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장품 전문 OGM기업 코스메카코리아(대표이사 조임래)는 지난 3분기 동안 연결 기준 △ 매출액 1천266억 원 △ 영업이익 152억 원 △ 당기순이익 86억 원의 실적을 달성했다고 밝혔다. 전년 동기 대비 △ 매출 8.8% 증가 △ 영업이익 11.0% 증가 △ 당기순이익 27.3% 감소와 함께 영업이익률은 12.0%를 기록했다. 잉글우드랩(대표이사 조현철)의 경우 올해 3분기 연결 실적을 잠정 집계한 결과 △ 매출 411억 원 △ 영업이익 41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24.4%, 영업이익은 55.5% 줄어들었다. 코스메카코리아, K-뷰티 성장 기여 코스메카코리아 관계자는 “지난 2019년 완공한 선제형 생산능력(CAPA)과 연구개발 부문 지속 투자를 통해 기존 고객사들의 제품 라인업 확장, 새 고객사들의 신제품 출시를 적극 지원하고 있다”며 “이러한 노력은 최근 미국·유럽 등 글로벌 시장에서 입지를 강화하고 있는 K-뷰티 브랜드의 성장 기여했으며 이는 당사의 OGM(Original Global Standard and Good Manufacturing) 서비스가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는 의미”라고 자평했다. 한국법인 3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4
2024년 1분기 화장품 기업 89사 경영실적 분석 올해 1분기를 마무리하는 과정에서 국내 화장품 업계는 한국콜마·코스맥스·코스메카코리아·씨앤씨인터내셔널 등의 OEM·ODM 전문기업이 이끌고 △ 실리콘투(플랫폼) △ 에이피알·클리오·(주)브이티·아이패밀리에스씨(브랜드) 등이 동반 상승하는 양상을 뚜렷하게 보여줬다. 코스모닝이 지난 18일까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을 통해 1분기 보고서를 제출한 89곳의 국내 화장품·뷰티 기업(관련 기업 포함)의 해당 기간 매출액·영업이익·당기순이익 등 주요 지표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 매출 성장 58곳·감소 31곳 △ 영업이익 흑자 59곳·적자 30곳 △ 당기순이익 흑자 56곳·적자 33곳으로 나타났다. 특히 LG생활건강과 아모레퍼시픽(그룹), 투 톱 기업이 ‘매출 정체·영업이익 개선 조짐’이라는 조정 국면에 접어든데 반해 한국콜마·코스맥스·코스메카코리아·씨앤씨인터내셔널 등을 앞세운 OEM·ODM 전문기업들은 주요 지표에서 괄목할 만한 성장세를 구가했다. 여기에 글로벌 플랫폼 기업으로서 가공할 성장을 일궈가고 있는 실리콘투와 수출 다변화를 견인하고 있는 인디 브랜드 기업과 기존 중견 브랜드 기업들의 성장 또한 주목할 만
잉글우드랩이 공시를 통해 지난해 매출 2천68억 원과 영업이익 289억 원, 당기순이익 207억 원(이상 연결 재무제표 기준)을 달성했다고 밝혔다. 잉글우드랩이 이같은 지난해 경영실적 지표는 창사 이래 최고를 기록한 것이다. 지난해 매출액은 2022년 1천515억 원보다 36.5%가 증가한 수치다. 얼타를 중심으로 미국 현지 MBS(멀티 브랜드 스토어) 매장 수 증가와 함께 미국 인디 브랜드사의 수주가 증가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특히 스킨케어 제품의 대량 수주가 이를 견인했다. 영업이익은 2022년 99억 원 대비 192.0% 성장한 289억 원으로 영업이익률은 14.0%에 달한다. 전년 6.5% 대비 7.4% 포인트 증가했다. 당기순이익의 경우 직전 연도 73억 원보다 185.5% 증가한 207억 원을 달성했다. 잉글우드랩 본사는 미국 프레스티지 브랜드사 화장품과 OTC 화장품 영업을, 자회사 잉글우드랩코리아는 미국 인디 브랜드사 영업을 주력으로 삼는다. 잉글우드랩 관계자는 “기존 클린뷰티 콘셉트의 스킨케어 제품 레퍼런스를 통해 신규 인디 브랜드사를 발굴하고 이를 통해 매출 성장을 이어나갈 것이며 OTC 제품 포트폴리오와 오프더셀프 OTC(기성제품) 품
2023년 1분기 화장품·뷰티 기업 89곳 경영실적 분석 지난 1분기 동안 89곳의 화장품·뷰티 기업 가운데 전년 같은 기간대비 매출액이 성장한 곳은 52곳, 하락한 기업은 37곳으로 나타났다. 이 기간 동안 1조 원 이상의 매출을 기록한 기업은 LG생활건강과 아모레퍼시픽그룹 등 2곳이었으며 9천억 원 대는 아모레퍼시픽 1곳으로 나타났다. 1분기 매출액이 1천억 원 이상이었던 기업은 모두 15곳이었다. 이 같은 내용은 코스모닝이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을 통해 1분기 사업·감사보고서를 제출한 화장품·뷰티·연관기업 89곳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확인한 것으로 6월 3일 현재 기준이다. ■ 1분기 매출액: 10% 이상 성장 기업 38곳…22곳은 30% 넘는 매출 성장 1조 원 매출을 넘긴 두 곳의 기업 가운데 LG생활건강(1조6천837억 원)은 이 기간 매출액이 2.4% 소폭 성장했으나 아모레퍼시픽그룹은 20.1%가 줄어든 1조92억 원에 그쳐 대조를 이뤘다. LG생활건강의 실적에 대해 호평할 수는 없지만 아모레퍼시픽그룹의 하락세에 비하면 선방한 수준이라는 평이다. 아모레퍼시픽 역시 이 기간 21.6%의 하락률을 보이면서 9천137억 원을 기록하는데 머물렀다. 이
