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모레퍼시픽그룹이 지난 2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4%가 하락한 1조57억 원이었다. 영업이익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2%가 늘어난 122억 원으로 나타났다. 아모레퍼시픽그룹은 “지난 2분기 동안 국내와 중화권 매출은 하락했다. 다만 코스알엑스 실적 편입 효과로 미주와 EMEA(유럽·중동 등) 지역에서의 매출이 가파르게 증가했다”고 공시를 통해 발표했다. 국내&해외 사업 성과 주력 계열사 (주)아모레퍼시픽 국내 사업은 전년 대비 7.8% 하락한 5천119억 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면세 채널 매출 하락과 럭셔리 브랜드 판매 부진 등으로 전체 국내 매출이 떨어졌다. 마케팅 투자 확대와 데일리뷰티 부문의 적자 전환이 겹쳐 국내 영업이익은 59% 줄었다. 주요 브랜드 중에서는 라네즈·헤라·에스트라·일리윤·라보에이치 등이 멀티 브랜드 숍(MBS)과 국내 이커머스를 중심으로 선전했다고 밝혔다. 해외 사업은 중화권 부진에도 미주와 EMEA, 기타 아시아 지역의 선전에 힘입어 전년 동기 대비 2.5% 증가한 3천815억 원의 매출을 올렸다. 코스알엑스 실적 편입 효과 등으로 영업이익도 흑자 전환했다. 중화권의 경우 중국 법인의 지속가능한 비즈니스와 안정적
화장품 OGM(Original Global standard and Good Manufacturing) 전문 기업을 표방하는 코스메카코리아(대표 조임래·박은희)와 잉글우드랩(대표이사 조현철) 모두 지난 2분기 경영실적에서 괄목할 만한 성과를 올린 것으로 나타났다. 코스메카코리아는 지난 9일 “연결 기준 2분기 △ 매출 1천157억 원 △ 영업이익 112억 원 △ 당기순이익 86억 원의 실적을 달성했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미국 소재 화장품 연구개발·제조생산 기업 잉글우드랩(대표이사 조현철)은 역시 “연결 기준 지난 2분기 매출은 493억 원, 영업이익 62억 원, 그리고 당기순이익 51억 원의 실적을 올렸다”고 공시했다. 코스메카코리아 지난 2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 1천4억 원 보다 15.2% 증가한 1천157억 원, 영업이익은 같은 기간 31억 원에서 264.7% 늘어난 112억 원이다. 영업이익률은 9.7%로 전년 같은 기간의 3.0% 대비 6.7% 포인트 증가했다. 회사 관계자는 “올해 2분기는 한국·미국법인의 고객사 포트폴리오 변화와 프로덕트 믹스 개선으로 수익성을 개선했다”며 “특히 미국·스위스·독일 등 해외 고객사를 대상으로 자사 처방 고부가가치
LG생활건강·아모레퍼시픽G·아모레, 전 지표에서 마이너스 성장 3분기와 1-3분기 누적 매출 실적에서 가장 큰 충격파는 역시 부동의 1~3위 자리를 지키고 있는 LG생활건강과 아모레퍼시픽그룹, 아모레퍼시픽 3강의 예외없는 마이너스 성장이다. LG생활건강은 지난 3분기 매출이 1조8천703억 원을 기록, 전년 같은 기간의 2조103억 원보다 7%가 줄었다. 3분기까지의 누적 매출 하락 폭은 이보다 더 큰 -11.4%(5조3천780억 원)를 기록했다. 이는 지난 상반기까지의 -13.6%보다는 그 하락 폭을 줄였다고는 하나 3분기 동안 특별한 반등의 기회를 만들지 못했다는 점에서 더 큰 우려를 낳고 있다. 아모레퍼시픽그룹과 아모레퍼시픽의 매출 실적도 부진하기는 마찬가지다. 3분기 중 아모레퍼시픽그룹은 전년 같은 기간보다 15.9% 줄어든 1조218억 원 매출액에 그쳤고 1-3분기 누적 매출도 15.2%가 감소한 3조3천110억 원에 머물렀다. 아모레퍼시픽의 경우에는 3분기 동안 15.6%가 감소해 9천364억 원에 머물렀고 1-3분기 누적 매출은 3조472억 원으로 13.9%가 줄며 3조 원 매출을 겨우 넘겼다. 상위 3사의 이러한 부진 상황 속에서도 200억 원
