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만은 자외선이 강한 나라다. 선케어 화장품 수요가 높다. 대만에서는 사계절 내내 자외선차단제를 사용하는 인구가 늘었다. 햇볕이 강한 7월과 8월은 물론 흐린 날에도 자외선이 피부에 영향을 미친다는 인식이 퍼지면서다. 대만 소비자는 고온다습한 기후로 인해 끈적임이 덜하고 가벼운 제형의 선케어 제품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흡수율을 높인 파우더형 제품이나 뿌리는 스프레이형 제품을 찾는 소비자도 늘었다. 코트라 대만 타이베이무역관은 대만 선케어 제품 시장동향을 발표했다. 가벼운 제형‧SPF 50 지수 선호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2018년 대만 선케어 시장 규모는 29억 대만 달러(9천 358만 미 달러)에 달한다. 2017년에 비해 9.3% 성장한 규모다. 보고서는 내년부터 5년 동안 대만 선케어 시장이 연평균 5%대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2023년에는 37억 대만 달러(1억 1940만 미 달러)에 이를 것으로 내다봤다. 자외선 차단지수가 높은 제품을 구매하는 소비자가 늘었다. 과거 SPF 30 제품이 많이 팔렸으나, 자외선의 유해한 효과를 걱정하는 소비자가 증가하며 SPF 50 지수의 제품이 인기다. 아울러 고온다습한 대만 기후 특성으로 끈적거리지 않고
아벤느가 6일 서울 콘래드호텔에서 ‘피부 마이크로바이옴’을 주제로 심포지엄을 열었다. 이 행사에는 세계 11개국의 피부과 전문의 110명이 참석했다. 이들은 피부 마이크로바이옴 연구 성과를 공유했다. 김규한 서울대 의과대 교수와 안드레아스 윌렌버그 독일 뮌헨대 교수가 좌장을 맡았다. 김규한(대한아토피피부염학회 회장) 교수는 ‘아토피 초기 단계에서의 항생제 사용과 감염’을 주제로 발표했다. 홍수종 서울아산병원 교수가 ‘아토피 피부염의 발생에 있어 초기 장내 마이크로바이옴의 역할‘을 제시했다. 이 외에도 피부 마이크로바이옴과 아토피 피부염의 상관관계에 대한 다양한 논문이 소개됐다. 마이크로바이옴은 미생물(Microbe)과 생태계(Biome)를 합친 말이다. 인체에 서식하는 미생물의 유익한 생태계를 뜻한다. 마이크로바이옴은 체내에서 사람마다 다른 생태계를 구성한다. 면역계‧신경계‧대사‧피부 등 인체의 모든 기능에 영향을 미친다. 최근 DNA 해독기술을 바탕으로 유익균‧유해균의 생성 원리와 질병 간 상관관계가 밝혀졌다. 이에 의학계는 물론 뷰티업계에서도 마이크로바이옴에 대한 연구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아벤느는 2002년부터 매년 세계 각국의 피부과 전문의를 초
중국에서 프리미엄 헤어케어 시장이 주목받고 있다. 고급 두피케어 제품과 홈살롱 제품이 유망 품목으로 떠올랐다. 전문성 살린 프리미엄 헤어 제품으로 중국시장을 공략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코트라 중국 선양무역관은 중국 헤어케어시장 분석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는 중국 헤어케어 시장이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다고 봤다. 중국인의 소득수준이 높아지고 건강·외모에 대한 관심이 늘면서부터다.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지난 해 중국의 헤어케어 시장은 534억 위안에 달하며 성장률은 4%대를 나타냈다. 앞으로 5년 동안 4% 대의 성장을 유지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중국 시장에서 샴푸는 시장 포화상태에 달했다. 