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 화장품 시장의 최신 정보와 이를 활용한 마케팅 전략 수립, 공략 대상 국가의 시기별 트렌드 등을 종합 분석해 제공하는 글로벌 코스메틱 포커스의 올해 첫 리포트가 나왔다. 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원장 조신행· www.kcii.re.kr ·이하 연구원)은 “이달부터 매월 제공할 2025년 글로벌 코스메틱 포커스의 첫 번째 판으로 중국과 일본 편을 발간했다”고 밝혔다. 연구원은 “올해 글로벌 코스메틱 포커스를 모두 10회에 걸쳐 14국가를 대상으로 발간한다”며 “우리나라 화장품의 주요 수출 대상국가 14국가의 △ 화장품 시장 이슈·트렌드를 중심으로 △ 전문가 칼럼 △ 시즌별 인기 제품·요인 분석 등을 중점 콘텐츠로 다룬다. 특히 올해는 최근 3년간의 뷰티 키워드를 분석, 국가별로 트렌드가 어떻게 변화하고 있으며 그 배경은 무엇인지를 파악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역점을 둘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빅데이터를 통해 국가별 화장품 산업을 심층 분석 제시함으로써 우리나라 기업의 효과 높은 대응 전략 수립에도 도움을 주겠다는 구상이다. 中, C-뷰티 성장 괄목…소셜 미디어 통한 확장 전략 구사 20%대 까지 떨어진 수출 점유율로 최근 국내 화장품 산업의 관심에서
2019년 기준 500억 위안(한화 약 8조5천500억 원)을 돌파한 중국 색조화장품 시장은 스킨케어에 비해 작은 규모지만 성장률에서는 38.0%에 달해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이는 △ 중국 소비자의 가처분 소득의 증가 △ SNS 플랫폼 확대 △ 생활 관념의 전환 △ 국가 정책 지원 등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한 것으로 분석 가능하다. 특히 소비자들은 이전에 아이 메이크업 보다는 일반 화장(베이스·립 메이크업 등)에 집중하는 경향을 보였지만 최근 들어 이러한 메이크업 시장에 변화의 바람이 불고 있다. 아이섀도 등을 활용, 색조화장을 강조하는 트렌드가 뚜렷해 지고 있는 것. 딜로이트의 보고에 따르면 지난해 온라인 판매에서 △ 베이스 메이크업은 31%로 하락 △ 립 메이크업은 2019년과 비슷한 수준 △ 아이 메이크업은 16%로 상승했다. 매출 증가속도에서는 색조화장품 세트의 매출이 가장 빨라 2019년 152%, 지난해에는 135%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내용은 최근 코트라 중국 칭다오무역관의 리포트를 통해 확인한 사실이다. 파운데이션이 1위…쿠션 수요 증가세 베이스 메이크업 제품 중 1위는 파운데이션. 시장의 약 27%를 차지한다. 그러나 최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