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 리포트 ‘글로벌 코스메틱 포커스’(UAE·사우디아라비아) 중동 시장에서 정치·경제의 중심지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아랍에미리트(UAE)와 사우디아라비아, 이제는 대한민국 화장품 수출 시장으로서의 가치도 한층 높아지고 있다. 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원장 이재란· www.kcii.re.kr ·이하 연구원)이 최근 발간한 글로벌 코스메틱 포커스 제 4호는 이들 시장에 대한 최신 트렌드와 인기상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UAE-AI(뷰티 테크)·사우디아라비아-소셜 미디어에 관심 집중 UAE 화장품 시장에서는 첨단 기술에 힘입은 뷰티 테크 시장이 지속 성장세를 보인다. 즉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AI)과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AR)기술에 기반한 뷰티 테크를 활용해 개인 맞춤형 피부 진단을 하거나 가상으로 색조 제품을 체험하는 서비스가 주목을 받고 있는 경향이 뚜렷하다. 일례로 랑콤은 스킨 스크린(Skin Screen)을 통해 피부 상태를 진단한 후 AI 알고리즘으로 맞춤형 피부 관리 방법과 제품을 추천한다. 메이크업 브랜드 리트 오가닉스(Liht Organics)는 메타버스 환경에서 아바타를 통한
국내 대표 화장품 인체적용시험 기관 (주)엘리드(대표 변경수)가 혁신 인공지능 이미지 기술(AI)로 화상분석 솔루션을 개발·제공하는 전문기업 (주)한눈에닥터(대표 구근회)와 업무협약을 맺었다. 양 사는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다양한 자동 피부진단 어플리케이션 개발과 이의 응용에 관한 공동 연구, 그리고 기술제휴에 적극 협력할 것을 약속했다. (주)엘리드와 협력하는 (주)한눈에닥터는 AI 진단과 관련해 다수의 연구개발 성과와 관련 특허 출원을 확보하고 있다. 이를 기반으로 AI 안면인식·AI 이미지 분석 기술을 이용한 피부와 탈모 진단 서비스, 피부질환과 피부노화 측정을 통해 피부 나이를 분석해 안티에이징 솔루션 제공하겠다는 구상이다. (주)한눈에닥터는 이미 이러한 솔루션 구현을 위한 AI 핵심 기술을 확보, R&D 센터와 의료 자문기구로서 국내 최정상 의료진을 네트워크로 한 자문위원회(Advisory Committee)를 운영하고 있다. 최근 들어 의료산업을 중심으로 가상현실(VR)·증강현실(AR)·혼합현실(MR)·인공지능(AI) 등 메타버스를 구성하는 필수 구성 요소 일부를 어플리케이션이과 하드웨어에 활용해 현실화하는 속도가 빠르게 진행 중이다. 로레
최근 미국의 화장품·뷰티 시장을 규정하는 트렌드 키워드는 ‘VR·AR·AI 등 첨단기술과의 융합’이, 프랑스에서는 ‘무(無) 폐기물 열풍’이 꼽혔다. 미국의 경우 미용과 첨단기술의 융합이 빠른 속도로 변화하고 있으며 오프라인 매장에 설치한 이들 기기와 모바일 앱을 통해 다양한 제품 체험이 이뤄지고 있다는 것이다. 이와 함께 프랑스의 경우에는 지난 2월에 제정한 폐기물 배출 금지법이 화장품 시장에도 상당한 수준의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됐다. 이 같은 내용은 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원장 조남권· www.kcii.re.kr )이 최근 펴낸 2020년 글로벌 코스메틱 포커스(2호: 미국·프랑스 편)를 통해 확인한 것이다. 美, 미용+첨단기술 융합 급속도로 변화 불러 현재 미국 현지 시장은 화장품·미용산업이 첨단기술과의 융합으로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는 AR(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I(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를 활용해 다양한 화장품을 간접적으로 경험하고 구매할 수 있다. 오프라인 매장에 설치한 VR, AR 기기 또는 AR과 AI 기능이 있는 모바일 앱을 통해 가상 화장품 시뮬레이션으로 다양한 메
