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쇼핑모아, 11/9~11/15 화장품 매출 순위 발표 크림의 계절이다. 차가운 바람이 피부를 파고드는 11월, 여름철 판매가 주춤했던 보습 크림이 화려하게 부활했다. 피부에 수분과 영양을 공급하는 세럼‧에센스도 인기다. 색조 부문에서도 보습‧영양 등 스킨케어 성분을 강화한 팩트‧쿠션이 강세다. 이는 홈쇼핑모아가 지난 11월 9일부터 11월 15일까지 7일 동안 소비자가 앱을 통해 구매한 뷰티 제품 매출 순위를 집계한 결과다. 매출 분석 대상 채널은 △ GSSHOP △ CJ오쇼핑 △ 롯데홈쇼핑 △ NS홈쇼핑 △ 홈앤쇼핑 △ 공영홈쇼핑 △ 현대홈쇼핑 △ GS MY SHOP △ K쇼핑 △ 신세계TV쇼핑 △ 더블유쇼핑 △ CJ오쇼핑 플러스 △ 롯데OneTV 등 홈쇼핑‧T커머스 13개사다. 기초-AHC 크림‧세럼‧마스크 강세 AHC가 기초 부문 10위권 내 4개 제품을 올리며 홈쇼핑 강자다운 면모를 과시했다. AHC 독자 빛 발효 기술로 광채‧볼륨‧커버를 동시에 제공하는 AHC 핑크 아우라 톤업 크림이 1위를 거머쥐었다. 이어 △ AHC 레드 세럼 △ AHC 에센셜 내추럴 시트 마스크 △ AHC 아이 크림이 가을 보습 수요를 견인하며 각각 2·3·5위에 올랐다. 주
상하이 지원-과천 본원-오송 충북지원 전용망 연결 충북 화장품 기업 대상 인허가 상담‧수출 컨설팅 지원 KTR(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 원장 변종립)이 충청북도(도지사 이시종),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성윤모)와 함께 중부권 중소기업의 중국 수출을 돕기 위해 상하이 현지와 화상컨설팅 핫 라인을 구축, 운영한다. 지금까지는 충북 등 중부권 기업들은 중국 수출을 위한 상담 컨설팅을 위해 중국 현지를 찾거나 수도권에 집중돼 있는 컨설팅 기관을 이용해야 했지만 11월부터 중국 진출을 희망하는 기업들은 충청북도화장품임상연구지원센터를 통해 맞춤형 대면 컨설팅을 지원 받을 수 있게 됐다. 화상컨설팅은 KTR 중국 상하이지원과 과천 본원, 오송의 충북지원을 전용망으로 연결해 화장품과 의료기기 기업을 중심으로 중국 진출을 모색하는 중부권 기업들이 활용할 수 있다. 충북지역 기업들의 중국 인허가 관련 컨설팅과 현지 상담서비스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이 시스템은 KTR이 산업통상자원부의 중국 의료기기 수출지원 플랫폼 구축 사업에 참여하면서 추진됐다. KTR은 특히 중국 상하이, 선전, 칭다오, 충칭에 지사를 두고 CCC인증을 비롯해 인허가, 통관은 물론 중국 수출 유일대리인 역할도 수
2018 하반기 코넥스 화장품 기업 8社 IR설명회 올해 실적 바탕, 일부는 코스닥 이전 추진도…최고 무기는 R&D 파워 한국거래소가 코넥스 상장사를 대상으로 2018년 하반기 코넥스 업종별 IR설명회를 개최했다. 지난 7일부터 8일까지 한국거래소와 한국IR협의회가 공동으로 개최한 이번 설명회에는 화장품‧건강기능식품 관련 기업 12곳이 참가, 기업별로 배정된 IR룸에서 투자사들과의 그룹미팅을 진행했다. 거래소 관계자는 "코넥스 상장기업의 정보를 투자자에게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며 "앞으로 다양한 맞춤형 IR을 개최해 코넥스기업에 대한 정보 제공 기회를 늘리겠다"고 전했다. 다음은 화장품 관련 각 기업의 코넥스 IR 설명회 자료를 정리한 내용이다. ◇ TS트릴리온 TS트릴리온(대표 장기영)은 TS라는 독자 브랜드를 중심으로 탈모 기능성 헤어 제품 전문 화장품 기업으로 자리매김했으며 현재 토탈 헤어 케어 브랜드로 성장과 발전을 이뤄내고 있다. 이 같은 TS트릴리온의 성장 배경은 낮아지는 탈모 진입 연령, 자연유래 원료 니즈 증가에 있다. 1천만 명인 국내 탈모인구에 기반한 세계 탈모시장은 약 4조 원에 육박할 정도로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
