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반기 57곳 매출 성장…20% 이상 증가 기업은 19곳
하위권 기업 이익경영에 난항 지속…브랜드 기업이 전체 성장세 견인차
■ 2분기 영업이익 부문
지난 2분기 영업이익 흑자(증가·감소·흑자전환)를 기록한 기업은 모두 56곳, 적자(적자지속·적자확대·적자전환)에 머문 곳은 34곳으로 나타났다.
엔에프씨와 메디앙스 두 곳은 흑자로 돌아섰지만 신세계인터내셔날(-23억 원)·국전약품(-8억 원)·엘앤씨바이오(-2억 원)·코리아나화장품(-5억 원)·뷰티스킨(-17억 원)·본느(-26억 원)·CSA코스믹(-17억 원)·제이준코스메틱(-14억 원)·현대바이오(-48억 원) 등 9곳은 적자전환했다.
이 기간 30% 이상의 영업이익 증가율을 기록한 기업은 모두 20곳이다. 아모레퍼시픽(1,673.3%)와 아모레퍼시픽홀딩스(555.5%)의 증가율은 지난해 같은 기간의 기저현상에 의한 결과라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제닉의 514.3%(55억 원) 역시 같은 맥락이긴 하지만 그동안의 침체상황을 극복하고 있는 모습이라는 점에서 나름대로의 의미를 부여할 만한 수치다.
△ 파미셀 265.5%(82억 원) △ (주)에이피알 201.9%(846억 원) △ 청담글로벌 178.1%(42억 원) △ 잉글우드랩 139.3%(102억 원) △ 코디 100.7%(20억 원) 등도 전년 같은 기간보다 두 배 이상의 영업이익 성장률을 일궜다.
뒤를 이어 △ 파마리서치 81.7%(559억 원) △ P&K 80.1%((8억 원) △ 달바글로벌 65.9%(292억 원) △ 펌텍코리아 52.6%(194억 원) △ 바이오에프디엔씨 50.2%(18억 원) △ 코스맥스비티아이 44.4%(99억 원) △ 에이블씨엔씨 39.6%(72억 원) △ 클래시스 37.9%(430억 원) △ 콜마비앤에이치 37.3%(107억 원) △ 실리콘투 34.0%(522억 원) △ 휴젤 33.6%(567억 원) △ 코스맥스 30.2%(608억 원) 등 12곳의 기업들도 30% 이상의 영업이익 성장률을 기록했다.
■ 상반기 영업이익 부문
상반기 영업이익 부문 역시 2분기의 상황과 거의 유사한 수준이다. 흑자를 기록한 기업은 57곳, 적자에 그친 기업은 33곳이었다. 씨티케이·엔에프씨·메디앙스는 흑자로 전환하는데 성공했다.
반대로 국전약품·엘앤씨바이오·코리아나화장품·뷰티스킨·본느·세화피앤씨·한국비티비·TS트릴리온·현대바이오 등 9곳은 적자로 돌아서고 말았다.
흑자기업 57곳 가운데 영업이익이 증가한 곳은 33곳, 감소는 21곳, 흑자전환한 곳이 3곳이었다. 적자기업 33곳 중 적자가 지속하고 있는 곳이 13곳, 적자 폭이 확대한 곳은 11곳, 그리고 9곳은 적자전환했다.
상반기 영업이익 성장률 30% 이상을 시현한 기업 수 역시 2분기와 같은 20곳이다. 7,124.9%를 기록한 파미셀이 최고 성장률을 기록했지만 지난해 상반기 이 회사의 영업이익은 2억 원(2025년 상반기 165억 원)이었다는 점은 감안하고 판단해야 할 부분이다.
뒤를 이어 △ 코디 248.7%(40억 원) △ 제닉 186,8%(9억 원) △ (주)에이피알 149.4%(1천391억 원) △ 아모레퍼시픽 149.1%(1천914억 원) △ P&K 146.0%(27억 원) △ 아모레퍼시픽홀딩스 119.4%(2천90억 원) 등이 두 배 이상의 영업이익 성장률을 나타냈다.
이외에 상반기 영업이익 성장률 30% 이상을 기록한 기업은 △ 청담글로벌 97.5%(78억 원) △ 달바글로벌 83.4%(593억 원) △ 코스맥스비티아이 82.5%(164억 원) △ 파마리서치 75.2%(1천6억 원) △ 바이오에프디앤씨 49.7%(33억 원) △ 제로투세븐 49.4%(21억 원) △ 실리콘투 46.1%(999억 원) △ 오상자이엘 44.7%(58억 원) △ 휴젤 44.0%(956억 원) △ 펌텍코리아 43.1%(329억 원) △ 클래시스 41.8%(818억 원) △ 대봉엘에스 37.1%(60억 원) △ 잉글우드랩 34.2%(147억 원) 등이다.
■ 2분기&상반기 당기순이익 부문
2분기와 상반기 당기순이익 부문에서의 흑자기업과 적자기업의 숫자는 각각 58곳, 32곳으로 동일했다.
다만 매출액 상위 6위권 내에 포진한 기업들의 감소폭이 컸다는 점이 특이할 만한 사안이다. 2분기 매출액 상위 6곳은 최저 -7,4%(한국콜마)에서 최고 -92.9%(아모레퍼시픽)까지의 당기순이익 감소세를 보였던 것.
이러한 와중에서도 콜마홀딩스(265.3%)·(주)에이피알(175.2%)·펌텍코리아(80.4%)·파마리서치(46.4%)·달바글로벌(44.1%)·콜마비앤에이치(35.6%)·브이티(32.3%) 등은 30% 이상의 높은 성장률을 기록하면서 존재감을 드러냈다.
흑자기업 가운데 당기순이익이 증가한 곳은 25곳, 감소한 기업은 29곳, 흑자로 전환하는데 성공한 기업은 4곳이었다. 적자기업 중에서는 9곳이 적자지속, 11곳은 적자확대, 그리고 12곳의 기업이 적자전환에 그쳤다.
상반기 당기순이익 흑자기업과 적자기업의 수는 2분기와 같은 58곳, 22곳으로 나타났다.
당기순이익이 증가한 기업은 25곳, 감소한 기업은 28곳, 흑자전화한 곳은 5곳이다. 반대로 적자가 지속하고 있는 곳은 12곳, 적자가 확대한 곳은 10곳, 나머지 10곳은 적자로 돌아섰다.
이 부문 성장률 상위기업을 보면 △ 코스맥스비티아이 143.3%(58억 원) △ (주)에이피알 141.2%(1천163억 원) △ 콜마홀딩스 109.9%(404억 원) △ 파마리서치 66.0%(781억 원) △ 펌텍코리아 57.1%(245억 원) 등이다.
(주)에이피알·파마리서치·펌텍코리아 등은 당기순이익 뿐만 아니라 이번 2분기&상반기 경영실적 지표에서 전 부문에서 상위권에 포진, 강력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는 기업으로 자리매김하는 모습을 보였다.
<2025년 2분기&상반기 누적 화장품 기업 90곳 경영실적 지표: 아래 첨부문서 또는 코스모닝닷컴 자료실 → 통계&마케팅 데이터 https://www.cosmorning.com/mybbs/bbs.html?mode=view&bbs_code=data&cate=&page=&search=&keyword=&type=&bbs_no=217452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