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성USA가 티르티르‧퓌‧VT코스메틱을 미국 얼타뷰티에 선보였다. 한성USA(대표 최재호)는 세계 시장에 K-뷰티를 유통하는 기업이다. 얼타뷰티(Ulta Beauty)는 미국 전역에 매장 약 1400곳을 운영한다. 기초‧색조‧보디‧헤어 제품을 아우르는 뷰티 편집매장이다. 얼타뷰티는 브랜드의 제품력‧신뢰도‧시장성‧성장성 등을 종합 평가해 입점을 결정한다. 얼타뷰티 진출은 브랜드사에게 상징성과 글로벌 확장성이 큰 유통 진입점으로 꼽힌다. 티르티르는 3일 미국과 멕시코에 있는 얼타뷰티에 들어섰다. 프레스티지 메이크업 섹션에서 제품을 판매한다. ‘마스크 핏 레드 쿠션’을 비롯해 140개 색상의 색조 제품을 소개한다. 소비자 피부 톤에 맞는 컬러를 시험해보는 ‘쉐이드 매칭’(shade matching) 서비스를 제공한다. 다양한 인종과 피부 톤에 맞는 색상을 바탕으로 차별성을 강화했다. 임라희 티르티르 글로벌 영업·마케팅 총괄은 “미국과 멕시코 소비자들은 얼타뷰티에서 제품을 테스트한 뒤 자신에게 꼭 맞는 컬러를 찾을 수 있다. 북미지역에서 K-메이크업 시대를 열어 나가겠다”고 전했다. 퓌는 한성USA와 파트너십을 맺고 미국 오프라인 유통을 확대하고 있다. 이 브랜드는
티르티르(TIRTIR)가 미국 얼타뷰티 400곳에 입점했다. 티르티르는 얼타뷰티 매장 내 프레스티지존에 자리잡았다. 단독 4단 브랜드 매대를 배정받으며 K-뷰티의 위상을 입증했다. 티르티르 매대는 매장 입구에서 가장 먼저 눈에 들어오는 위치에 있다. 소비자 접근성이 높아 자연스럽게 매출이 늘 것이라는 기대다. 입점 제품은 마스크 핏 레드 쿠션을 중심으로 컨실러·틴트 등으로 구성했다. 미국 소비자의 다양한 피부 톤을 고려해 40가지 컬러를 선보인다. 얼타뷰티 온라인몰에도 순차적으로 들어갈 예정이다. 이달 말에는 멕시코 얼타뷰티에서도 제품을 판매한다. 21일 멕시코시티 안타라패션홀(Antara Fashion Hall) 얼타뷰티를 시작으로 연말까지 총 10곳에 진출한다. 임라희 티르티르 글로벌 부문장은 “전문 메이크업 제품의 우수성을 미국 소비자에게 알려 나갈 계획이다. 아마존 등 온라인에서 키워온 브랜드 인지도를 오프라인으로 확장하며 성장을 꾀하겠다”고 전했다.
마녀공장이 17일부터 20일까지 미국 LA에서 열린 ‘2025 K-뷰티 명예의 전당’ 행사에 참여했다. ‘2025 K-뷰티 명예의 전당’은 미국 소비자들에게 한국 화장품 브랜드를 소개하는 행사다. 화장품 유통사 한성USA가 얼타뷰티와 함께 주최했다. 미국 LA의 중심지인 할리우드 명예의 거리 인근에서 4일 동안 진행됐다. 이 행사에는 얼타뷰티 바이어와 뷰티 인플루언서·기자‧소비자 등이 참석했다. 마녀공장은 브랜드 부스를 열고 ‘마녀의 매직팟’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했다. 부스 방문객에게 퓨어 클렌징 오일을 비롯한 인기 제품을 소개했다. 아울러 마녀공장은 인플루언서 웬디스킨(Wendyskin)와 특별 세미나를 개최했다. 마녀공장 부스를 방문한 한 바이어는 “퓨어 클렌징 오일과 갈락 필링젤, 신제품 갈락 나이아신 3.0 에센스까지 꼼꼼히 살펴봤다. 품질과 기능이 독특해 매출이 기대된다”고 전했다. 마녀공장은 7월 얼타뷰티를 통해 미국 오프라인 시장에 진출했다. 미국 내 얼타뷰티 600곳을 시작으로 현재 1400곳까지 매장을 확장한 상태다. 마녀공장 측은 “얼타뷰티와 함께한 최초의 K-뷰티 팝업 행사에 참가했다. 미국 진출 소식을 본격적으로 알리는 동시에 잠재
티르티르(대표 이지철‧안병준)가 8월 미국‧멕시코에 있는 울타뷰티 4백곳에 입점한다. 티르티르는 울타뷰티에 ‘마스크 핏 레드 쿠션’을 포함한 메이크업 제품을 선보인다. 다양한 피부색에 맞는 제품으로 북미 소비자의 만족도를 높일 전략이다. 울타뷰티 멕시코 매장에선 프레스티지존에 제품을 진열한다. 에스티로더‧랑콤‧타르트‧펜티뷰티 등 세계적인 뷰티 브랜드와 어깨를 겨루며 인지도를 높일 예정이다. 티르티르 관계자는 “글로벌 소비자 니즈를 반영해 제품을 개발한다. 미국과 멕시코 소비자에게 새로운 뷰티 경험을 제공하며 한단계 도약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2021 글로벌 코스메틱 포커스 리포트 세계 최대의 화장품 시장 미국과 중앙 아메리카 지역의 강자로 군림하고 있는 멕시코의 화장품 시장은 지난 1년 8개월여 기간 동안 코로나19 상황 속에서 어떠한 변화를 겪으며 새로운 트렌드를 드러내고 있는가. 요약하면 미국의 경우 유기농·천연 화장품에 대한 관심과 개발이 스킨케어 카테고리를 넘어 메이크업 제품으로 확장하는 경향이 뚜렷하다. 멕시코 화장품 시장은 코로나19의 여파가 분명한 피부염과 여드름 문제에서 자유로울 수 있다는 심리 상황을 반영하듯 저자극 화장품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 이들 두 국가의 이같은 경향은 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원장 이재란· www.kcii.re.kr )이 최근 리포트한 2021년 글로벌 코스메틱 포커스 8호-미국·멕시코 편을 통해 확인한 것이다. 유기농·천연 화장품(美) & 저자극 화장품(멕)이 대세 최근까지만 해도 유기농·천연 화장품 콘셉트는 스킨케어로 한정해 인식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그렇지만 건강한 자연 유래 성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이를 넘어 메이크업 제품으로 확대되는 양상을 보인다. 전 세계 트렌드로 △ 친환경(Eco-friendly) △ 지속가능(Susta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