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618 쇼핑 축제’에서는 K-뷰티가 사라졌다. 화장품의 소비 증가율도 소비액 상위 10개 업종 가운데 가장 낮았다. 중신징웨이연구원(中新經緯研究院)·중국국제전자상거래센터연구소(中國國際電子商務中心研究院)·랑차오줘수(浪潮卓數)가 공동으로 발표한 ‘618 소비 통찰 보고서(2024)’(이하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5월 31일부터 6월 18일까지 중국의 전체 온라인 소매 판매액은 1조1천491억2천만 위안(한화 약 218조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0.5% 증가했다고 코트라 난징무역관이 리포트했다. 이 가운데 실물 온라인 소매 판매액은 9천949억9천만 위안(한화 약 189조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7.8% 증가했다. 올해 ‘618 쇼핑 축제’에서 중국 주요 전자상거래 플랫폼은 다양한 할인 행사를 진행했다. 그중 징둥닷컴(京東)·티몰(天貓)·타오바오(淘寶)·샤오홍슈(小紅書) 등 플랫폼은 ‘300위안(약 5만7천 원) 이상 구매 시 50위안(약 9천500원) 할인’(滿300減50) 행사를 진행했다. 이번 618 쇼핑 축제에서 중국 주요 플랫폼은 사용자 중심으로 판매 프로세스가 단순화됐으며, 이를 통해 소비자의 쇼핑 만족도가 향상됐다는 평가다. 전자상거래 플
△ 가치 소비 △ 프리미엄 브랜드 △ 힙(hip)한 이미지. K-뷰티 브랜드가 중국 온라인 시장에서 갖춰야 할 3대 요소다. 가치소비에 맞는 제품을 개발하고, 프리미엄 브랜드로 차별화해야 한다. 힙(hip)한 이미지와 세련된 디자인으로 브랜드 로열티를 강화해야 경쟁 우위를 점할 수 있다는 시각이다. 특히 한국제품 직구를 즐기는 중국 Z세대를 공략해야 한다는 분석이다. 중국 신 소비계층을 겨냥한 제품과 마케팅 전략으로 차별적인 경쟁력을 갖춰야 한다는 의견이다. 이는 한국무역협회 베이징지부가 발표한 ‘징둥글로벌 MD가 제시한 한국 소비재의 중국 온라인 플랫폼 진출 방안’에서 도출됐다. 이 보고서는 한국무역협회 베이징지부가 중국경영연구소와 지난해 12월부터 올해 1월까지 징둥글로벌 MD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다. 한국 브랜드 운영 현황과 상위 브랜드 성공사례를 집중 파헤쳤다. 중국 온라인시장 핵심 소비자 ‘Z세대’ 코로나19가 확산하면서 중국 소비시장은 디지털과 플랫폼 경제로 급격히 재편됐다. 2021년 온라인쇼핑 거래액은 12.0% 성장한 10조 8,042억 위안(약 2,098조원)을 차지했다. 소매 판매액의 24.5%를 점유하는 규모다. 국경 간 전자상거
중국은 물론 K-뷰티의 주요 수출지역으로 평가받고 있는 동남아시아 주요 국가에서 갈수록 기승을 부리고 있는 ‘모방 화장품’(소위 ‘짝퉁 화장품’·이하 모조품으로 통칭)을 단속할 수 있는 솔루션 개발이 완료돼 업계의 관심을 모으고 있다. 빅데이터 분석 기반 모조품 단속 솔루션 ‘데이터핏’(dataFIT)은 해외 주요 시장에서 판매가 이뤄지고 있는 모조품에 대한 ‘검색 → 분석 →단속’을 한 번에 해결할 수 있는 최적 솔루션을 모토로 내세운다. 데이터핏이 서비스하는 주요 대상 품목은 K-뷰티로 통칭할 수 있는 화장품을 위시해 위생용품·식품·패션(의류)·식품·유아용품·완구 등에 이르기까지 주요 소비재다. 데이터핏이 커버하는 E-커머스 채널은 타오바오·알리바바·징둥·알리익스프레스·핀둬둬(이상 중국)·쇼피·라자다(태국·싱가포르·베트남·말레이시아·인도네시아·필리핀) 등으로 해당 지역에서 가장 큰 영향력을 발휘하는 채널이라고 할 수 있다. 데이터핏이 제공하는 통합 솔루션의 프로세스는 △ 모조품 검색을 위한 모니터링 △ 모조품 판매·제조업체 오프라인 조사 △ 모조품 판매 사이트 URL 차단 △ 해당업체에 대한 (행정)단속 등의 과정을 거친다. 데이터핏 개발을 마무리하고 본
