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모닝은 ICT 플랫폼 컨설팅을 포함한 소프트웨어 개발 전문기업 (주)이젬코와 공동으로 지난 2022년과 2024년, 두 차례에 걸쳐 화장품 산업의 스마트 팩토리 구축 성공사례 기업을 발굴하고 이들 기업이 스마트 팩토리 구축을 통해 거두고 있는 생산현장에서의 성과와 스마트 팩토리 솔루션 도입을 통해 추진해 나아가고 있는 미래 화장품 생산공장의 모델을 제시하는 기획을 모두 23회 연재했다.
화장품을 포함해 식품·의약품 산업의 스마트 팩토리 솔루션·프로그램·소프트웨어 개발 전문기업 (주)이젬코는 △ ICT 플랫폼 컨설팅 △ PLC와 IoT(사물인터넷)를 활용한 자동화설비 △ 자동제어 등의 부문의 축적된 기술력을 바탕으로 화장품 산업의 스마트팩토리 구축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올해에는 특히 부처협업형 사업으로 대한화장품협회와 스마트제조혁신협회가 스마트팩토리 구축지원사업 공동 수행기관으로 이를 진행했으며 2026년에도 이어갈 예정이다. ‘코스모닝-(주)이젬코 공동 기획 시즌3’ 연재에 들어간다. 독자 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성원을 기대한다. <편집자 주>
지난해 1천51억 원의 매출액을 시현, 중견 OEM·ODM 기업으로서의 위상을 굳건히 다지고 있는 (주)서울화장품(대표이사 한정수)은 수십 년간 축적한 연구개발 기술 노-하우와 철저한 품질관리를 통한 고품질 제품 개발·생산으로 국내는 물론 글로벌 시장에서의 영향력을 확대 중이다.
기초·보디·기능성화장품·헤어케어·의약외품·동물용 제품 등에 이르기까지 전 영역을 커버하고 있다. 혁신성을 강조한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특허 제형·나노테크놀러지 등의 독자 기술을 접목한 제품 개발과 △ 온도별 가혹테스트 △ 방부력 시험을 통한 안전성 확보로 품질력에서 경쟁력을 자랑한다.

(주)이젬코와 진행한 스마트팩토리 구축 과정에서 스마트공장 관리 시스템 도입이 최우선 과제였다. 공정 자동화를 통한 전사 업무 운영관리 지원으로 휴먼에러(Human Error) 해소를 완성하는 동시에 불량 발생률 감소를 일궈냈다.
세부 내용으로는 칭량 관리 시스템을 도입, 입고 시 부착한 원료 라벨 바코드 리딩을 통한 자동 칭량으로 오차 예방과 LOT별 관리 효율성을 증대했다.
벌크 제조 시스템을 통해 가마 PLC 연동으로 실시간 제조 데이터(시간·온도·RPM) 자동 집계를 구현, 품질 안정성 확보에도 성과를 거뒀다. 충포장 관리 시스템 도입 과정에서는 현장 키오스크를 배치해 △ 실적·불량 수량 관리 △ 충전·포장 지시와 기록서 생성 자동화를 완성, 생산 효율성과 업무 효율 향상을 꾀했다.
실적 처리 데이터에 바탕한 실시간 생산실적 모니터링을 진행, 공정 이슈 파악과 실시간 즉각 대처도 이뤄졌다.
창고 관리 시스템에서는 창고별 입·출고 시 바코드 라벨 리딩으로 자재 위치 파악과 재고관리 효율성을 증대했으며 이에 따른 비용 감소가 자연스럽게 연결될 수 있도록 했다.
처방 기준 국가별 금지·한도 성분을 클릭 한 번으로 검증할 수 있도록 성분 클라우드 시스템을 도입해 품질과 안전성을 향상하는 동시에 불필요한 업무 시간을 단축하는 효과도 얻었다.
특히 협업 알림 시스템을 도입, 공정별 실시간 업무 파악이 가능해짐에 따라 부서별 업무 혼선이 감소하고 시스템 내 실시간 앱 푸시 알림으로 원활한 업무 협업 지원이 이뤄졌다는 점도 스마트팩토리 구축을 통해 얻은 성과라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