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①편에 이어 계속> 지난해 우리나라의 화장품 수출은 분석기간 처음으로 마이너스 성장에 그쳤다. 수출액은 감소하였으나 여전히 높은 중국 의존도를 보이고 있는 특성을 나타냈다. 2022년 화장품 수출액은 79억8천377만 달러였으며 최대 수출국은 중국이었다. 수출 실적은 36억2천280만 달러로 압도세를 보였고 △ 미국 8억4천470만 달러 △ 일본 7억4천682만 달러 △ 홍콩 3억9억489만 달러 △ 베트남 3억7천615만 달러로 뒤를 이었다. 최근 5년 간 수출규모가 크게 증가한 국가로는 △ 중국 9억4천587만 달러 △ 일본 4억4천274만 달러 △ 미국 3억14만 달러 △ 베트남 2억637만 달러 △ 러시아연방 1억2천827만 달러 등이었다. 우리나라의 유형별 화장품 수출은 기초화장용‧메이크업·기타 카테고리가 압도적으로 우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각 유형별 차이도 크게 나타났다. 지난해 유형별 화장품 수출액을 보면 기초화장용‧메이크업·기타 유형이 61억2천575만 달러로 2위 품목의 10배 규모다. △ 탈모제·마스크팩·기타 유형 6억1천185만 달러 △ 피부세척용 유기계면활성제품류 2억4천877만 달러 △ 아이섀도·기타 유형 2억2천588만 달
그동안 우리나라 화장품 산업의 글로벌 수출 순위와 주요 수출국에 대한 관심에서 벗어나 화장품 수출 강국의 수출 구조와 특성을 분석하고 우리나라와의 비교를 통해 대한민국 화장품 수출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거시 관점의 보고서가 나왔다. 피부기반기술개발사업단(사업단장 황재성·이하 사업단)은 중장기 차원의 화장품 수출전략 마련을 위해 필요한 여러 정보 가운데 하나로 한국과 수출 경쟁상황에 놓여 있는 주요 10국가의 수출구조를 다각도로 분석한 보고서를 발표했다. 리포트는 “지난 2010년대 이후 초고속 성장을 해오던 우리나라 화장품 산업은 2022년 전년 대비 마이너스 실적을 기록한 후 올해 들어서도 전반기 6개월 동안 전년 대비 0.3% 성장(산업통상자원부 집계로는 0.6%·집계 기준과 일부 품목 분류 등의 차이로 발생할 수 있음)에 그치는 등 위기가 지속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보고서 기준: 2023년 1~6월 화장품 수출실적 누계: 40억8천300만 달러/ 2022년 1~6월 화장품 수출실적 누계: 40억6천900만 달러/ 성장률 0.3%) 이와 함께 “문제는 현 상황에서 화장품 수출의 증가나 산업의 회복이 이루어질 것이라는 명확한 징조가 보이지
샴푸바 가격이 최대 5.4배 차이나는 것으로 조사됐다. 샴푸바 별 세정력이 달라 두피‧모발 상태에 따라 선택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샴푸바 사용 만족도는 평균 5.5점(9점 척도)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소비자원이 샴푸바 10개의 품질과 안전성을 시험 평가했다. 샴푸바의 △ 세정력 △ 거품 발생량 △ 중금속 함유 여부 △ 알레르기 유발 성분 △ pH 수치 △ 가격 등이다. 러쉬‧아로마티카‧톤28 세정력 우수 조사 대상 제품은 소비자 선호도가 높은 △ 닥터그루트 ‘힘없는 모발용 두피 스케일링 샴푸바’ △ 동구밭 ‘바른 샴푸바’(중건성용) △ 러쉬 ‘뉴’ △ 록시땅 ‘젠틀 & 밸런스 솔리드 샴푸’ △ 린넨앤키친 ‘수분가득 약산성 샴푸바’ △ 아로마티카 ‘티트리 퓨리파잉 샴푸 바’ △ 아이소이 ‘닥터루츠 비어-틴 샴푸 바’ △ 제이숲 ‘딥그린제이 유근피 샴푸바’ △ 쿤달 ‘미네랄 머드 딥 클렌징 샴푸바 프렌치라벤더’ △ 톤28 ‘S19’ 등 10개이다. 세정력 평가에서는 △ 러쉬 뉴 △ 아로마티카 티트리 퓨리파잉 샴푸 바 △ 톤28 S19 등이 ‘매우 높음’으로 나왔다. 세정력과 개인별 두피‧모발 상태를 고려해 제품을 선택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아울러