지난 3분기 동안 전년 같은 기간보다 매출 성장을 시현한 곳은 분석 대상 85곳 가운데 53곳, 감소한 곳은 32곳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 상반기 매출성장을 이룬 43곳보다는 10곳이 많은 숫자지만 LG생활건강을 포함해 아모레퍼시픽그룹, 아모레퍼시픽 등 3곳 모두가 △ 3분기 매출은 물론 1-3분기 누적 매출 △ 3분기·1-3분기 누적 영업이익 △ 3분기·1-3분기 누적 당기순이익에 이르기까지 지표 전 부문에서 전년 같은 기간에 비해 마이너스 성장에 그치는 등 상위 기업의 실적이 크게 부진했다는 점에서 산업 전체의 위기감은 점차 고조되는 양상을 나타내고 있다. 코스모닝이 11월 18일 현재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3분기 사업보고서를 제출한 기업 85곳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올해 3분기 누적 매출 부문에서 성장을 한 기업은 모두 69곳이었으며 나머지 16곳은 역신장에 머물렀다. 3분기 영업이익 부문에서는 50곳이 흑자(증가 21곳·감소 17곳·흑자전환 12곳) 상황이었으며 나머지 35곳은 적자(적자전환 7곳·적자지속 16곳·적자확대 12곳) 상태에 놓여 있다. 1-3분기 누적 영업이익 역시 동일한 숫자로 50곳은 흑자(증가 19곳·감소 24곳·흑자전환
코스모닝이 지난 15일까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을 통해 지난 2021년 사업·감사보고서를 제출한 기업 210곳의 경영지표를 추가로 분석했다. 지난 분석에서 일부 누락됐던 기업과 매출액 400억 원대 미만 기업(이엔코퍼레이션(1천683억 원)·신안피앤씨(604억 원)·엘앤씨바이오(457억 원) 포함·이상 괄호 안은 매출액) 211곳 가운데 지난 한 해 매출액이 증가한 곳은 102곳, 감소한 곳은 107곳으로 나타났다. (씨앤팜의 경우 2020년 매출이 0원, 2021년 매출을 8억 원으로 신고했기 때문에 증가·감소 부문에서는 제외) 감소한 기업이 5곳이 더 많았다. 상위권 기업을 중심으로 했던 지난 분석에 비해 확연한 차이가 드러나는 대목이다. 당시에는 매출 증가를 기록한 기업이 44곳이 더 많았다. (증가 122곳, 감소 78곳) 이들 세 곳을 제외하고 매출 300억 원대 기업은 12곳이었다. △ 200억 원대 기업은 54곳 △ 100억 원대 기업은 89곳 △ 50억원 이상 100억 원 미만은 39곳 △ 50억 원 미만은 13곳이었던 것으로 집계됐다. 100억 원 대에서 200억 원 대 기업이 143곳으로 가장 두터운 층을 형성하고 있다는 의미다. ◇ 화
최고 이슈메이커는 ‘가히멀티밤’ 들고 2500억 넘긴 코리아테크 일년 만에 32위까지 치고 올라…청담글로벌·코스알엑스·에스크컴퍼니 등도 화제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지난 2년 여를 악전고투했던 국내 화장품 기업들의 지난해 경영실적은 당초 우려했던 ‘최악’의 상황을 면했다는 점에서 위안으로 삼을 수준이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코스모닝이 지난 8일까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을 통해 사업보고서와 감사보고서를 제출한 화장품 기업 200곳을 우선 대상으로 지난해 매출액·영업이익·당기순이익 등 세 가지 지표를 집계한 결과 매출이 증가한 기업은 122곳, 영업이익이 적자인 기업이 46곳, 그리고 당기순이익이 적자 상황에 놓인 기업은 이보다 7곳이 더 많은 53곳으로 나타났다. 그렇지만 국내 화장품 업계의 ‘영원한 기형 구조’(?)라고 할 상위기업 편중 현상은 여전했다. 즉 매출액 2천억 원 이상을 기록한 41곳의 기업 가운데서 영업이익이 적자인 곳은 두 곳에 불과했고 당기순이익 적자는 그나마 단 한 곳이었던 반면 중하위권 그룹으로 내려갈수록 적자상황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는 것. 