반면 △ 트리트먼트 △ 염색제 △ 미용실용 전문제품 △ 탈모케어 제품 수요는 늘고 있는 상황이다. 고급화 바람 거센 중국 헤어케어 시장 최근 중국 헤어케어 시장에 고급화 바람이 불고 있다. 2017년 이후 고급 헤어케어 제품을 구매하는 소비자가 크게 늘었다는 분석이다. 가구 당 소득이 높아지면서 소비자는 대중적인 제품보다 ‘특별한’ 제품을 찾고 있다. 중국 1‧ 2선 도시에서는 고급 케어제품들의 보급률이 상승하는 추세다. 머리 속 피부를 관리하라 ‘두피케어’ 두피
달바가 브랜드 모델인 한혜진과 촬영한 광고 영상을 공개했다. 이번 영상에서 한혜진은 ‘세럼을 스프레이하다’를 주제로 달바 미스트 세럼을 소개한다. 세련된 블랙 드레스를 입고 도도한 표정으로 등장해 시선을 모은다. 달바 미스트 세럼은 화이트 트러플 세럼층과 식물성 오일층을 황금 비율로 배합했다. 사막보다 건조한 기내에서도 수분막을 형성해 피부를 촉촉하게 가꿔준다. 고농축 오일 세럼을 미스트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토너·세럼·오일·미스트 기능을 결합해 언제 어디서든 빠르고 편리하게 피부를 관리할 수 있다. 반성연 달바 대표는 “한혜진의 카리스마와 당당한 이미지를 살려 기존 화장품 광고와 차별화한 영상을 기획했다. ‘Spray your beauty’라는 메시지가 소비자들의 머리 속에 혁신적으로 전해지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달바는 공식 온라인몰과 롭스·올리브영·시코르 등에서 판매한다.
자이글이 브랜드 모델 오연서와 촬영한 TV 광고를 공개했다. 이 회사는 LED 마스크 신제품인 ‘ZWC 페이스 앤 바디 마스크’(ZWC Face & Body Mask) 광고를 IPTV·유튜브·홈페이지 등에 소개했다. 오연서는 ‘얼굴 그 아름다운 케어는 기본, 거기에 바디까지’라는 메시지와 함께 등장한다. 그는 피부 탄력과 톤업을 한번에 완성하는 페이스 앤 바디 마스크의 특징을 표현한다. 이번 광고는 붉은 빛을 배경으로 산소와 LED가 피부로 흡수되는 모습을 담았다. 여기에 오연서의 고급스럽고 고혹적인 목소리가 더해져 제품의 품격을 드러낸다. 자이글은 임상실험 83가지를 바탕으로 ZWC 페이스 앤 바디 마스크의 효능과 기술력을 입증했다. 회사 관계자는 “이번 광고에서는 오연서의 깨끗하고 아름다운 피부와 페이스 앤 바디 마스크의 효과가 잘 어우러졌다. ‘피부 탄력과 톤업의 완성’이라는 주제를 소비자에게 알리며 홈쇼핑 에도 진출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자이글은 8월 오연서와 뷰티 헬스케어 브랜드 ZWC의 광고 모델 계약을 체결했다. 자이글 ZWC는 회사의 주요 이미지인 산소·웰빙 등과 오연서의 이미지가 잘 부합한다고 판단해 모델 계약을 진행했다. 오연서는
엘앤피코스메틱의 ‘메디힐 N.M.F 아쿠아 앰플 마스크 JEX’가 3일 일본 앳코스메가 선정한 ‘2019 베스트 코스메틱 어워드’에서 마스크팩 부문 2위에 올랐다. 앳코스메(@cosme)는 일본 화장품 리뷰 사이트다. 회원 360만 여명이 화장품 평가를 거쳐 매년 소비자에게 사랑 받은 화장품 순위를 발표한다. 메디힐 N.M.F 아쿠아 앰플마스크 JEX는 앳코스메 회원 리뷰와 평점, 브랜드 페이지 방문 수 등에서 두루 높은 점수를 받았다. 이 제품은 히알루론산나트륨과 하마멜리스 물이 들어 있어 피부에 수분 에너지를 충전한다. 거칠고 건조해진 피부를 생기 있고 촉촉하게 가꿔준다. 메디힐 관계자는 “광고나 프로모션 없이 순수한 소비자 리뷰를 바탕으로 마스크팩 부문 2위를 차지했다. 일본 현지 마케팅을 강화해 내년에는 1위를 거머 쥐겠다”고 전했다.