(재)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원장 이재란· www.kcii.re.kr ·이하 연구원)의 국내 중소 화장품 기업의 수출 다변화를 위한 다양한 노력과 움직임이 하반기에 접어들어서도 이어지고 있다. 연구원은 지난 11일, 최근 K-뷰티에 대한 관심과 확산이 두드러지고 있는 일본 진출을 목표로 하는 국내 화장품 기업 관계·실무자를 대상으로 일본 화장품 시장 정보 제공을 중심으로 구성한 ‘일본 화장품 시장 진출 지원 세미나’를 개최했다. △ 일본 화장품 규정의 이해 △ 일본 화장품 시장 트렌드(글로벌 코스메틱 포커스 중심) △ 일본 시장 유통 환경(오프라인 중심) △ 아마존 일본 뷰티 카테고리 트렌드·마켓플레이스 진출 전략 △ 일본 소비자 선호 제품·제형 조사 결과 등의 내용을 공유하는 한편 실질 업무와 연계할 수 있는 방안 제시에도 역점을 뒀다. 라벨링·표시·광고 등에서 잦은 실수 줄여야 ‘일본 화장품 규정의 이해’(CIRS 성수아 책임) 발표에서는 일본 화장품 시장에 대한 전체적인 이해를 돕기 위한 내용을 중심으로 일본 화장품 규정을 국내 규정과 비교 설명하는데 주력했다. 특히 라벨링과 표시·광고와 관련해 한국 기업이 자주 실수를 범하는 부분을 위주로 강의를 진행했다
글로벌 코스메틱 포커스-인도·대만 편 우리나라 화장품 수출 대상국 가운데 항상 톱10에 위치해 있는 대만은, 그렇지만 올해 5월까지 누적 실적을 기준으로 보면 전년 같은 기간 대비 5.5%가 감소한 7천884만 달러로 8위에 머물렀다. 점유율은 2.4%. 지난해에는 태국보다 한 단계 위인 7위였으나 올해에는 순위가 바뀌었다. 인도의 경우에는 대만과 격차가 크기는 하지만 지난 5월까지의 누적 수출실적은 전년 같은 기간보다 14.5%가 늘어났다. 2022년 5월까지 1천339만 달러(점유율 0.4%)였으나 올해 5월까지의 누적 수출액은 1천532만 달러였다. 하지만 순위는 지난해 24위에서 올해 28위로 오히려 4계단 하락했다. 이들 두 국가의 최신 화장품 시장의 트렌드와 인기 제품, 채널 등을 조망한 ‘글로벌 코스메틱 포커스’를 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원장 이재란· www.kcii.re.kr ·이하 연구원)이 발간했다. 시장 트렌드 개황: 인도-두피 건강·대만-모공 케어 제품에 관심 최근 인도 소비자 사이에서 나타나고 있는 뚜렷한 경향은 건강한 두피 관리를 통해 헤어케어를 추구하고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인도 전통 의학 아유르베다(Ayurveda)는 따뜻한 오
△ 고효율 키워드 선점 △ 롱테일 키워드 발굴 △ 외부 트래픽 높이기 △ 리뷰‧평점 쌓기 △ 현지 인플루언서와 협업. 아마존 프라임 데이에 K-뷰티가 매출을 올린 비결이다. 데이지크‧롬앤‧LG생활건강 등이 키워드와 트래픽으로 승부를 봤다. 공을 들이고 전략적 접근했다. 키워드로 제품을 알리고 마케팅으로 소비자를 락인했다. ‘프라임 데이 2023’은 이달 11일부터 12일까지 이틀 동안 열린 쇼핑 행사다. 아마존 유료 멤버십 회원을 대상으로 진행했다. 프라임 데이 실적은 미국의 소비 수요와 쇼핑 패턴을 반영한다. 아마존 주가에 영향을 미칠 정도로 중시된다. 이 기간 아마존 프라임 회원은 할인 딜을 통해 상품 약 3억 7천 5백만 개를 구매했다. K-뷰티 브랜드는 안정적인 매출 성장세를 기록했다. 데이지크, 일 평균 대비 매출 3300% 증가 메이크업 브랜드 데이지크(dasique)는 아마존 신규 입점 브랜드다. 트래픽 확보와 인지도 개선을 목표로 이번 프라임 데이에 참여했다. 데이지크는 프라임 데이에서 일 평균보다 3300% 높은 매출을 올렸다. 광고비 대비 매출액(ROAS)은 한 주 전에 비해 세배 이상 높았다. 서주희 데이지크 해외사업부 과장은 “론칭 시점