가상·증강현실 체험 매장확대…O2O 연계한 자판기 시장도 증가 최근 가상현실을 체험할 수 있는 매장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가상화폐 등 4차 산업 관련 기술들이 소비자의 생활 속으로 빠르게 파고들기 시작했다. 특히 국내 화장품 대기업들도 4차 산업 전환에 발맞춰 이와 관련된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옴니 채널 기반 마련에 주력하고 있으며 뷰티 업계도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다양한 체험형 디지털 콘텐츠 확대와 함께 무인 판매 시스템 확장 등 4차 산업과 관련된 마케팅에 적극 나서고 있다. 일례로 상황을 가상으로 조성한 가상현실(VR)과 현실에 가상을 겹쳐 보이게 만드는 기술인 증강현실(AR)을 적용해 메이크업 제품을 직접 바르지 않고도 테스트해 볼 수 있거나 제품의 콘셉트와 특징 등을 생동감 넘치는 영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마련하고 있으며 그 범위가 해외뿐만 아니라 국내에도 확산되는 추세다. 정부에서도 내년부터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업, 지식재산권(IP)을 활용한 성장 가능 기업 등에 적극 투자할 방침이다. 이 같은 가상현실과, 증강현실, 무인 시스템 등은 이미 기업 이미지 마케팅과 함께 제품을 소비자에게 직간접적으로 소구할 수 있는 새로운 마케팅 방
사드·차이나리스크에도 ‘잘 버틴’ 한 해 H&B스토어 떠오르며 ‘10년 유통변화 주기설’ 입증 카버코리아, 3조원에 유니레버로…굵직한 M&A 눈길 ‘차이나리스크’로 시작했던 2017년 한 해가 문재인 대통령의 방중으로 막을 내린다. 진부하게 들릴 ‘다사다난했던 한 해’라는 문구가 우리나라 화장품 업계에게는 결코 진부하지 않았다. 10여 년간 중국 특수에 휘파람을 불었던 화장품 업계가 지난해말 터진 ‘사드이슈’로 우울하고 불안한 한 해를 보내야만 했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그 특수기간 동안 다졌던 체력이 좋아진 탓일까, 어렵고 힘들었던 한 해를 잘 극복했다는 칭찬을 받을 만한 능력을 보여줬다는 것 또한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각 회사마다 받아들 성적표는 차이가 있겠지만 거시적 관점에서 산업 전체를 평가한다면 ‘긍정적’인 부분이 훨씬 많은 부분을 차지할 만했고, 그래서 새해의 전망 역시 ‘맑음’에 과감한 한 표를 던지게 한다. 2017년 화장품 업계의 핫이슈를 정리하면서 희망의 새해를 기다려본다. <편집자 주> 일년 내내 ‘사드 & 차이나리스크’ 지난해 10월 중순부터 시작한 ‘사드이슈’가 해를 넘겨 이어지면서 국내 화장품 업
현실세계에 가상 물체를 겹쳐 보이는 기술인 증강현실(AR)과 상황을 가상으로 조성한 가상현실(VR) 기술이 다양한 업계에서 관심을 얻고 있다. 최근 시장 조사기관 가트너가 심포지엄·IT엑스포(ITxpo)를 통해 2017년 이후에 주목해야 할 10대 주요 전망을 발표하면서 가상현실, 증강현실과 같은 몰입형 기술이 사람들간, 또는 사람과 시스템이 소통하는 방식을 바꾸고 있으며 오는 2020년에는 1억명의 소비자가 증강현실로 쇼핑을 할 것이라고 전망하기도 했다. 생생한 증강현실 콘텐츠로 소비자들에게 이색 체험 기회 전달 뷰티 업계에도 제품을 가상으로 미리 체험할 수 있는 모바일 어플부터 증강현실 기술을 도입한 제품까지 등장하면서 고객들의 체험 및 구매를 돕는 도구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투쿨포스쿨은 국내 코스메틱 브랜드 최초로 제품에 증강현실(AR) 기술을 입혔다. 제품을 구매한 고객들이 증강현실 콘텐츠를 체험 후 이벤트에 응모하면 뉴욕 여행 패키지, 화장품 등 푸짐한 경품을 제공하는 이색 프로모션을 진행해 눈길을 끈다. ‘트위스티테일 마스카라 히든에디션’ 패키지의 전면을 증강현실 앱(서커스AR)으로 스캔하면 뉴욕의 빌딩숲을 활보하는 캐릭터의 모습이 3D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