올리브영(대표 구창근)이 6일 서울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제18회 한국 SCM 산업대상’ 시상식에서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표창과 유통 부문 대상을 동시 수상했다. 한국 SCM 산업대상은 공급망 관리 시스템(SCM, Supply Chain Management) 확산에 기여한 기업과 개인을 선정하는 제도다. 올리브영은 딥 러닝 기술을 바탕으로 한 수요 예측 시스템을 구축, 국내 유통업계에 공급망 관리 시스템을 정착시킨 공로를 인정받았다. 유통 부문 수상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표창까지 2관왕에 올라 의미를 더했다. 딥 러닝 기술은 과거 데이터에서 패턴을 추출해 미래 시점의 판매량을 예측하는 머신 러닝(Machine Learning) 개념 중 하나다. 올리브영은 지난 3년 간 매출 자료를 학습해 수요 예측 시스템을 구현했다. 이는 물류센터와 매장의 재고를 효율화하는 데 기여했다는 평가다. 특히 올리브영은 △ 결품 최소화 △ 재고 부담 감소 △ 발주 업무 경감 등을 이뤄 높은 점수를 얻었다. 이 회사는 내년 1월부터 데이터 분석 고도화 시스템을 기반으로 IT부서와 협업해 새 수요 예측 시스템을 단계적으로 적용할 계획이다. 올리브영 관계자는 “SCM 분야에서 중요 키
듀이트리 얼티밋 에너지 멀티 올인원 기프트 세트는 칙칙하고 힘 잃은 남성 피부에 생기를 전한다. 싱싱한 발아 새싹 5종이 들어 있어 피부에 수분과 영양을 공급한다. 5~7일 동안 자란 새싹을 수확한 뒤 24시간 이내 추출해 영양분 손실을 줄인 점이 특징이다. 얼티밋 에너지 멀티 올인원 정품(120ml)과 클렌저 증정용(60ml)이 들어 있다. 이들 제품은 식약처 고시 미백‧주름개선 성분인 나이아신아마이드‧아데노신 등을 함유했다. 피부를 화사하고 탄력있게 가꾼다. 또 겨울철 민감해진 피부를 진정시키고 활력과 에너지를 제공한다. 유분기 많고 쉽게 번들거리는 남성 피부에 끈적임 없이 산뜻한 사용감을 제공한다.
이탈리아무역공사(이탈리아대사관 무역진흥부, 이하ITA)가 11일 서울 가로수길에 이탈리아 홍보관 ‘하이 스트리트 이탈리아’를 연다. 하이 스트리트 이탈리아(HIGH STREET ITALIA)는 이탈리아의 제품과 문화, 라이프 스타일 등을 한국에 소개하는 공간이다. 주한 이탈리아대사관과 이탈리아관광청이 협력했다. 1‧2층 쇼룸과 팝업매장에선 화장품‧패션‧생활용품을 선보인다. 3층부터 5층은 이탈리아 문화를 알리는 전시회와 도서라운지, 쿠킹 스튜디오, 와인 클래스, 세미나 등으로 구성했다. 홍보관 건물은 이탈리아 시모네 까레나(Simone Carena)와 마르코 브르노(Marco Bruno)가 디자인했다. 이탈리아와 한국을 연결한다는 주제를 표현하기 위해 수로를 모티브로 삼았다. 고대 로마의 수로가 물과 생명, 문화를 전파했던 도구라는 데서 영감을 받았다. 이탈리아무역공사는 11일 11시 홍보관 오프닝 행사를 연 뒤 12시부터 정식 개관한다. 운영시간은 11시부터 20시이며, 매주 월‧화는 휴무다. (문의 : 이탈리아 무역공사 02-779-0811~3)