올리브영이 온라인몰에 프리미엄 화장품 전문관을 만든다. 올리브영 럭스에디트(Luxe Edit)에 프리미엄 브랜드를 모아 판매한다. 신진 브랜드 7개를 포함해 프리미엄 브랜드 총 34개를 만날 수 있다. 대표 브랜드는 △ 할리우드 헤어아티스트 브랜드 ‘필립비’ △ 미국 헤어케어 브랜드 ‘올라플렉스’ △ 정샘물의 비건 스킨케어 브랜드 ‘비긴스’ 등이다. 올리브영은 국내외 뷰티시장에서 떠오르는 고급 브랜드를 발빠르게 소개할 전략이다. 기초‧ 색조‧헤어‧향수 등 다양한 품목에 걸쳐 신규 브랜드를 영입한다. 아울러 올리브영 주요 대형 매장에 럭스에디트 특화존을 마련한다. 소비자에게 프리미엄 브랜드를 한 자리에 제시해 쇼핑 편의성을 높인다는 목표다. 올리브영 관계자는 “2021년부터 2022년까지 최근 2년 동안 올리브영 내 프리미엄 화장품 매출이 연 평균 36% 성장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최근 MZ세대가 명품시장의 큰 손으로 떠올랐다. 이들에게 고품격 프리미엄 브랜드를 선보일 전략”이라고 전했다.
지난 11일에 나온 ODM 전문기업 (주)아우딘퓨쳐스의 최대주주 변경 소식에 이어 화장품 용기 생산 전문기업 (주)삼화의 매각, 그리고 지난해 매출 359억 원 대를 기록한 (주)아로마티카의 매각 추진 뉴스에 이르기까지 하반기 시작과 함께 화장품 기업들의 새 주인맞이 관련 내용들이 연이어 터져나오고 있다. <코스모닝닷컴 7월 11일자 ‘아우딘퓨쳐스, 최대주주 바뀐다<제 1신>’ https://cosmorning.com/news/article.html?no=45985 / 7월 12일자 ‘아우딘퓨쳐스, 최대주주 바뀐다<제 2신>’ https://cosmorning.com/news/article.html?no=45988 참조> 용기·패키지 부문 매출 3위 (주)삼화, 글로벌 사모펀드 품으로 (주)아우딘퓨쳐스의 최대주주 변경에 이어 들려온 뉴스는 지난해 △ 매출액 1천350억 원 △ 영업이익 187억 원 △ 당기순이익 143억 원을 기록한 화장품 용기 생산 전문기업 (주)삼화를 글로벌 사모펀드(PEF) 운용사 텍사스퍼시픽그룹(TPG)이 3천억 원 중반 규모에서 인수하기로 주식매매계약(SPA)을 체결했다는 것. 지난 14일 투자은행(I
지난 5월까지 우리나라 화장품 수출 상위 20위 권 국가 중에서 가장 큰 폭의 감소를 보인 곳은 역시 중국이었다. 반면 1년6개월 동안 전쟁을 계속하고 있는 러시아연방과 우크라이나는 각각 전년 같은 기간보다 60.3%, 110.2%가 늘어나는 등 ‘기현상’이 나타났다. 이같은 내용은 대한화장품협회(회장 서경배· www.kcia.or.kr )가 관세청 수출입실적 자료를 기반으로 분석한 국가별 수출 실적 현황을 통해 확인한 사실이다. 자료에 따르면 중국은 올해 5월까지 누적 실적 12억268만 달러를 기록, 지난해 같은 기간의 16억1천907만 달러보다 25.7%의 감소율을 보이며 상위 20위 권 국가 가운데 가장 큰 폭의 감소세를 나타냈다. 이어서 미국이 전년 같은 기간 보다 13.8% 증가한 4억2천512만 달러로 2위를 지켰고 최근 불어닥친 ‘일본 진출 열풍’이 무색하게 대 일본 수출은 오히려 5.3%가 줄어든 3억2천396만 달러에 그쳤다. 그 동안 감소를 거듭했던 홍콩의 경우 올해 들어 의외의 성장세를 보이면서 이 기간 전년 대비 16.7%가 증가한 2억387만 달러의 실적을 기록했다. 상위 10위 권에 오른 국가 가운데 1위~6위까지는 지난해와 변함이