이는 매출액이 높은 상위권 기업일수록 위기 상황에 대해 탄력성있는 대응책으로 위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어느 정도 실적 부진을 예상하긴 했지만 꽤 큰 충격이다. 코스모닝이 지난 10일까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을 통해 2020년 사업보고서·감사보고서를 제출한 화장품 기업 150곳의 주요 경영지표(매출액·영업이익·당기순이익)를 집계·분석한 결과 지난 한 해 동안 매출성장을 시현한 기업은 64곳이었으며 나머지 86곳은 마이너스 성장에 그쳤던 것으로 나타났다. 매출 성장은 차치하더라고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 부문에서는 경영 상태 악화가 더 심화하고 있다는 점이 여실히 드러나 K-뷰티산업의 위기설이 단순한 ‘설’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현실로 다가오고 있다는 지적이다. 분석에 의하면 지난 한 해 1조원 이상의 매출을 시현한 기업은 LG생활건강을 위시해 아모레퍼시픽그룹·아모레퍼시픽·한국바스프·씨제이올리브영·코스맥스·신세계인터내셔날·한국콜마·동원시스템즈 등 모두 9곳이었다. 이 가운데 한국바스프와 신세계인터내셔날·동원시스템즈 등 화장품 연관 기업 세 곳을 제외하면 실제로는 6곳이 이에 해당한다고 보는 것이 다. △ 5천억 원~9천억 원이 8곳 △ 3천억 원~4천억 원이 7곳 △ 2천억 원 대가 8곳 △ 1천억 원 대 매출을 기록한 기업은 22곳이었으며
예상은 크게 빗나가지 않았다. 1분기보다 2분기가, 상반기보다 하반기에 경영실적이 악화될 가능성이 높다는 전망이, 불행하게도 그대로 맞아 떨어지고 말았다. 지난 1분기 화장품 주요기업 80곳 가운데 매출 성장을 시현한 곳은 39곳이었으나 상반기(82곳) 누적 결과는 이보다 5곳이 더 줄어들어 34곳 만이 성장했다. 48곳은 마이너스 성장이다.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에서 적자상태(전환·지속·확대)는 동일한 33곳이었다. 1분기에 각각 35곳, 32곳이었던 것이 영업이익 적자를 기록한 2곳이 줄고, 당기순이익 적자에 그친 기업은 1곳이 늘었다. 상반기 동안 2천억 원 이상의 매출을 기록한 기업은 12곳이었으며 8곳은 1천억 원 이상의 매출을 올렸다. 21위부터 30위까지 정확하게 10곳의 기업이 500억 원대 이상의 매출을, 11곳은 400억 원대의 매출을 기록했다. 300억 원대와 200억 원대 매출은 동일하게 각각 6곳이었으며 13곳의 기업은 100억 원대의 매출을 보였다. 코스모닝이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을 통해 경영실적을 보고한 82곳의 화장품(관련) 기업의 상반기 실적을 분석한 결과다. 매출, 상위 10곳 중 5곳은 성장 ‘위안’ 분석 대상 82곳 기업
2019년 3분기 화장품기업 71곳 경영실적 분석 지난 3분기 경영실적 지표 가운데 영업이익 부문에서 가장 돋보였던 곳은 지난 2년 여 동안 부진이 이어졌던 아모레퍼시픽그룹과 아모레퍼시픽이었다. 아모레퍼시픽그룹의 영업이익은 1천205억 원으로 42.0%, 아모레퍼시픽은 1천75억 원으로 41.0%의 성장을 시현하며 반전의 발판을 마련했다. 이와 함께 한국콜마가 전년 같은 기간보다 160%나 성장한 202억 원을 기록, 상위 13곳의 기업 가운데 최고의 성장률을 달성했다. 이외에도 △ 연우 60억 원(271.2%) △ 한농화성 41억 원(174.0%) △ 에이피알 16억 원(324.5%) △ 원익 9억 원(218.9%) △ 보령메디앙스 11억 원(101.4%) △ 케이씨아이 39억 원(87.1%) △ 세화피앤씨 11억 원(1,880.3%) 등의 영업이익을 보였다. 3천118억 원의 영업이익을 달성한 LG생활건강의 성장률은 12.0%였다. 그러나 이 같은 기록적인 성장률을 기록한 기업들의 대부분은 지난해 같은 기간 실적 부진에 의한 기저효과를 본 것이다. 다만 네오팜 만이 46.5%의 성장률에 51억 원의 영업이익을 일궈내 가장 견실한 성장세를 이어갔다. 지난해
