료된다. 이에 어울 운영단체의 부담완화와 자율성, 책임성을 강화하기 위해 브랜드 사용료를 매출액의 2%에서 0.5%로 낮추고 제조사와 운영사 등이 참여하는 컨소시엄 법인이 독점적으로 어울 브랜드를 사용할 수 있도록 운영구조를 개편했다. 인천경제산업정보테크노파크는 공모를 통해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된 아이씨에이 합자회사와 4월 중 협상을 통해 계약 체결을 완료할 계획이다. 또한 앞으로 3년간 공공부문의 개입을 최소화하고 기업의 자율적 경쟁력 향상을 위해 컨소시엄 법인에게 3년간 어울 브랜드
이탈리아 무역관 ‘이탈리아 화장품 워크샵’ 5월 8일부터 9일까지 전문 B2B 상담회로 개최 한국과 이탈리아간 무역 증진을 위해 다양한 활동을 전개하고 있는 이탈리아 무역관은 오는 5월 8일부터 9일까지 양일간 B2B 상담회인 이탈리아 화장품 워크샵을 개최한다. 한국 시장 진출을 목표로 하는 이탈리아 화장품 기업들이 참가하는 이번 워크샵에는 △ 유아 제품부터 △ 스킨케어 △ 헤어 △ 에스테틱 △ 유럽 수출 관련 서류 발급 기업 등 총 8곳이 한국 파트너 기업을 찾는다. 플라자호텔에서 열리는 이번 상담회는 오는 5월 8일은 10시부터 오후 6시까지, 9일은 10시부터 13시까지 진행되며 미팅일정은 신청 기업에 한해 개별 전달된다. 미팅을 원하는 기업은 오는 19일까지 신청서(https://forms.gle/qHU2pq6xED176vA37)를 작성해 신청하면 된다. 문의 : 최성진 상무관(전화 : 02-779-0811, 이메일 : seoul@ice.it, s.choi@ice.it) 이탈리아 화장품 워크샵 방한 업체 리스트
산업통상자원부, 볼로냐‧코스모뷰티 아시아 등 67개 우선 추진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성윤모)는 2019년 제1차 해외마케팅정책협의회를 개최하고 수출 관계부처와 지자체, 유관기관의 수출지원 역량을 총집결하기 위한 협업 강화방안을 논의하고 해외 화장품 전시회에서 통합한국관을 운영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번 회의에서는 그간 수출활력촉진단, 기업간담회 등 수출기업들의 의견을 수렴해 마련된 △ 해외전시회 통합한국관 구축 △ 무역사절단 전문화‧대형화 △ 글로벌 파트너링 사업 지역강소기업 참여확대 등에 대해 구체적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먼저 해외전시회 통합한국관 구축 건은 438개 해외전시회 가운데 동일 전시회에 복수의 부처‧지자체가 지원하는 67개 해외전시회에 대해 우선적으로 통합한국관 추진 방안을 논의했다. 화장품과 소비재 관련 통합한국관 대상전시회로는 △ 볼로냐 미용전(2020년 3월) △ 코스모 뷰티 아시아(2019년 9월) △ 중국 상하이 유아용품(2019년 7월) △ 도쿄 선물용품 잡화전(2019년 10월) △ 홍콩 미용전(2020년 12월) △ 베트남 하노이 엑스포(2019년 4월)이 예정돼 있다. 특히 67개 전시회 가운데 22개 글로벌 유명 전시회를 제외
홈쇼핑모아, 3/1~3/7 화장품 매출 순위 발표 홈쇼핑시장에서 유럽 브랜드의 진격이 시작됐다. 스위스‧프랑스‧독일 등 주요 유럽 브랜드의 세럼‧크림 등이 환절기를 맞아 피부 스페셜 케어를 원하는 소비자를 공략했다. 스위스 호메타와 프랑스 꼬달리, 독일 에뜨레벨 등이 홈쇼핑 기초 부문 TOP 10에 오르며 각축전을 펼쳤다. 홈쇼핑모아(대표 김성국‧남상협)가 지난 3월 1일부터 7일까지 7일 동안 홈쇼핑·T커머스 14개사의 화장품 매출액을 분석한 결과 기초 부문 1위는 호메타 골드 세럼·크림·마스크가 차지했다. 호메타는 스위스 식물학자 모리스 마포니에 박사가 만든 프리미엄 안티에이징 브랜드. 생산부터 포장까지 ‘Made in Swiss’를 내세웠다. 호메타 리제너레이션 세럼과 크림, 샤이닝 마스크를 세트로 구성해 실속을 높였다. 프랑스 브랜드 꼬달리는 기초 부문 4위에 올랐다. 프랑스 보르도산 포도 성분을 담은 꼬달리는 항산화 기능의 비노퍼펙스 세럼과 에센스로 소비자 지갑을 열었다. 이어 독일 에스테틱 브랜드 에뜨레벨에서 출시한 하이드로펄 캡슐 에센스가 5위를 기록했다. 이 제품은 3중 캡슐이 피부를 감싸 수분을 코팅하고 속 당김을 개선한다는 설명이다. 색조
