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화장품 OGM(글로벌 규격 생산) 전문 기업을 표방하는 코스메카코리아(대표이사 조임래·박은희)가 올해 3분기 동안 △ 매출액 1천824억 원 △ 영업이익 272억 원 △ 당기순이익 223억원(이상 연결 기준)을 달성했다고 공시했다.
3분기 실적은 전년 동기 대비 △ 매출액 44.0% △ 영업이익 78.8% △ 당기순이익 161.1% 증가한 수치로 분기 실적 기준 최고 기록에 해당한다.
직전 분기 대비로 매출액 12.8%·영업이익 18.1%·당기순이익 106.9% 증가하며 견조한 성장세를 이어갔다. 특히 올해 3분기까지 누적 영업이익은 625억 원으로 이미 지난해 연간 영업이익 604억 원을 초과 달성했다.

회사 측은 “3분기까지의 실적 호조는 국내외 인디 브랜드사의 수주 증가가 핵심 배경으로 작용했으며 신제형 개발과 고객 중심의 제품 제안력, 신속한 대응력이 유기성있게 결합한 결과”라는 자체 분석과 함께 “세계 최초 3중 기능성 비비크림을 출시했던 혁신의 DNA를 바탕으로 독자 제형을 글로벌 시장에 잇따라 선보이며 K-뷰티 기술의 기준을 만들어가고 있다”고 강조했다.
한국법인은 전년 동기 대비 57.4% 증가한 1천298억 원의 매출을 기록, 분기 기준 최대 매출을 달성했다. ‘Time to Market’(시장 출시기간 단축) 전략을 기반으로 고객사의 요구에 신속히 대응했고 K-뷰티 인디 브랜드사의 해외 수출 증가와 신규 고객 유입이 가속화되며 성장을 이뤄갈 수 있었다.
특히 자사 독자개발 제형 ‘클렌징 오일’과 ‘필샷’ 제품이 각각 아마존과 틱톡 플랫폼에서 베스트셀러에 오르며 실적을 견인했다.
미국법인 잉글우드랩은 전년 동기 대비 50.3% 증가한 618억 원의 매출로 이 역시 분기 기준 최대 매출이다. 미국 인디 브랜드의 리오더(재주문)와 OTC 선스크린 제품 매출 증가가 호조세를 이끌었다.
잉글우드랩은 고객사의 요청에 따라 뉴저지(Made in USA)와 인천(Made in Korea)의 이원화 생산체계를 기반으로 관세 리스크와 공급 불확실성에 기민하게 대응하고 있다. 지난 9월에는 ‘메이크업 인 뉴욕 2025’ 참가를 통해 현지 영업망을 강화하는 등 중장기 계획의 일환으로 미국 내 생산 기반 확충과 제품 포트폴리오 고도화을 추진 중이다.
중국법인 코스메카차이나는 전년 동기 대비 12.8% 감소한 81억 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현재 한·중 연구소 간 공동 개발 프로젝트가 본격화되면서 자외선 차단·미백 등 기능성 제품을 중심으로 한 신제품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할랄 인증 추진을 통해 중국 내수와 동남아 시장을 아우르는 제품 포트폴리오를 구축 중이며 단기 차원으로 현지 매출 회복, 중장기 계획으로는 중국·동남아 시장 점유율 확대를 목표로 세웠다.
조임래 회장은 “코스메카코리아는 글로벌 톱티어 ODM 전문기업로서 글로벌 시장 공략 전략으로 성장하고자 한다”며 “R&D 부문 지속 투자와 제형 다각화를 통해 제품 포트폴리오를 확장해왔으며 최근에는 K-뷰티 인디 브랜드사뿐 아니라 글로벌 인디 브랜드사의 신규 수주도 성과를 거두고 있어 중장기 성장 가능성 또한 충분하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