2019년 상반기동안 주요 화장품 기업들의 매출은 상위권기업들이 전체적인 성장을 이끌기는 했지만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이 하락한 기업이 조사대상76곳 가운데 절반 이상이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2018년 상반기, 2019년 1분기에 이어올해 상반기 역시 이전 지표보다 매출은 올랐지만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이 하락하며 기업 수익성은 악화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함께2018년 상반기,지난 1분기 경영실적보다상반기 경영지표에서 매출이 하락한 기업의 숫자는 더 늘어났다. 이는 세계 경제를 이끌고 있는 미국과 중국이지난해 7월 이후 계속하고 있는 무역전쟁으로 인해세계 경제가 위축이 되면서그 영향권을 벗어나기에는 역부족이었다는 분석이다. 상반기 경영실적에 반영되지는 않았지만3분기 경영실적에는 지난7월부터 시작한 한국과 일본의 경제전쟁의 여파로 경제 지표 전 부문의하락세 역시 피하기 어렵다는 전망이다. 경영실적 하락기업의 수, 꾸준히 증가세 보여 코스모닝이 8월 14일 현재까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DART)에 감사보고서를 제출한 국내 주요 화장품 기업 76곳의올 상반기 경영실적을 분석했다. 그 결과 지난 2018년 상반기 보다 매출이 상승한 기
전년 대비 매출 상승 39곳‧하락 16곳 브랜드숍 매출 급감…제조‧원료‧용기 기업 매출 증가 지난 4월 4일 기준 화장품 132社 경영실적 조사‧분석에 이어 본지는 4월 11일 현재까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DART)에 감사보고서를 제출한 국내 주요 화장품 기업 55社의 2018년 경영실적을 조사‧분석했다. 추가 발표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대부분 브랜드숍의 경우 매출액과 영업이익, 당기순이익이 모두 큰 폭으로 하락한 반면 많은 제조사와 원료, 용기, 부자재 기업의 매출이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번 55社 경영실적 자료에 따르면 39곳 기업의 매출이 상승한 반면 16곳 기업은 매출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업이익 부문에서 적자를 기록한 기업은 17곳이었으며 당기순이익 부문에서 적자를 본 기업은 1곳이었다. 반면 적자에서 흑자로 돌아선 기업은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 부문 각각 4곳으로 나타났다. H&B숍 뜨고 브랜드숍 지고 먼저 씨제이올리브네트웍스는 2017년 1조8천227억 원보다 2천612억4천800만 원 증가한 2조840억800만 원을 기록하며 2조 클럽에 새롭게 이름을 올리고 매출 순위에서 LG생활건강, 아모레퍼시픽그룹, 아모
CJ헬스케어 인수로 전 부문 상승세…영업이익 425억 시현 한국콜마(대표 윤상현) 상반기 연결 기준 매출이 화장품부문의 성장과 올 4월 인수한 CJ헬스케어의 매출 연결로 전년 동기 대비 47.5% 증가한 6천25억 원을 기록했다. 영업이익은 425억원(전년 동기대비 13.0% 성장·이하 ( )안은 전년 동기대비 성장률)을 시현했다. 2분기 연결 매출은 3천600억 원(73.8%), 영업이익은 245억 원(44.1%)이었다. 사업회사별로는 △ 한국콜마가 상반기 매출 4천543억 원(33.4%)·영업이익 394억 원(20.1%) △ 북경콜마는 상반기 매출 375억 원(50%) △ CJ헬스케어 인수목적 회사 CKM은 매출 801억 원을 기록했다. 상반기 매출의 고성장 배경은 화장품 부문의 경우 여름철 자외선차단제 매출 증가와 주요 대형 거래처의 매출 성장이 주효했다. 제약부문은 기존 수탁 제품의 안정적 성장이 매출 성장을 견인했으며 지난 4월에 인수한 CJ헬스케어의 매출도 5월부터 포함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