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뷰티=뷰티 문화‧습관’ vs ‘J뷰티=혁신 기술’ vs ‘C뷰티=신 원료’. 세계 화장품 소비자는 K뷰티에서 한국의 뷰티 문화와 습관을 떠올렸다. 일본 뷰티는 혁신기술을, 중국 뷰티는 새 원료가 강점이라고 인식했다. 이는 유로모니터 인터내셔널(한국지사장 고은영)가 발표한 2019 뷰티 서베이에서 나타났다. 유로모니터는 6월부터 7월까지 전세계 20개국에 거주하는 15세 이상 69세 이하의 소비자 2만여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했다. 응답자 가운데 70%가 여성이다. 이번 설문에서는 K뷰티에 대한 인식을 조사했다. 응답자의 26.8%가 K뷰티를 안다고 답해 1위를 차지했다. J뷰티는 21.9%, C뷰티는 11.6%에 그쳤다. K뷰티의 특성으로 떠오르는 점은 △ 한국의 뷰티 문화나 습관(53.4%) △ 전세계적인 뷰티 컨셉(36.0%) △ 혁신적인 제품 포맷‧컨셉(35.3%) 등이다. J뷰티의 특징은 혁신적인 기술이 32.2%로 2위에 올랐다. C뷰티는 ‘새로운 원료 성분’이 3위에 들었다. 아울러 보고서는 ‘프리미엄 제품=고가 브랜드’라는 공식이 깨지고 있다고 밝혔다. 소비자 58%는 ‘검증된 효과’가 나타나는 제품을 프리미엄으로 인지한다. △ 천연 및 프
에이블씨엔씨가 우크라이나에 미샤 2호점을 열었다. 미샤 우크라이나 2호점은 수도 키예프 오션플라자몰에 있다. 아쿠아리움‧극장‧레스토랑 등을 갖춘 대형 쇼핑몰로 가족과 연인들이 자주 찾는다. 에이블씨엔씨는 이달 초 이곳 매장에서 무료 메이크업 클래스를 열어 호응을 얻었다. 이 회사는 2016년 우크라이나에 진출했다. 온라인 마켓과 화장품 멀티브랜드숍 아이에스이아이(isei)에서 제품을 판매했다. 올해 2월 키예프 라비나몰에 미샤 1호점을 냈다. 에이블씨엔씨가 우크라이나에서 올린 매출은 2016년 26만 달러, 2017년 91만 달러, 2018년 265만 달러다. 올해 매출은 10월까지 266만 달러를 기록했다. 우크라이나는 인구 약 4,400 만 명을 보유했다. 코트라 키예프무역관에 따르면 우크라이나의 한국 화장품 수입액은 지난 해 기준 553만 달러다. 2017년 284만 달러에 비해 두 배 이상 성장했다. 신보윤 에이블씨엔씨 해외영업팀 이사는 “우크라이나에서도 K팝 열풍이 뜨겁다. 한국에 대해 긍정적인 이미지를 갖고 있다. 반면 공식 진출한 화장품 브랜드는 적은 편이다. 유통을 확대해 시장을 선점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오픈서베이(대표 황희영)가 27일(수) 오전 10시와 오후 2시 서울 서초동 드림플러스 강남에서 하반기 트렌드 세미나를 연다.
버츠비 핸드크림은 손을 촉촉하고 매끄럽게 가꿔준다. 시어버터‧호호바버터와 코코넛야자‧바오밥나무‧해바라기씨‧피마자씨 오일이 들어 있다. 거친 손에 풍부한 영양과 보습 효과를 제공한다. 손에 끈적임없이 부드럽게 발리며 산뜻한 마무리감을 준다. 버츠비 라벤더 앤 허니 핸드크림 위드 쉐어버터는 은은한 허브 향과 꿀 성분을 결합했다. 버츠비 로즈마리 앤 레몬 핸드크림 위드 쉐어버터는 로즈마리와 레몬을 함유했다. 싱그러운 풀밭에 있는 느낌을 준다. 오렌지 블라썸 앤 피스타치오 핸드크림 위드 쉐어버터는 시트러스 향에 따뜻한 너트 향을 더했다.
메종 크리스챤 디올 럭키 배쓰는 행운이 필요한 순간을 위해 탄생한 연말용 선물세트다. 섬세한 향을 지닌 향수와 보디 크림‧비누 등으로 구성했다. 럭키 오드 퍼퓸의 달콤한 향기를 담은 것 이 특징. 화이트 플라워와 은방울 꽃 향은 행복한 추억과 미래에 대한 설렘을 가져온다. 메종 크리스챤 디올은 디올 뷰티의 라이프 스타일 라인이다. 7월 5일 롯데백화점 본점 1층에 단독 매장을 열었다. 플로럴‧프루티‧오리엔탈 계열 향수 22종과 비누, 양초, 보디 크림 등을 판매한다.
라이크아임파이브 개발자 유진이 소비자 질문에 영상으로 답했다. 유진은 ‘유진에게 물어보세요’에 접수된 소비자 궁금증을 모아 상세히 설명했다. 그는 로희와 로린을 키우면서 쌓은 육아 노하우와 제품 개발 동기 등을 소개했다. 화장품 지식과 사용법도 알려줬다. 건성 피부에 대한 고민을 털어놓은 소비자에게는 크림과 오일을 권했다. 피부 수분을 가둬두는 보습 케어가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로희가 선호하는 제품과 사용법, 피부 타입별 관리법 등도 제시했다. 나아가 유진은 영상에서 ‘베스트 오브 보이스’ 3인을 선정해 △ 마일드 선스크린 △ 마일드 선 클렌징 패드 △ 올데이 수딩 젤 로션 등을 증정했다. 질문을 남긴 모든 참여자에게 ‘러브유 핸드케어’ 3종 세트를 제공했다.