화장품중소기업수출협회 주최, 서울 삼성2동문화센터 대강당 한국화장품중소기업수출협회(회장 박진영, www.kcosmeticexport.com)가 오는 11월 20일(수)에 서울 삼성2동문화센터 대강당에서 2018 중국 화장품시장 집중 컨퍼런스를 개최한다. 이번 컨퍼런스에서는 중국 화장품 시장에 성공적으로 진출하기 위한 필수 전략이 제시된다. 중국 시장 전문가가 주제 발표에 나서 △ 중국 위생허가 준비 및 대응 방안(김주연 CCIC 코리아 차장, 양선도 코스라피도 대표, 이재진 상하이 알란 부사장) △ K-beauty 중국 마케팅과 미래 전략(서수진 아이지피 대표) △ 성공적인 중국 온라인 마케팅 핵심 전략(장래은 제이프렌즈 대표) △ 중국 장사의 정석_중국 유통을 알아야 중국시장이 보인다(박영만 시노코리안 대표) 등을 소개할 예정. 박진영 한국화장품중소기업수출협회 회장은 “중국 화장품 시장은 2019년 1월 1일 전자상거래법 시행과 까다로운 위생허가 등 각종 이슈에 직면해 국내 중소기업의 입지가 좁아지고 있다”며 “중소기업 수출 활성화를 위해 출범한 협회는 해외 인허가 취득과 국가별 유통 정부 등을 공유할 플랫폼을 확장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리테일매거진, 내년 소매경기 설문조사 결과 발표 유통업계가 바라본 2019년 소매경기는 ‘흐림’인 것으로 나타났다. 내년도 소매시장 성장률은 2~3%대로 전망됐다. 이커머스가 유통업계 중심으로 부상하며 온‧오프라인 강자 간 경쟁이 본격화할 움직임이다. 이는 유통 전문지 리테일매거진이 지난 10월 4일부터 20일까지 유통‧제조업계 종사자 255명을 대상으로 2019년 소매경기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다. 전체 응답자의 65%가 올해 소매경기 체감도를 ‘전년보다 훨씬 안 좋거나, 약간 안 좋다’고 답했다. 2019년 가장 우려되는 사항은 소비부진의 고착화가 꼽혔다. 업계 종사자 75%는 2019년 소매시장 성장률을 2∼3%대로 예측했다. 이들은 △ 비용절감 △ 사업구조 재편 등을 통해 경영효율성을 개선하며 위기를 돌파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유통업계 중심은 오프라인에서 이커머스로 옮겨가면서 온‧오프라인 강자 간 패권 경쟁이 심화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응답자 50.4% “2019년 유통 성장률 2%” 소매경기 체감도는 지난 해보다 △ 약간 안 좋다(36.4%) △ 훨씬 안 좋다(30.7%) 등으로 답했다. 전체 응답자 가운데 65% 이상이 내년도 소매경기를 부
뷰티 플랫폼으로 진화…전용 화장품 출시↑ 편의점이 뷰티 플랫폼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화장품을 가까운 곳에서 손쉽게 구매하려는 소비 트렌드가 확산하며 편의점이 새로운 화장품 구매 채널로 떠올랐다. 최근 각 뷰티 브랜드는 편의점 입점을 확대하는 동시에 전용 제품을 선보이며 소비자층 확대에 돌입했다. 특히 편의점 고객 특성을 반영해 고품질·저가격을 실현한 뷰티 브랜드가 호응을 얻고 있다. 편의점 전용 ‘메디힐 필로소프트 버블레이저 패드’ 글로벌 마스크팩 브랜드 메디힐은 H&B스토어에서 인기를 끈 메디힐 필로소프트 버블레이저 패드를 편의점 전용 제품으로 새롭게 출시했다. 메디힐 필로소프트 버블레이저 패드는 물을 묻히면 거품이 생겨 간편하고 빠른 클렌징을 돕는다. 파파인 엔자임 효소 파우더와 필링 패드를 결합해 피부 각질과 노폐물을 제거하고 메이크업을 깨끗이 지워준다. 메디힐은 GS리테일 PB 브랜드 YOUUS(유어스)와 협업한 이 제품을 GS25·GS슈퍼마켓 등에 판매하고 있다. 기존 패드 20매 제품을 2매씩 소포장해 합리적인 가격으로 제시한 것이 특징. 메디힐 관계자는 “GS25 1,000여 개점에 입점한 필로소프트 버블레이저 패드가 2030 젊은 여성
