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모닝은 ICT 플랫폼 컨설팅을 포함한 소프트웨어 개발 전문기업 (주)이젬코와 공동으로 지난 2022년과 2024년, 두 차례에 걸쳐 화장품 산업의 스마트 팩토리 구축 성공사례 기업을 발굴하고 이들 기업이 스마트 팩토리 구축을 통해 거두고 있는 생산현장에서의 성과와 스마트 팩토리 솔루션 도입을 통해 추진해 나아가고 있는 미래 화장품 생산공장의 모델을 제시하는 기획을 모두 23회 연재했다.
화장품을 포함해 식품·의약품 산업의 스마트 팩토리 솔루션·프로그램·소프트웨어 개발 전문기업 (주)이젬코는 △ ICT 플랫폼 컨설팅 △ PLC와 IoT(사물인터넷)를 활용한 자동화설비 △ 자동제어 등의 부문의 축적된 기술력을 바탕으로 화장품 산업의 스마트팩토리 구축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올해에는 특히 부처협업형 사업으로 대한화장품협회와 스마트제조혁신협회가 스마트팩토리 구축지원사업 공동 수행기관으로 이를 진행했으며 2026년에도 이어갈 예정이다. ‘코스모닝-(주)이젬코 공동 기획 시즌3’ 연재에 들어간다. 독자 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성원을 기대한다. <편집자 주>
(주)라우베는 크림·로션 타입의 일반 제품보다는 손을 사용하지 않으면서 원료를 피부에 직접 지속 전달할 수 있는 약물 전달 시스템에 특화한 제품과 하이드로겔 패치·에센스 마스크 등의 제품을 전문 개발·생산하는 화장품 제조 기업이다.
올해 1월 파주 신공장 준공식을 가진 (주)라우베는 화장품 스마트팩토리 전문기업 (주)이젬코가 고도화 스마트팩토리 시스템을 성공적으로 구축한 대표 사례로 꼽을 수 있다.
라우베는 창립 초기부터 (주)이젬코의 기초단계 MES(Manufacturing Execution System)를 도입, 생산 공정을 디지털화함으로써 빠르게 성장했다. 이 과정에서 생산계획 관리·기초 자재 관리·기본 모니터링 체계가 안정화됐고 이는 회사의 신뢰성과 납기 대응력을 높이는 발판으로 삼았다.

매출 성장과 고객사 확대에 따라 올해 1월, 경기도 파주에 연면적 약 10,000㎡ 규모의 새 공장을 준공했다. 새 공장 건립은 단순한 시설 확장 수준이 아니라 한 단계 더 진보한 스마트팩토리로 도약하는 전략 차원의 전환점이라고 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주)이젬코는 기존 기초단계 시스템을 넘어 (주)라우베의 사업 규모와 글로벌 수출 대응에 최적화한 고도화 스마트팩토리 시스템을 구축했다.
화장품 제조에서 까다로운 부자재를 대상으로 구매·재고·환입 관리를 실시간으로 운영, 자재 관리 효율성과 원가 경쟁력을 동시에 확보해 냈다.
전문 WMS(창고관리시스템)를 도입해 △ 원자재·부자재·완제품에 대한 입출고 관리 △ LOT 추적과 재고 관리를 완벽히 구축해 글로벌 수준의 품질·안정성을 높이는데 성공했다.
생산 현황을 실시간으로 한눈에 파악할 수 있는 대시보드를 도입, 전 공정 종합 모니터링 체계를 갖춤으로써 경영진과 현장 관리자의 의사결정 속도를 대폭 향상시켰다.
(주)이젬코 관계자는 “라우베는 초기단계부터 이젬코의 스마트팩토리 시스템을 바탕으로 성장해온 대표 사례”라며 “이번 신공장의 고도화 시스템 구축은 고객사의 확장 전략과 디지털 전환을 동시에 이끈 성장 동반자 모델로 평가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