투쿨포스쿨이 9일 싱가포르 창이공항 면세점에 입점했다. 이 브랜드는 신라면세점에서 운영하는 창이공항 3터미널 화장품&향수 매장에서 제품을 판매한다. 주력 품목은 △ 예술성을 담은 메이크업 ‘아트클래스’ △ 보습력을 높인 스킨케어 ‘에그’ 라인 등이다. 특히 미국‧유럽 소비자의 입소문을 탄 △ 바이로댕 쉐딩 △ 에그 마스크 △ 에그 레미디 팩 샴푸 △ 에그 레미디 헤어 팩 등을 매장 전면에 배치했다. 투쿨포스쿨 관계자는 “창이공항은 아시아의 허브다. 지난 해 창이공항 이용객 수는 6천 560만 명에 달한다. 해외 소비자에게 브랜드를 알려 매출을 늘려나갈 계획이다”고 전했다.
AHC가 중국 광군제에서 지난 해 대비 153% 신장한 매출을 올렸다. 티몰글로벌에 입점한 브랜드 20만 개 중 판매 순위 4위를 기록했다. 티몰글로벌 뷰티 부문에서는 매출 1위를 차지했다. 인기 품목은 AHC 히아루로닉 스킨케어 2종 세트다. 행사 하루 만에 14만 2천 세트가 팔렸다. AHC 아이크림 포 페이스 골드도 ‘얼굴 전체에 바르는 아이크림’으로 알려지며 매출을 이끌었다. ‘하이드라 G6’ ‘온리 포 맨’ 등 수분‧보습‧진정용 화장품과 남성 스킨케어도 높은 관심을 받았다. 광군제를 앞두고 실시한 마케팅도 효력을 나타냈다. AHC는 5월 양차오웨를 브랜드 모델로 뽑고 중화권 소비자와 소통했다. 중국 밀레니얼 세대를 공략하기 위해 왕홍과 라이브 방송도 실시했다. 회사 관계자는 “중국 소비자들이 피부 건조와 노화를 걱정하기 시작했다. 수분 스킨케어 라인과 안티에이징 제품을 중점 선보여 높은 매출을 달성했다”고 전했다. 올해 광군제는 세계 78개 국가가 참여했다. 행사 시작 16시간 만에 전년도 전체 거래액을 뛰어넘으며 기록을 세웠다.
중국경영연구소(소장 박승찬)가 23일(토) 오후 2시부터 서울 코엑스 4층 무역아카데미 태평양 강의실에서 제87회 차이나 비즈니스 세미나를 연다. 세미나는 ‘중국의 변화, 비즈니스 꽌시도 변한다’를 주제로 삼았다. △ 중국 비즈니스 꽌시는 어떻게 작동하는가 △ 중국 뉴 꽌시 활용법, 이렇게 준비하라 등을 소개할 예정이다.
YJN파트너스(대표 김영준)가 20일(수) 오후 4시부터 6시까지 서울 강남 씨엘빌딩 지하 1층에서 화장품 유럽인증 기초 무료세미나를 연다. 강연을 맡은 이동기 YJN파트너스 차장은 △ 화장품 유럽 인증 CPNP 법령 및 프로세스 이해 △ 실제 CPNP 등록 사례를 통한 문제 해결 방법 등을 설명한다.
한큐컴퍼니는 21일(목) 오후 2시부터 서울 예인스페이스 강남점에서 ‘2019 중국 진출 세미나 & 네트워킹’을 개최한다. 이번 행사에서는 △ 왕홍을 활용한 타오바오 판매 극대화 전략(김민성 GCSC 대표) △ 정부지원사업 200% 활용한 중국 진출 전략(장석근 한큐컴퍼니 대표) 등을 제시한다. 100만 팔로워를 보유한 중국 왕홍 3명은 ‘왕홍이 원하는 한국 제품’을 소개할 예정이다.
비건 뷰티 브랜드 디어달리아가 국내외 유통 채널을 확장하고 나섰다.디어달리아는 유럽 프리미엄 시장에 진입했다. 프랑스 라파예트백화점과 영국 필유니크에 입점해 제품을 판매하고 있다. 필유니크는 일 평균 방문자가 13만명에 달하는 유럽 대표 온라인몰이다. 디어달리아는 유럽시장 현지 트렌드에 맞춘 제품을 선보이며 인지도를 확대할 예정이다.중동시장에도 진출했다. 지난 달 중동 뷰티 이커머스 플랫폼인 ‘부티카’(Boutiqaat)에 론칭했다. 팔로워 800만명을 보유한 뷰티 전문가 닥터클루디와 마케팅을 펼치고 있다.글로벌 리서치기업인 테크사이(TechSci)에 따르면 전 세계적인 화장품 트렌드인 △ 클린 △ 그린 △ 지속가능한 뷰티가 중동에도 자리잡았다. 디어달리아는 부티카를 발판 삼아 걸프협력회의(GCC) 6개국으로 유통을 넓힐 계획이다.아울러 디어달리아는 내달 △ 베트남 뷰티 편집매장 뷰티박스 에이온 하 동(Aeon Ha Dong) 6호점 △ 필리핀 SM슈퍼몰 노스 에드사(North EDSA) 5호점 △ 일본 다이마루백화점 오사카점 △ 일본 아이온 오차드점(ION Orchard) 등에 입점한다.이나래 디어달리아 해외사업본부 차장은 “진정성 있는 브랜드 스토리와 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