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시장에 대한 수출 비중이 급속하게 하락하면서 그 중요성이 확대일로에 있는 미국 화장품 시장. 특히 인디 브랜드를 중심으로 시장 침투가 빠르게 이어지면서 이제는 더 이상 ‘못 올라갈 나무’가 아닌 ‘필수 전략 시장’으로 그 위상까지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지난해 연간 수출 실적 12억 달러를 돌파하고 점유율도 14.3%까지 끌어올린 미국 화장품 시장은, 따라서 앞으로 대한민국 화장품 수출과 수출 기업에게는 높은 가치를 가질 수밖에 없다. 미국 전역을 순회하면서 열리는 ‘2024 IECSC·IBS 미용 박람회-라스베이거스’가 지난 22일 라스베이거스 컨벤션센터에서 화려한 개막 팡파르를 울렸다. 스파·살롱·에스테틱 카테고리에 특화한 전시회인만큼 많은 해당 부문 실무·관계자들이 참관객으로 전시장을 방문하는 케이스가 대부분이다. 동시에 부스를 열고 참가한 기업들은 끊임없이 이루어지는 미팅을 통해 효율성 높은 비즈니스 기회를 창출하고 있다는 평가를 얻고 있다. IECSC·IBS 라스베이거스 한국관 단독 주관사 (주)코이코(대표 김성수)는 “한국관에는 메디상스·(주)닥터오레고닌·아이엔지알·파켓·기베스트·코스비즈인터내셔날·원트릴리온·슈요니·제니모리·다보르·에스알바이
오는 7월 12일부터 14일까지 사흘 간 미국 라스베이거스 컨벤션센터(LVCC)에서 열리는 ‘북미 코스모프로프 2022’(Cosmoprof North America 2022)에 참가하는 국제뷰티산업교역협회(이사장 윤주택·이하 IBITA) 주관 한국관에 대한 현지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지난해 코로나19 상황을 뚫고 국내 30여곳 기업과 함께 한국관을 구성, 전시회에 참가했던 윤주택 IBITA 이사장은 이번 전시회와 관련해 “올해 북미 코스모프로프에서도 GCC(글로벌코스메틱 클러스터) 19국가 대표단과 함께 ‘Mission North America 2022’ 개최를 포함해 다양한 프로그램을 준비해 IBITA 한국관에 참가하는 기업에게 각 국가 대표단과의 교류, 바이어 정보·무역 실무협상 등 전방위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주최 측 발표에 따르면 올해 북미 코스모프로프에는 약 5만 명 이상의 참관객과 1천여 곳에 이르는 전시업체가 참가할 것으로 예상한다. 매년 혁신성에 기반한 독창성을 강조한 브랜드와 제품을 포함해 유통·패키지(포장)·제조 등 전체 공급망을 개선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전시회로서 명성을 높여온 북미 코스모프로프는 올해에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