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료의약품·화장품 소재 전문기업 대봉엘에스(대표 박진오)가 연결 기준 2024년 △ 매출액 940억 원 △ 영업이익 92억 원 △ 당기순이익 98억 원을 기록했다. 전년 대비 매출액 63억 원, 영업이익 54억 원 증가한 수치이며 당기순이익은 36억 원 증가해 수익성을 개선했다는 점에서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화장품 사업 분야에서는 △ 그린 바이오 합성·추출 기술을 적용한 펩타이드 제품 △ 루브리졸의 리포텍 제품 간 시너지를 통해 보습·주름 개선·탄력 등 피부 효능을 강조한 제품을 개발한 성과가 컸다. 바스프 소재와 다양한 베이스를 활용한 클린 더마 제형을 개발, 고객사에 제안한 결과 호응을 얻어 큰 성장을 일궜다는 평가다. 식물성 뮤신·식물성 콜라겐·발효(유자) 등의 소재들이 해외 시장에서 각광 받으면서 해외 대리점 구축을 늘렸다. 이를 활용한 다양한 제품들은 세포라와 아마존에 입점, 호평을 이끌어냈다고 회사 측이 밝혔다. 대봉엘에스 관계자는 “올해 화장품 분야에서는 바이오 소재 ‘하이드로 스킨본드’와 신개념 피부 친화적 세라마이드, DDS(약물전달시스템) 기술들을 접목해 더 큰 성장을 이루어 낼 것“이라고 전망했다. P&K, 건기식 시험 수요 증
아모레퍼시픽그룹(회장 서경배)은 지난해 △ 매출액 4조2천599억 원 △ 영억이익 2천493억 원의 경영실적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5.9%, 영업이익은 64.0% 증가한 수치다. 회사 측은 “2024년 아모레퍼시픽그룹은 서구권을 중심으로 해외 사업에서 높은 성장세를 기록하며 매출과 영업이익이 모두 증가했다”며 “글로벌 리밸런싱 전략 추진의 결과 연간 기준으로는 처음으로 미주 지역 매출이 중화권을 넘어서는 성과를 올렸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2분기부터 아모레퍼시픽 실적에 편입한 코스알엑스도 EMEA를 중심으로 판매 호조가 지속, 해외 사업 성장에 크게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력계열사 (주)아모레퍼시픽 브랜드 가운데 라네즈·헤라·에스트라·일리윤·라보에이치 등이 선전했다. 멀티브랜드숍(MBS)과 온라인 채널에서의 판매 호조도 이어갔다. 주요 자회사의 경우 이니스프리와 에뛰드의 매출은 감소를 겪었지만 에스쁘아·아모스프로페셔널·오설록은 매출이 성장하는 모습을 보였다. ■ 국내 사업: 주요 브랜드의 대표 제품 리뉴얼과 혁신성을 강조한 신제품 출시를 통해 MBS와 온라인 채널에서 견고한 성장을 달성했다. 다만 면세 채널 매출의 하락이 지속돼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