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장품 산업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X)을 선도하고 있는 (주)이젬코(대표이사 이종극)가 지난 4일과 5일 이틀에 걸쳐 ‘2024 지역협력 혁신성장사업 워크숍’(그랜드플라자 청주호텔)에 참여, 스마트팩토리 솔루션 구축 등을 포함한 화장품 산업 DX와 관련한 특강을 펼쳤다. 이번 워크숍은 충북지역산업진흥원이 지자체·운영위원·지역협력 혁신성장사업 R&D 수행기관·기업지원사업 수혜기업·사업단(충북·강원·제주)을 대상으로 시행했다. △ R&D 수행기관·기업지원 수혜기업 성과 공유 △ 화장품 산업 신규 트렌드·마케팅 전략 △ 화장품 스마트팩토리 구축의 성공을 위한 방안 등을 주요 내용을 진행한 워크숍을 통해 (주)이젬코는 △ 화장품 스마트 제조 특화 솔루션 △ 화장품 스마트팩토리 구축의 핵심 포인트 등을 공유했다. 동시에 바이오 산업 관련 정보 교류를 통한 협력 체계 구축과 화장품 산업에서 활발히 활용하고 있는 최신 마케팅 전략을 공유하는 시간을 가졌다. (주)이젬코 이승하 전략혁신본부장·상무는 화장품 스마트팩토리 구축을 위한 주요 내용을 △ 부서 별 시스템 관리 팀 구축 △ 도입기업 요구사항과 문제점 분석 △ 인증 매뉴얼 핵심 절차의 시스템 적용 △
화장품 산업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X)을 선도하는 (주)이젬코(대표이사 이종극)가 정보 보호 관리 체계에 대한 국제 인증 ‘ISO/IEC 27001:2022’를 획득하고 고객사의 핵심 정보를 안전하게 보호하고 신뢰도를 확보할 수 있는 전기를 마련했다. 인증 범위는 화장품 스마트 생산관리 시스템·ERP 소프트웨어의 개발과 공급 부문이다. ISO 27001은 국제표준화기구(ISO)·국제전기기술위원회(IEC)가 제정한 정보보호 관리체계에 대한 국제 인증이다. △ 정보보호(정보흐름 전체 보호) △ 물리 보안(보안위협으로 대비하기 위한 물리 수단: CCTV·출입통제 등) △ 관리 보안(보안위협 대비를 위한 조직 내 정보보호 절차와 규정: 인력관리·보안감사) △ 기술 보안(보안위협 대비를 위해 사용할 수 있는 모든 보안 시스템: 네트워크·시스템 보안) 등 핵심 항목을 포함해 정보보안 관련 14개의 관리 영역·114개의 항목에 대한 심사와 검증을 통과해야 한다. (주)이젬코는 이번 ISO/IEC 27001:2022 인증 획득을 기반으로 보안 수준을 전세계에서 인정 받게 됐으며 보다 견고한 보안 체계 구축을 통해 고객사의 신뢰도 향상을 기대하고 있다. 특히 디지털 전환
화장품 OGM 전문 기업을 표방하는 코스메카코리아(대표 조임래)가 ‘2024 국제품질분임조대회’(이하 ICQCC·스리랑카 콜롬보·11월 11일~14일)에 한국 대표단으로 참가, 대회 최고상에 해당하는 금상(GOLD AWARD)을 수상했다. ICQCC)는 세계 각국의 품질분임조들이 참가, 우수 품질 개선 성과와 혁신 사례를 선보이고 경쟁하는 국제 대회. 올해는 13국가에서 900분임조가 참가했다. 한국 대표로는 코스메카코리아를 포함해 14곳의 회사에서 24분임조가 출전, 경쟁을 벌였다. 코스메카코리아는 공정 내 AI 활용을 통한 사전 품질 개선 활동과 산업용 사물인터넷(IoT) 기반 스마트팩토리 구축 사례를 선보였다. 특히 인더스트리 4.0 기술 도입을 통해 생산성과 품질 향상에서 괄목한 만한 성과를 거둔 점이 심사위원들로부터 높은 평가를 받았다. 코스메카코리아는 이번 수상으로 국내를 넘어 글로벌 시장에서도 품질 경쟁력을 인정받게 됐다. 국내 품질분임조 경진대회에서는 이미 네 차례에 걸쳐 금상(대통령상)을 수상하며 품질 개선 활동의 우수성을 입증한 바 있다. 지난해에는 중견기업 제조혁신 우수기업으로 선정돼 대통령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스마트팩토리 구축을 위한