한국보건산업진흥원 해외 판매 지원 사업 성과 발표 수출 계약 체결부터 인허가 지원‧홍보 마케팅 뒷받침 보건산업진흥원이 2012년부터 현재까지 6개국, 8개 도시에서 해외화장품 운영을 통해 약 660만달러의 수출계약 체결과 인허가 지원 등을 통해 국내 화장품 기업의 글로벌 진출에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원장 이영찬, 이하 진흥원)은 지난 1일 서울 양재동 엘타워컨벤션에서 개최된 보건산업 성과교류회의 일환으로 해외 화장품판매장 개척 지원사업 성과를 발표했다. 해외 화장품판매장 개척 지원사업 성과 발표에 따르면 해외 화장품 홍보·판매장은 지난 2012년부터 현재까지 6개국, 8개 도시(△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 미국 뉴욕 △ 베트남 하노이 △ 러시아 모스크바 △ 중국 심양‧충칭 △ 베트남 호치민 △ 태국 방콕)에서 운영했다. 그 결과 2017년까지 수출계약체결 659만9천 달러, 제품인허가‧라벨링 지원 1천627개, 바이어 발굴 675건, 바이어 매칭 493건, 화장품 체험단 운영을 비롯한 현지 온‧오프라인 홍보 485회 등 수출지원 성과를 달성했다. 성과교류회는 약 2시간 동안 △ 해외 화장품판매장 사업소개‧성과, 향후 계획(진흥원 뷰티화
윈윈데이 행사서 최신 위변조방지 기술 소개 한국조폐공사(사장 조용만·www.komsco.com)는 카버코리아(대표 이제훈)와 짝퉁 상품으로 인한 국내외 소비자들의 피해를 막기 위한 공동 협력에 나선다. 조폐공사는 지난 1일 서울 마포 카버코리아 본사에서 조용만 사장과 카버코리아 이제훈 대표 등 양사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윈-윈 데이 행사를 갖고 국내외 시장에서 유사상품 방지와 K뷰티 산업 활성화에 따른 고객 서비스 증대 정품제품 마케팅 추진 방안 등을 논의했다. 조폐공사는 중국 등 해외 시장에서 짝퉁 상품이 날로 교묘해지고 있는 점을 감안, 이날 자체 개발한 △특수감응 플라스틱 기술 △ 잠상인쇄기술 2종, 큐싱(QR코드 위조) 방지를 위한 △ 세이프티 QR 등 최신 위변조방지 기술을 소개했다. 특수감응 플라스틱은 특수물질을 첨가한 플라스틱으로 전용 감지기를 갖다 대면 소리와 진동이 울린다.이 플라스틱으로 화장품 용기 등을 만들 경우 감지기를 활용해 정품임을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다. 잠상 인쇄기술은 보는 방향에 따라 3개의 문양이나 문자가 다르게 나타나는 기술로 위변조가 어려워 정품 인증 포장 패키지 등으로 활용 가능하다. 안전 QR은 QR코드 내‧외부에
전월 대비 거래액 온라인 5.4%↑모바일 1.4↓ 통계청(청장 황수경‧ http://kostat.go.kr)이 발표한 2018년 9월 온라인쇼핑 동향분석 자료에 따르면 화장품 온라인쇼핑 거래액은 8천302억 원으로 전년 같은 기간 기록한 6천940억 원보다 19.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온라인쇼핑 가운데 모바일쇼핑 거래액은 4천464억 원으로 전년 같은 기간 기록한 3천851억 원보다 15.9% 증가했다. 9월 화장품 온라인쇼핑은 전월 대비 5.4% 증가한 반면 모바일쇼핑은 1.4% 감소했다. 상품군별 온라인쇼핑 거래액 중 모바일쇼핑 거래액 비중에서 화장품은 53.8%를 기록하며 전년 같은 기간 대비 1.7%p, 전월 대비 3.8%p 각각 감소했다. 지난 6월부터 화장품 모바일쇼핑 거래액은 지난 6월 58.4%에서 지속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취급상품범위별 분류 조사 내용에 따르면 종합몰은 전년 같은 기간 대비 12.2% 증가한 6조809억 원, 전문몰은 22.2% 증가한 3조474억 원을 기록했다. 전월 대비 종합몰은 0.2%, 전문몰은 3.8% 각각 감소했다. 이 가운데 온라인쇼핑 종합몰의 화장품 거래액은 7천529억 원, 전문몰 거래액은 773억