본지 내부고발 자료 입수, 타유통 매장 한 곳에서만 월 평균 3억 매출 면세용, 온라인 밴드에서 판매·창고 트럭 적재 등 현장 제보 줄이어 협의회 측 “본사와의 결탁 증거” 비난…본사 측 답변에 반박문 발표 이니스프리 전국 가맹점들의 타유통(온라인·대형할인마트·지역 축제현장 판매) 채널 거래와 면세점용 제품의 유통에 대한 항의 집회 이후 본사 측의 답변(3월 25일 현재)이 가맹점에게 전달된 가운데 가맹점주들이 이 같은 비정상 유통현장을 담은 사진 등을 제보하고 나섰다. 특히 제보 내용 가운데 타유통 대표매장 12곳의 지난해 1월부터 8월까지의 매출 현황까지 포함돼 있고 그 금액이 월 평균 약 20억 원대에 이르는 것으로 드러났다. <타유통 대표매장 매출현황 참조> 전국이니스프리가맹점주협의회(회장 장명숙·이하 이니스프리협의회)는 이와 관련해 “이 매출현황 자료는 지난해 본사 내부고발에 의해 협의회에 매장실명까지 명기한 것”이라고 밝히고 “이는 본사 측과의 결탁없이 발생할 수 없는 일”이라고 주장했다. 이와 함께 이니스프리협의회가 본지에 제보한 내용들은 △ 타유통(온라인 몰 운영자로 추정됨) 채널 창고에 적재된 이니스프리 제품 △ 밴드에서 면세점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새싹인삼‧다년근인삼 샘플 채취 조사 새싹인삼의 잎과 줄기가 4년 이상 재배한 다년근 인삼보다 항암과 면역력 증가, 피부주름, 색소 완화, 미백효과 등에 탁월한 효능이 있는 진세노사이드(인삼 사포닌) 성분도 더 많이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와 함께 항산화 성분인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함유량과 피부의 잡티를 생성하는 타이로시나아제를 억제하는 효과도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은 지난해 3월부터 8월까지 전국 각지에서 재배된 새싹인삼 19종과 4년 이상 재배한 다년근 인삼 4종에서 샘플을 채취해 △ 진세노사이드 6개 성분(Rg1, F1, Rd 등) △ 피부에 잡티가 생기게 하는 타이로시나아제 억제 효과 △ 총 폴리페놀 △ 플라보노이드 효과 등을 조사했다. 그 결과 새싹인삼이 다년근 인삼보다 우수한 효능을 가진 것으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총 폴리페놀 성분은 새싹인삼 잎이 155mg/100g을 함유, 다년근인삼 함유량 117mg/100g보다 높게 나타났다. 플라보노이드 성분 함유량 역시 새싹인삼 잎이 256mg/100g을 함유해 다년근인삼 222mg/100g보다 많은 항산화 성분을 포함하고 있는 것
홈쇼핑모아, 2/22~28 화장품 매출 순위 발표 항산화‧항노화 기능을 내세운 앰플‧세럼의 인기가 지속되고 있다. 홈쇼핑 소비자는 피부가 거칠고 건조해지기 쉬운 환절기를 맞아 피부를 젊고 탄력 있게 가꾸는 화장품을 찾았다. 이데베논을 비롯해 화이트트러플‧비타민C‧프로폴리스 등을 주 성분으로 한 제품이 일제히 홈쇼핑 기초 부문 TOP 10위에 들었다. 이는 모바일 홈쇼핑 포털 앱 홈쇼핑모아(대표 김성국‧남상협)가 지난 2월 22일부터 28일까지 7일 동안 홈쇼핑·T커머스 14개사의 화장품 매출액을 집계한 결과다. 울트라브이 이데베논 시그니처 앰플이 1위를 차지한 데 이어 달바 화이트트러플 인텐시브 세럼이 2위에 올랐다. 피부 탄력지수를 높이려는 소비자가 늘면서 안티에이징 효과를 강화한 △ 차앤박 그린 프로폴리스 앰플 △ 슈퍼 퍼스트씨 퓨어 비타민C 세럼 △ 나인테일즈 링클 파워 세럼 등이 각각 7‧8‧9위에 올랐다. 색조 부문에서도 항산화 바람이 불었다. ‘더 얇게, 더 강력하게’를 내세워 밀착력‧커버력 경쟁을 펼쳐온 베이스 메이크업 분야에도 ‘항산화‧고영양’ 바람이 불어 닥쳤다는 분석이다. 홈쇼핑 색조 부문 상위권을 점유한 쿠션‧팩트 브랜드가 에센스 함유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