세종시·세종테크노파크와 불가리아 소피아시가 공동으로 추진하고 있는 스마트팩토리 활성화 사업이 진척을 보이고 있는 가운데 불가리아 소피아시 대표단이 세종테크노파크를 방문, 보다 현실성있고 구체화한 방안을 모색했다. 지난 10일 세종테크노파크 대회의실에서 개최한 세종시·세종테크노파크-불가리아 소피아시 업무협의 미팅에서 (주)이젬코(대표이사 이종극)는 화장품 스마트팩토리 구축과 확산을 위한 향후 추진 계획을 발표하는 동시에 세부 내용에 대한 논의도 가졌다. 이종극 (주)이젬코 대표는 불가리아 화장품 산업 전반에 걸친 스마트팩토리 도입-구축-활성화에 대한 로드맵을 제시하는 한편 (주)이젬코가 보유하고 있는 화장품·원료 관련 스마트팩토리 기술·소프트웨어·솔루션 등을 확산할 수 있는 연결고리도 제안했다. 이 대표는 “(주)이젬코는 CGMP·ISO22716 기준을 완벽하게 소화하는 글로벌 수준의 화장품 스마트팩토리 시스템에 대한 기술과 노-하우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 시스템을 불가리아 화장품 산업에 적용하고 확산할 수 있는 준비가 돼 있다”고 강조하고 “특히 세종시·세종테크노파크-소피아시 교류를 통해 이를 보다 효율성있게 진행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날 세종시·
글로벌 화장품 연구·개발·생산(ODM) 전문기업 코스맥스가 판교 R&I(Research&Innovation)센터에 이노베이션 신제형을 전시하고 대여하는 도서관 형태의 ‘이노베이션 라이브러리’ 공간을 오픈했다. 빠른 속도를 생명으로 여기는 인디 브랜드사의 수요에 대응해 디지털 전환으로 제품 개발 속도를 높인다는 구상을 현실로 옮겼다. 이노베이션 라이브러리는 소비자 요청 사항을 반영한 제품을 신속하게 개발하기 위해 구축한 화장품 제형 인벤토리 대여와 관리 시스템이다. 연구소 내 1천여 종의 이노베이션 인벤토리 제품을 한데 모은 오프라인 공간을 구축하고 이를 온라인 시스템과 연계했다. 라이브러리 내에는 △ 이달의 신규 제형 △ 카테고리별 대표 제형 △ 트렌드 제형 △ 컬러북 등을 포함하고 있다. 샘플에 부착된 QR코드 스캔 시 자체 데이터베이스 내 제형 특징 등을 포함한 기술 설명 자료를 확인 가능하다. 코스맥스는 신규 제품 제안을 위해 매번 샘플을 개발하던 프로세스를 단축, 업무 효율성을 높이고 고객사 편의성을 제고할 방침이다. 연구원이나 상품기획자 누구나 관심 있는 화장품 제형을 살펴볼 수 있어 제형 개발 연구 랩 간 융합 연구를 촉진하는 마중물
글로벌 뷰티&헬스 연구·개발·생산(ODM) 전문기업 코스맥스그룹(회장 이경수)이 업무 전반에 생성형 인공지능(AI)를 도입한다. 코스맥스그룹은 AI 도입을 통해 생산성과 효율성을 높이고 디지털 전환 속도를 높인다는 방침이다. 코스맥스그룹은 생성형 AI ‘코스챗’(COS-Chat)을 개발, 업무 현장에 도입했다고 밝혔다. 코스챗은 인공지능 기업 오픈AI가 설계한 최신 생성형 AI GPT-4o를 기반으로 개발햇다. GPT-4o는 챗봇의 대화 반응 속도가 0.23초에 불과해 신속한 업무 대응이 가능하다. 아울러 종전 모델 대비 한국어 처리 능력이 향상돼 국내 업무 환경에 적합한 AI 모델이라는 설명이다. 코스챗은 간편한 사용방법과 방대한 업무 활용성이 특징. 임직원들은 사내에서 사용하고 있는 업무 메신저를 통해 간편하게 코스챗을 이용할 수 있다. 일반적인 생성형 AI와 마찬가지로 대화를 하듯 코스챗에게 질문을 하면 결과값을 보여주는 방식이다. 코스맥스그룹 측은 “코스챗을 연구·생산·영업은 물론 재무·경영관리·IT 등 업무 전반에 활용할 계획”이라고 밝히고 “검색과 문서 작성 등 간단한 업무에서부터 AI를 활용한 연구 활동과 각종 수요 예측, 트렌드 조사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