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서베이가 8일 ‘뷰티 트렌드 웨비나 2023’를 열고 한국·미국·일본 뷰티 트렌드를 발표했다.
한·미·일 3개국 여성 소비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중화권 시장 실적이 크게 둔화했다. 오픈서베이는 미국과 일본 시장의 발전 가능성에 주목하고, 각국 소비자 행태와 K-뷰티의 성장 기회를 살폈다.
3개국 여성 소비자는 평균 사용 제품 개수에서 큰 차이를 보였다. 한국은 스킨케어 제품 6.12개, 색조 제품 5.69개를 사용했다. 미국은 각각 3.60개와 5.50개, 일본은 3.06개와 3.95개로 나타났다. 한국은 스킨케어 시장에서 미국·일본에 비해 시장 성숙도가 높다고 분석했다.
한국은 온라인 침투율(온라인에서 뷰티 제품을 한 번 이상 구매한 응답자 비율)에서도 높은 수치를 보였다. 한국서 뷰티제품의 온라인 구매가 일상화되며 온라인 침투율은 91.8%를 기록했다. 일본의 온라인 침투율은 57.8%에 불과했다.
화장품 주요 구매 채널도 국가별 차이가 뚜렸했다. 한국 소비자는 H&B 스토어·오픈마켓·네이버쇼핑 등 온라인 채널을 주로 이용했다. 미국은 대형마트·오프라인 H&B스토어·뷰티 편집매장 등이다. 일본은 오프라인 H&B 스토어 구매 비중이 높았다.
오픈서베이는 세부 제품별 시장 확장 가능성도 발표했다. 소비자가 현재 사용하는 제품과 앞으로 사용하기를 희망하는 제품을 살폈다. 스킨케어 제품 중 한국과 일본은 아이케어, 미국은 수분‧토너패드와 마스크팩 등이 유망했다.
한국 문화 콘텐츠에 향한 글로벌 관심이 높아진 가운데 미국과 일본의 K-뷰티 인식도 조사했다.
미국 소비자의 40%는 K-뷰티를 인지했으며, 그 중 17.8%는 구입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일본 소비자 가운데 K-뷰티 인지자는 27.3%에 불과했다.
K-뷰티 인지 경로는 미국과 일본 모두 소셜미디어 비중이 높았다. 특히 미국에서 소셜미디어 활용도가 두드러졌다.
아울러 미국은 친구‧지인이나 광고를 통해 K-뷰티를 접하는 경우가 많았다. 일본은 오프라인 화장품 매장이 주요 경로로 밝혀졌다.
전예리 오픈서베이 데이터비즈니스 팀장은 “3개국 뷰티 소비자를 살펴보면 국가별 시장 성숙도나 소비 행태가 크게 다른 것을 알 수 있다. 국내외 소비자를 공략하려면 시장을 세분화하고 데이터로 기회 영역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