2022년 화장품·뷰티 기업 403곳 경영실적 분석 화장품·뷰티 기업, 그리고 관련 용기·부자재·원료·건설·기계·임상시험·컨설팅 기관 등 모두 403곳의 지난해 경영실적 성적표가 나왔다. 코스모닝이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을 통해 지난 달 29일까지 사업·감사보고서를 신고한 기업 403곳의 지난해 매출액·영업이익·당기순이익 등 주요 성장성 지표 3개와 자본·부채·부채비율 등 주요 안정성 지표를 분석한 결과 분석 대상 403곳 가운데 2021년보다 매출 성장을 이룬 기업은 234곳(58.1%)이었으며 감소한 기업은 169곳(41.9%)으로 나타났다. 또 영업이익이 흑자(흑자전환 포함)인 기업은 전체의 66.5%에 해당하는 268곳이었다. 당기순이익에서 흑자(흑자전환 포함)를 기록한 기업은 이보다 6곳이 적은 262곳(65.0%)으로 집계됐다. 2022년 경영실적 분석대상 기업 403곳은 전년도 분석 대상 기업 416곳에 비해 13곳이 줄어든 수치다. 이는 사업·감사보고 의무가 없는 기업이 각 사의 사정에 따라 집계일 기준(2023년 5월 29일)까지 보고하지 않은 곳이 21곳이었고 2022년 경영실적부터 새롭게 보고를 시작한 기업이 추가됐기 때문에 생긴 변동이
영업이익·당기순이익 지표 역시 ‘빨간불’ 미원·한농·대봉·선진·KCI·클리오·한국화장품제조, 돋보이는 성과 탈출구가 보이지 않으니 한숨은 깊어지고, 또 길어진다. 상반기 화장품·뷰티 기업의 매출·영업이익·당기순이익 등 주요 경영실적 지표가 부진을 면치 못했다. 일정 수준의 부진은 예상은 했으나 그 전망치보다 심각한 수준의 결과를 받아들었다. 코스모닝이 8월 20일 현재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을 통해 상반기 사업보고서를 제출한 화장품·뷰티 기업 85곳을 대상으로 매출액과 영업이익, 당기순이익 등을 분석한 결과 이 기간 동안 매출액이 성장한 기업은 43곳이었다. 또 영업이익이 전년 같은 기간보다 증가한 곳은 23곳에 불과했다. 당기순이익 증가 기업도 24곳으로 집계됐다. 반면 적자는 면했으나 영업이익이 지난해 상반기 실적보다 감소한 곳은 26곳이었다. 적자상태(적자전환·적자지속·적자확대)에 머물고 있는 기업은 이보다 10곳이 더 많은 36곳이나 됐다. 당기순이익 부문도 크게 다르지 않은 양상이다. 당기순이익 지표에서 전년 동기보다 감소한 곳은 27곳, 적자인 기업은 34곳에 이르렀다. <2022년 상반기 화장품 기업 85곳 경영실적 지표: 아래 첨부문서
대봉·선진·KCI 등 원료기업 성장세 두드러져 영업이익 35곳·당기순이익 38곳이 적자 상황…흑자라도 절반 이상은 역신장 지난 1분기 동안 83곳에 이르는 화장품 기업들 가운데 매출 성장을 구현한 기업은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41곳에 그쳤다. 나머지 42곳은 마이너스 성장이었다. 특히 지난해 4분기와 올해 1분기, 2분기 연속 매출액·영업이익·당기순이익에서 역신장을 기록한 LG생활건강을 포함해 1천억 원 이상의 매출액을 기록한 13곳 가운데 6곳이 전년 같은 기간보다 매출이 줄어들었다.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 지표 역시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즉 영업이익에서 흑자를 기록한 기업은 48곳이었으나 성장한 곳은 18곳에 그쳤고 흑자전환에 성공한 기업도 6곳 뿐이었다. 24곳은 흑자 상황이지만 영업이익 마이너스 성장이었으며 35곳의 기업은 적자에 머물렀다. 당기순이익 부문도 크게 다르지 않았다. 적자가 38곳, 흑자가 45곳이지만 흑자전환에 성공한 4곳을 제외하고 당기순이익 성장을 이룬 곳은 12곳이었다. 이같은 내용은 코스모닝이 지난 6일까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을 통해 1분기 사업보고서를 제출한 화장품 기업 83곳의 경영실적 지표 가운데 매출액과 영업이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