‘선영아 사랑해’라는 카피를 전국에 유행시킨 이진민 아이소이 대표. 그가 신간 '김문정은 왜 이 회사를 10년째 다닐까'를 펴냈다. 마케터로 시작해 아이소이 최고경영자가 된 자신의 이야기를 담았다. 10년 동안 아이소이의 브랜드 철학을 지키며 걸어온 과정도 소개했다. 아이소이 직원들이 생각하는 기업문화도 실었다. 1장과 2장은 최연소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출신 이진민 대표가 아이소이를 설립하기까지 과정을 말한다. 브랜드 철학이 아이소이의 마케팅 전반에 어떻게 녹아 들어 실행되는지 알려준다. 3장에서는 아이소이의 브랜드 철학을 반영한 조직문화를 담았다. 4장에서는 직원들이 작가로 등장해 아이소이의 생각과 사내 복지 등에 대해 말한다. 제목에 등장하는 직원 김문정 씨의 글도 확인할 수 있다. 이진민 대표는 “내 꿈은 두 가지다. 오래 다니고 싶은 회사를 만드는 것과 딸부터 엄마까지 모든 여성에게 사랑 받는 천연화장품을 만드는 것이다. 그 꿈을 이 책에 생생히 그렸다”고 전했다. 이진민 지음│글로세움 펴냄│272쪽│1만2,000원
원적외선 마스크 브랜드 보미라이가 2세대 제품을 선보였다. 2세대 보미라는 디자인과 편의성을 높은 것이 특징이다. 마스크 내부와 헤어밴드 등 전면을 흰색으로 바꿔 고급스러움을 강조했다. 헤어밴드는 버튼 조절식으로 바꿔 개인 두상에 맞게 사이즈를 조절할 수 있다. 유연한 곡선형의 디자인으로 나와 머리를 안정적이고 편안하게 받쳐준다. 헤어밴드 안쪽에 실리콘 소재를 덧대 흘러내리지 않는다. 보미라이는 15일까지 사전예약 행사를 연다. 이벤트 기간 공식 온라인몰에서 제품을 구매하거나 렌탈 신청 시 엘쎄라 럭셔리 24K 골드 앰플 2병을 증정한다. 보미라이 마스크는 원적외선 제품이다. 원적외선이 피부에 침투해 세포를 활성화한다는 설명.. 피부 톤과 탄력을 개선하고 보습‧진정 효과를 준다. 특허 기술인 골드시트를 적용해 원적외선효과를 높였다. 제품을 착용한 채 TV 시청과 독서 등 일상생활이 가능하다.
토니모리(회장 배해동)가 5일 서울 양재동 본사에서 중국 왕홍 10명을 홍보대사로 위촉했다. 왕홍은 중국 온라인 라이브 방송 플랫폼 ‘이즈보’ 등에서 활약하는 이들도 선정했다. 450만명의 팔로워를 보유한 오우양푸푸(欧阳付付), 330만 팔로워의 즈닝(梓宁) 등도 포함했다. 토니모리는 이날 왕홍들과 라이브 방송을 열고 △ 컨시크 올 오버 스킨 쿠션 △ 컬러 마크 인텐스 립스틱 등을 소개했다. 왕홍 10명이 동시 진행한 방송은 1시간 만에 조회수 6,596만회를 기록했다. 토니모리는 내년 중국 온‧오프라인 채널 별 맞춤형 마케팅을 실시할 계획이다. 타오바오‧티몰‧징동닷컴 등 온라인 채널과 상해‧항주 250여개 매장을 연동해 시너지 효과를 낼 방침이다. 회사 관계자는 “내년 핀둬둬‧콰이쇼우에 진출한다. 내몽고‧간쑤성 등 지방에도 매장을 낸다. 중국에서 영역을 확장하며 글로벌 시장에 영향력을 키워나갈 전략이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