애경산업이 중국 온라인시장 진출에 속도를 내고 있다. 애경산업은 △ 중국 2위 전자상거래 업체 징둥(京東)닷컴 △ 중국 이용자 수 기준 1위 온라인 플랫폼 핀둬둬(拼多多) △ 중국 최초 직구 플랫폼 카오라(考拉)에 공식 입점했다. 이 회사는 2018년 티몰을 시작으로 중국 온라인시장에 발을 내딛었다. 중국 대형 온라인 플랫폼 징둥닷컴‧핀둬둬‧카오라 등 3곳에 추가 진출해 온라인 시장 점유율을 확대할 방침이다. 주요 입점 브랜드는 △ 에이지 투웨니스(AGE 20’s) △ 루나(LUNA) △ 플로우(FFLOW) △ 포인트(POINT) 등이다. 징둥닷컴에는 AGE 20’s 플래그십 스토어를 열었다. 메이크업 브랜드 루나와 여드름케어용 에이솔루션 매장도 열 계획이다. 핀둬둬에서는 △ 에이지 투웨니스 △ 루나 △ 플로우 △ 포인트를 판매한다. 카오라에는 스킨큐어 브랜드 본결(BONGYUL)을 유통할 예정. 회사 측은 “중국 쇼핑축제인 티몰 광군제에서 에이지 투웨니스 BB크림이 3년 연속 부문 판매 순위 1위를 달성했다. 중국 소비자에게 에이지 투웨니스를 중심으로 K-뷰티의 우수성을 알릴 전략이다”고 했다.
中 시장 공식 론칭…매닝스·징둥닷컴 입점 완료 토털 헤어 코스메틱 브랜드 미쟝센이 중국 시장에 공식 론칭하고 글로벌 사업을 본격적으로 확대하고 나섰다. 미쟝센은 지난 2000년 출시 이후 건강한 머릿결을 위한 전문 케어는 물론 원하는 헤어 스타일을 완벽하게 연출하는 혁신적인 제품으로 주목받아 온 한국의 대표 헤어 케어 브랜드다. 지난해 대만 진출로 글로벌 사업의 첫 발을 디딘 미쟝센은 ‘헤어 스타일링으로 나만의 개성을 표현하는 트렌디한 브랜드’를 핵심 콘셉트로 삼아 중국 고객의 저변을 확대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글로벌 시장 조사기관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중국 헤어케어 시장은 지난해 소비자가 기준 약 8조 원에 이르며 지난 5년 간 연평균 4% 성장을 지속했다. 소득 수준의 증가가 헤어케어 제품에 대한 소비로 이어지면서 샴푸 등 단순 세정 카테고리뿐만 아니라 다양한 기능성 제품이 안정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미쟝센은 샴푸·컨디셔너·트리트먼트·헤어 팩·헤어 세럼·헤어 미스트 등 모두 34품목을 드럭스토어와 e-커머스몰을 통해 선보인다. 중국 헤어케어 시장을 공략하기 위해 현지 소비자 조사를 거쳐 중국 고객이 선호하는 향 트렌드를 적용한 전용 상품을 새롭게 개발
中 온-오프라인 강타…300만개 판매 돌파 행진 코스모코스(대표이사 나유정)의 대표 스테디셀러 꽃을든남자 우유바디라인이 지난 2017년 한 해 동안 중국 시장에서 300만 개 판매를 돌파, 10초당 1개씩 판매되는 기록을 세우며 높은 인기를 증명했다. 꽃을든남자 우유바디라인은 크림같이 부드러운 우유와 올리브 오일, 꿀 등 자연 유래 성분이 함유돼 수분과 영양을 균형있게 공급하고 보호막을 형성해 피부를 편안하고 촉촉하게 만들어준다. 포근한 느낌의 향으로 많은 사랑을 받아 온 코스모코스 대표 제품 중 하나다. 코스모코스 꽃을든남자 브랜드의 지난해 중국 매출은 전년보다 39% 성장했다. 사드 영향에도 왓슨스·찌아런·하오린쥐 등 오프라인 판매가 지속적인 상승곡선을 그리면서 괄목할만한 성과를 이뤘다. 해외사업을 강화하고 있는 코스모코스는 중국 온라인 대표 쇼핑몰 티몰과 징둥닷컴에도 입점해 있다. 특히 꽃을든남자 우유바디라인은 2017 티몰 뷰티 어워드에서 여성들이 좋아하는 바디케어 부분 넘버 원 상품과 퍼스널 케어 인기 상품으로 선정되는 등 중국 내에서도 높은 인기를 이어가고 있다. 코스모코스 브랜드 관계자는 “꽃을든남자 우유바디라인이 사드 영향에도 중국에서 판매 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