2023 북미 코스모프로프-라스베이거스 현지 통신 지난 11일 개막, 오늘(13일)까지 미국 라스베이거스 컨벤션센터(LVCC)에서 열리고 있는 ‘2023 북미 코스모프로프-라스베이거스’에 한국기업 80여 곳이 한국관을 구성, 북미시장 진출을 위한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동시에 정부기관이 주관한 한국관에는 화장품·뷰티 기업 35곳이 참가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했다. 국제뷰티산업교역협회(회장 윤주택·이하 IBITA) 측에 따르면 IBITA가 주관·구성해 참가한 한국기업들은 IBITA가 구축하고 있는 해외 20여 국가 네트워크와의 협력을 통해 시장 진출 가시화에 한 걸음 더 다가서는 성과를 거두고 있다는 것. 특히 올해 ‘20주년 기념 이벤트-코스모프로프 어워드’ 결선에 △ 태양리뉴 INC.(패키징 디자인&원료 부문) △ 리솔츠(ReSaltZ)(그린&오가닉 부문) △ 모노글로트홀딩스(메이크업&네일 부문) 등 IBITA 한국관으로 참가한 세 곳이 진출, 화제의 중심에 섰다. 이들 기업은 30만 명의 고객을 보유하고 있는 코스모프로프 웹사이트에 기업 소개와 함께 바이어에게 홍보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지는 등 한 단계 높은 전시회 참가 성과를 기대할
최대주주 변경과 관련한 공시 이튿날인 11일, 한때 장중 최고가인 4천680원까지 치고 올라갔던 (주)아우딘퓨쳐스의 주가가 4천60원으로 마감하면서 (주)아우딘퓨쳐스의 미래에 대한 전망이 엇갈리고 있다. 지난 10일 공시를 요약하면 나종국 (주)갑진 대표가 최영욱 (주)아우딘퓨쳐스 대표의 지분 200만 주를 80억 원에 인수 △ 신주 442만1천563주를 73억513원에 인수 △ 이를 통한 (주)아우딘퓨쳐스의 최대주주 지위와 공동 경영권 확보 등이다. 그렇지만 나 대표의 (주)아우딘퓨쳐스 지분 인수를 통한 공동 경영권 확보가 (주)갑진과 (주)아우딘퓨쳐스의 사업진행에 어떠한 시너지를 창출할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의문 부호를 떨치지 못하고 있는 상황. 우선 지난 1991년 나종국 대표가 설립한 (주)갑진은 전력변환 관련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기업이다. 이후 관련 사업을 확대, 국내 이차전지 대기업(삼성SDI, SK온) 등을 주요 고객사로 삼고 있다. 매출액은 지난 2020년 985억 원까지 성장했으나 2021년과 지난해 코로나19 팬데믹 영향으로 각각 481억 원, 462억 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말 기준 보유한 현금성 자산은 351억 원 수준이
화장품 브랜드·ODM 전문기업을 표방하는 (주)아우딘퓨쳐스(Outin Futures)의 최대주주가 바뀐다. (주)아우딘퓨쳐스는 지난 10일 공시를 통해 “당사 최대주주 최영욱 대표이사와 인수인 나종국이 주식 양수도계약을 체결했으며 인수인 나종국이 제 3자 배정 유상증자 인수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주식양수도 규모는 인수인 나종국이 △ 최영욱 대표가 보유한 200만 주를 80억 원에 △ 신주 442만1천563주를 73억513원에 인수하는 등 총 153억513원 수준이다. 공시일인 지난 10일에 체결한 이번 계약에 따라 △ 계약금 2억 원은 당일(10일) △ 중도금 18억 원은 계약 이튿날(11일) △ 잔금 60억 원은 오는 8월 21일에 지급하게 되며 △ 신주인수대금은 오는 28일까지 마무리해야 한다. 이러한 거래 조건에 따른 절차가 문제없이 마무리되면 최대주주 변경(등재)과 함께 경영권 인수가 완료될 전망이다. 관련해 회사 측은 “차기 임시주주총회는 주식양수도금액 잔금 납입 이후 개최 예정이며 임시주주총회를 통해 인수인 나종국이 지정하는 사내이사·감사 선임을 진행할 계획”이라고 밝히고 “계약 체결일(7월 10일) 현재 (주)아우딘퓨쳐스의 최대주주 변경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