코스모프로프 볼로냐 2019 설명회 개최 유럽, 더 나아가 전 세계 시장 진출을 위한 글로벌 B2B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한 코스모프로프 볼로냐 2019를 통해 한국 기업들은 예의주시하고 있는 포스트 차이나의 판로 확대에 기대를 모으고 있다. 내년 3월 14일부터 18일까지 이탈리아 볼로냐에서 열리는 코스모프로프 볼로냐 2019에 대한 설명회가 지난달 30일 열렸다. 빈센조 칼리 이탈리아 무역관 서울무역관장은 “51년 전 시작한 코스모프로프는 볼로냐를 비롯해 홍콩, 라스베가스, 미국 등 각 대륙을 대표하는 뷰티쇼로 성숙해가고 있다”며 “특히 내년을 기점으로 중동과 남미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어 마르코 델라 세타 주한 이탈리아 대사는 “코스모프로프 볼로냐는 한국 화장품 업계와 함께 놀라운 네트워크를 보여주고 있고 이탈리아에 1천400만 달러 규모의 화장품을 수출하고 있는 한국은 다양한 제품들로 현지인들의 인기를 모으고 있다”며 “전 세계적으로 가장 시급한 과제인 환경을 생각하는 화장품에 포커스가 맞춰지고 있는 가운데 특히 볼로냐는 폐기물 발생 감소, 환경 친화 인증 등 환경 순환 방식으로 변화할 수 있도록 화장품 업계에 가이드를 제공하는데 주력하고
관세청 FTA 상호대응세율제도 혜택 활용 권고 적용 시 연간 2억5000만원 가량 절감 효과 태국 수입업체가 한국 업체로부터 수입한 샴푸를 현지 세관 수입신고 시 기본 세율 20%가 아닌 5%로 적용해 협정관세 혜택을 받을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관세청은 한국에서 수출한 샴푸를 태국 수입업체가 현지 세관에 수입신고할 때 FTA 원산지증명서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20%인 태국의 기본세율로 신고중인 실태를 현지 관세관을 통해 파악하고 한-아세안 FTA 협정에 규정된 바에 따라 5%로 신고해줄 것을 당부했다. 한-아세안 FTA 협정체결 당시 국내 산업 보호를 위해 농․수․축산물 등과 일부 공산품을 민감품목으로 지정하고, 해당 품목에 대해서는 수입국이 FTA 세율 적용을 배제하고 기본세율을 적용할 수 있도록 했다. 그러나 이들 민감품목에 대해서도 우리나라의 FTA 세율이 10% 이하인 경우, 수입국은 기본 세율이 아닌 양국 FTA 세율중 높은 세율을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상호대응세율제도’를 운용하고 있어 이같은 혜택이 가능하다고 관세청은 밝혔다. 아세안국가로 수출하는 샴푸의 경우 현재 우리나라의 한-아세안 FTA 세율이 5%이고, 태국의 경우 0%가 적용된다.
한국소비자원 14개 제품 안전성 조사…3개 제품 해당 해외직구로 유통되는 스프레이·미스트 등 화장품에서 살균보존제 성분인 메칠클로로이소치아졸리논과 메칠이소치아졸리논(이하 CMIT, MIT)이 검출됐다. 한국소비자원(원장 이희숙)은 해외직구로 구입한 스프레이·미스트 등 화장품 14개에 대한 안전성 조사 결과, CMIT는 1개 제품에서 4.6mg/kg, MIT는 3개 제품에서 최소 1.7 mg/kg~최대 53.0mg/kg 검출됐다고 밝혔다. 조사에 따르면 △ Eva NYC 브랜드의 Up All Night Volumizing Spray 제품과 △ Paul Mitchell 브랜드의 Seal and Shine 제품에서 각각 27.2mg/kg, 53.0mg/kg의 MIT가 검출됐으며 △ Nearly Natural 브랜드의 Moisture Mist에서는 CMIT 4.6mg/kg과 MIT 1.7mg/kg이 검출됐다. 국내에서는 식품의약품안전처 ‘화장품 안전기준 등에 관한 규정’ 고시(제2017-114호) 별표 2에 따라 사용상의 제한이 필요한 원료에서 MIT와 CMIT:MIT=(3:1)혼합물의 사용한도를 규정하고 있다. 단 씻어내는 제품에 한해 MIT는 0.01%(100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